d라이브러리
"차"(으)로 총 5,439건 검색되었습니다.
- [SW 기업 탐방] 같이 타면 빠르고 안전한 학원 버스 셔틀타요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짧게 하는 길이다. 셋째는 부모님의 차를 타고 올 때와 셔틀버스를 탈 때 걸리는 시간 차이가 원생마다 공평해지는 경로다. 이중에서 맘에 드는 것을 학원이 선택하면 된다. 기술 개발은 공동창업자 중 한 명인 유창국 개발이사가 주도한다. 유 이사는 다음과 카카오가 회사를 합치기 전, 다음이 ... ...
- Part 1. 北 핵실험, 백두산 분화 가능성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문제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오펜하이머 교수는 2011년부터 북한 지역 백두산을 네 차례나 오르며 북한 과학자들과 공동으로 백두산을 연구해온 화산학자다. 2016년에는 북한 측 백두산 지하에 용융 상태의 마그마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4월 15일자에 ...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자기장을 내는 특수 설비가 필요하다. 초속 4km 충격파 쏘기도원더우먼은 두 팔찌를 교차해 강한 에너지를 방출하기도 한다. 허무맹랑하게 보이지만 실제로 플라스마를 활용한 공격용 무기가 있다. 1990년대 러시아는 50km고도에 있는 목표물을 파괴할 수 있는 플라스마 무기를 개발했다. 미국과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2~3배가량 크죠. 난자의 세포질 안에는 각종 세포소기관을 비롯해 RNA와 단백질이 가득 차 있습니다. 따라서 수정란의 유전물질은 아빠의 유전물질 반, 엄마의 유전물질 반이지만 수정란의 세포질은 모두 난자의 것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수정 뒤 첫 세포분열, 난자 속 RNA 덕분수정란은 배아로 ... ...
- [Culture] 캐나다 국방연구개발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모여사는 마을이 있습니다. 유명한 과학박물관인 ‘온타리오 사이언스 센터’와도 차로 15분밖에 걸리지 않습니다. 하지만 정작 연구센터 내부를 보긴 어렵습니다. 구글 지도를 아무리 뒤져도 연구센터 정문 사진 하나 나오지 않습니다. 물론, 방법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닙니다. 여러 가지 인체실험을 ... ...
- [현장 취재] 1여행 1드림 프로젝트 ‘다리 밑 학교’ 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기자들이 다리 밑 학교를 찾아간 날도 아이들은 40℃가 넘는 더운 날씨에 자동차 매연을 마시며 공부하고 있었지요. 실험 수업은 난생 처음이에요~!기자들은 이곳 친구들에게 과학 실험을 선물해 주기 위해 자석 용수철과 잠망경 실험 키트를 한국에서 가져갔답니다.“와! 거울 속에 선생님이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필요한 만큼 나눠 쓰기 때문에 협력 연구에 장벽이 없다”고 말했다. 협업의 결과가 여러 차례 노벨상 업적으로 이어지는 것을 직접 경험한 만큼 연구소의 모든 조직과 구조는 협업을 장려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인터뷰를 마치기 전, 그는 기자에게 LMB에서 함께 일했던 한국인 동료 이야기를 ... ...
- 위상수학자가 도넛을 사랑하는 이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있는 우리 눈에는 주변이 평평하게 보일지라도 실제로는 둥근 모습이지요. 곡면은 2차원의 면으로 이뤄진 공간입니다. 지구 표면뿐만 아니라 모든 물체의 표면이 곡면이지요. 중요한 건 어떤 곡면이든 그 위의 한 점에 서서 주변의 좁은 영역을 둘러보면 모두 평평하고 똑같이 보인다는 사실입니다. ... ...
- [과학뉴스] 뽀로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대통령’ 뽀로로, 일명 ‘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의 만남이 화제다. 10월 11일 4차산업혁명위원회 1차 회의에서 문 대통령이 인공지능을 탑재한 뽀로로 로봇과 대화를 나눴다. 뽀로로 로봇은 밥 먹었냐는 질문에는 “코끼리 코딱지(를 먹었다)”고 대답했고, “아이들을 대표해서 정상회담을 요청할 ... ...
- Part 2. 오락가락 北 핵실험 규모, 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미국의 계산값에서 차이가 나타난 이유는 관측소의 지리적인 분포와 사용된 자료의 양이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미국은 전 세계 1000여 개 관측소에서 측정한 지진파로 지진 규모를 계산하지만 한국은 국내에 설치된 수십 개의 관측소에서 측정한 자료를 사용한다. 잦은 지진으로 데이터를 많이 ...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