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크린
비데오
텔레비전
비디오
영사막
모니터
화상
d라이브러리
"
화면
"(으)로 총 1,924건 검색되었습니다.
3 교육 : 차세대 나노주자 위한 소우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후 학생이 조교의 도움을 받아 전자현미경으로 초파리 침샘과 같은 생물시료를 컴퓨터
화면
에서 직접 관찰해볼 수 있다. 또한 오랫동안 이 영상을 간직할 수 있도록 사진으로 인화해간다.하지만 아쉽게도 이 행사에서는 단지 생물학에서 사용하는 하나의 도구로 전자현미경을 강조한다. 그러나 ... ...
화려한 변신 컬러 휴대폰의 미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급기야 컬러
화면
까지 나오게 됐다. 이제 2인치(물론 더 큰 것도 있지만) 남짓한
화면
에서 뮤직비디오와 영화를 감상하며 TV를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대방 얼굴을 보며 통화하는 시대가 멀지 않았다.어쩌면 휴대폰 하나에 모든 영상과 음향기기가 통합되어 나올지도 모르겠다. 화상전화 기능에 ... ...
로봇 이용 대륙간 원격수술 성공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프랑스 텔레콤’의 최신 기술을 이용해 원격조종을 한 후 0.155초만에 수술진의 비디오
화면
에 수술로봇이 이 움직임을 그대로 실행하는 모습이 나타났다.이번 원격수술은 1927년 대서양 단독횡단비행에 첫 성공한 찰스 린드버그의 이름을 따‘린드버그 수술’로 명명됐다. 마레스코 박사는“이번 ... ...
분자소재연구실 기능성 분자로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실현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각도를 벗어난 상태에서 바라보면 잘 보이지 않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TV 브라운관 같이
화면
의 크기가 커지면 두께가 매우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다.최근 들어 이런 단점을 보완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로서 분자발광체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 전기를 가하면 빛을 내는 전기발광 ... ...
축구경기 시청자 사로잡는
화면
속
화면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렌즈의 광학적 특성이 정의돼 있기 때문에, 가상의 그래픽은 그 위치를 인식하고 있으며,
화면
확대나 회전의 움직임도 실제처럼 보여진다.마지막 단계는 스케쥴링(scheduling) 작업이다. 한 경기에서 보여주고 싶은 버추얼 이미지의 시나리오를 엮어내는것이다. 예를 들어 축구경기를 떠올려보자. 방송 ... ...
③ 생체실험 그만, 디지털 가상세포 맹활약
과학동아
l
2001년 09호
컴퓨터를 켠다. 억제 물질을 넣어 배양시킨 암세포를 확인하기 위해서다. 컴퓨터
화면
에는 밤사이 암세포가 눈에 띄게 위축된 모습이 보인다. 새로운 억제물질의 효능을 확인한 L박사는 미소를 띠며 컴퓨터 자판으로 또다른 억제 물질을 암세포에 첨가한다.실험실 어디에도 시험관이나 배양접시, ... ...
3D 애니메이션이 탄생시킨 시험관아기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미국적인 제프리 카젠버그가 담당했으니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른다.두 영화의 분위기는
화면
에 의해서만 달라지는 것이 아니다. 소리에서도 두 영화는 반대의 길을 가고 있다. 아무리 3D 애니메이션이 현실적이고 돈이 안드는 캐릭터라 해도 한계는 있다. 목소리가 바로 그것이다. 슈렉이 성공한 ... ...
디지털 천국 가정에서 실현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달인인 친정 어머니의 조언을 얻기 위해 화상 전화기를 들었다. 어머니의 얼굴이 TV
화면
에 나타난다. 탕수육을 좋아하는 남편 식성을 반영해 ‘오렌지 탕수육’을 제안해온다. 오렌지 탕수육이라? 재료를 옆에 준비한 다음, 조리대 옆의 작은 모니터를 통해 어머니만의 조리법을 전수받으며 오렌지 ... ...
악의 화신 늑대인간·드라큘라·좀비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우선 집안 조명을 어둡게 한다. 그리고 좀 전에 빌려온 괴기영화 비디오를 트는 것이다.
화면
속에는 더위 생각을 날려버리며 우리를 오싹하게 만드는 존재가 등장한다. 늑대인간, 드라큘라, 좀비가 바로 그들이다. 여름에 더욱 인기가 있을 수밖에 없는 괴기영화 속의 주인공을 만나보자. 중세를 ... ...
2. 전기 통하는 플라스틱의 비밀 2010년 돌돌 말린 디스플레이 등장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상태에서 바라보면 잘 보이지 않는 불편한 점이 있다. 또한 TV 브라운관의 경우에는
화면
크기가 클수록 두께가 매우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다.최근 들어 일부 발광 고분자가 전기를 흘렸을 때 아주 밝은 빛을 낸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이 경우 기존의 노트북 모니터와 TV 브라운관을 대체할 가능성이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