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하기"(으)로 총 3,353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가격리_4일차포스팅 l20211209
- 그런데 문제를 풀려고 하는 순간 모든 내용을 잊어버렸다. 결국 주제를 고르는 문제만 풀고 나머지는 찍었다. 나는 상상을 하기 시작했다. 내가 호그와트에 다니는 마법사라고 상상했다. 주변 아무 종이에 내가 마법사의 옷을 입고있는 모습을 그렸다. 얼굴은 안 그리고 몸과 얼굴의 모양만 대충 그렸더니 나름 만족스러웠다. 근데 눈, 코, 입을 그리고 ...
- 흐그극... 영어 공부 하기 싫어요ㅠㅠ포스팅 l20211208
- ㅈㄱㄴ 영어 공부가 하지 싫지만.. 해야하니.. 해야죠ㅠㅠ I don't want to do, but I have to do. 안녕히계세요~ ...
- 11월 목표 반성 & 12월 목표 :-)포스팅 l20211206
- 3. 일주일에 적어도 책 2권 읽기 ㄴ 2권 필수 책 © 픽사베이 4. 수업 시간에 필요 없는 말 ( 떠드는 말 ) 자제하기 5. 공부 열심히 하기 ( 시험 100점 3번 맞기 ) 저는 이정도 입니다 !! 여러분들은 무슨 계획을 세우셨나용 ? 그럼 전 숙제하러 이만 안녕히 계십셔 (。・ω・。 ... ...
- 인사동 출토 유물 공개전 : 백성을 사랑한 왕의 선물, 한글 금속 활자기사 l20211206
- 보면 아래가 삼각형으로 움풍 패인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건 활자판에 하나씩 놓을 때, 흔들리지 않고, 한 줄로 끼워 맞출 수 있게 하기 위한 모양입니다. 이렇게 전시관 중앙에 있는 전시물들은 활자의 앞 뒤를 더 가까이서 볼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첫 번째 전시 공간에는 금속 활자들이 진열되어 있고, 커튼을 통해 다음 전시관에 가면 두구 ...
- 공룡에 관한 모든 것 - 1부기사 l20211205
- 있기는 하지만, 그렇다고 모든 게 진리인 듯 정확하다고 하면 안 되며 영원히 그럴 수는 없다. 학자들은 가장 공룡을 정교하게 복원하기 위해 앞에서 말했던 모든 데이터를 수집하고, 가장 정교하게 공룡을 모델링할 뿐이다. 단, 공룡 연구의 역사를 한눈에 보면 엄청나게 바뀌었음을 눈치챌 수 있다. 초기에는 고질라같은 형태였다가 최근에는 깃털에 목 각 ...
- 어과동 할 때 알아두면 좋은 꿀팁!포스팅 l20211205
- 어과동 할 때 알아두면 좋은 꿀팁 가져온 사람입니다ㅏㅏ (위에 사진이 오타가 났네염 1.글자 두껍게 하기 밑줄 하기 또 기울이기 하는 방법 ctrl+B 가 두껍게 하는 방법입니다! ctrl+U 가 밑줄이고염 ctrl+I 가 이게 기울이기 입니당~ 제가 아는 건 컴퓨터로만 되는 걸로 알고있어요.. ㅜ ...
- 정ㅅ민님 소설대회 참가작- 기적포스팅 l20211205
- 차가운 성격의 소유자이다. 이름과는 안어울리게 많이 차갑다. 난 겨울이 좋다. 흰 눈이 내리는 날이면 항상 말도 안돼는 기대를 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내 바램이 이루어 질까 눈이 오는 날이면 기도한다. 그래봤자 모두 헛수고지만... 무슨 기대냐고? 우리 아빠는 내가 태어나기 전에 돌아가셨다. 아빠는 우리 엄마한테 눈이 내리는 날에 ...
- 정ㅅ민님 소설대회 참가작- 기적포스팅 l20211204
- 차가운 성격의 소유자이다. 이름과는 안어울리게 많이 차갑다. 난 겨울이 좋다. 흰 눈이 내리는 날이면 항상 말도 안돼는 기대를 하기 때문이다. 그래도 내 바램이 이루어 질까 눈이 오는 날이면 기도한다. 그래봤자 모두 헛수고지만... 무슨 기대냐고? 우리 아빠는 내가 태어나기 전에 돌아가셨다. 아빠는 우리 엄마한테 눈이 내리는 날에 ...
- 오랜만이네요~포스팅 l20211202
- 진짜 오랜만이네요! 마지막 글이 11월 29일에 쓴 거긴 하지만 (? 요즘 학원 숙제도 많고 학업에 집중..하기도 했고 무엇보다 트위터를 시작해서 접속이 뜸 (?) 했던 것 같아요 킼킼 그래서 아마 이번 달은 크리스마스도 있구 해서 접속 별로 없을 것 같아요 희희 트위터 아이디 공개는... 음 조금 생각해봐야 할 것 같아요 ...
- guest - 211129 - 1탐사기록 l20211129
- 2021. 11. 27. 우포늪 우포늪에서 따오기를 보고 왔습니다. 과거에 많았다고 알려진 따오기 입니다. 1979년 판문점에서 발견된 개체를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멸종된 새였습니다. 그러나 2008년 중국으로 부터 따오기를 들여온 뒤 2019년부터 야생 방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아직 개체수가 많진 않지만 언제가 옛날처럼 따오기 ...
이전1101111121131141151161171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