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뉴스
"
천문
"(으)로 총 2,296건 검색되었습니다.
심우주 첫 손님, 오무아무아 탄생의 비밀
과학동아
l
2020.05.05
길쭉한 모양의 오무아무아가 됐다는 것이다. 논문의 제1저자인 장 윈 중국과학원 국립
천문
관측소 연구원은 “행성과 항성은 과거 우주에 존재했던 물질들이 서로 이끌려 뭉쳐진 것”이라며 “그 과정에서 탈락한 물질들은 다양한 모양으로 우주를 항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오무아무아의 ... ...
지구와 가까지워지며 급격히 빛 잃은 '아틀라스 혜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4.29
한국
천문
연구원은 총 5개 관측소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모아 총괄 관리, 운영 중이다.
천문
연은 “OWL-Net으로 인해 그동안 미국에 의존하던 인공위성궤도 자료를 한국이 독자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됐다”며 “이 시스템을 활용해 한반도 정지위성 및 우주잔해물 충돌 후보를 ... ...
지난해 출연연이 잘 한 10대 연구에 블랙홀 관측과 치매 치료 후보제 발견 등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추천됐고 심사를 거쳐 최종 10건이 선정됐다. 공공과 우주, 환경 분야에서는 한국
천문
연구원이 ‘사건지평선망원경(EHT)’ 연구팀과 함께 사상 처음으로 궁수자리 M87 블랙홀 관측에 성공한 연구성과와 한국원자력연구원 센서시스템연구실에서 개발한 원전 안전진단에 쓰이는 친환경 비납계 ... ...
[과학게시판] 세종과학기술연구원 온라인포럼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집현전 탐구를 통한 정부출연연구소 역할 및 시스템 혁신방안’이다. 대전 유성구 한국
천문
연구원 은하수홀 소회의실에서 온라인 포럼으로 진행된다. 성창모 고려대 에너지환경대학원 특임교수가 주제 발표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내달 29일까지 ‘2020년도 과학기술유공자 ... ...
[화보]밤하늘에 '오징어 성운' 떴다…제28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4
통해 표현했다. 동영상 부문 동영상 부문 은상 수상작 '엄마! 하늘을 봐(한재은).
천문
연 제공 동영상 부문 은상은 ‘엄마! 하늘을 봐’를 출품한 한재은씨에게 돌아갔다. 이 작품은 꿈나무상도 동시에 수상했다. 엄마와 떠난 몽골 여행에서 바라본 하늘과 망원경으로 바라본 달을 영상에 담아 ... ...
인류 지식의 지평 넓히는 연구에서 소외된 한국 "이제는 우리도 뛰어들 때"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22일 서울 서초구 엘타워에서 열린 한국 과학난제도전 온라인 콘퍼런스에서 다중신호
천문
학을 이용한 허블상수 갈등 해결 관련 연구 주제를 제안하고 있다. 윤신영 기자 ●92건의 '세상에 없던 연구'...암부터 우주, 진화까지 다양한 주제 다뤄...최종 5건 선정 예정 과학난제도전융합연구개발사업은 ... ...
지구의 날 50주년 "지구 살리려면 원주민의 지혜 배워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원주민들은 역사나 위치, 조건에 따라 계절을 7개로 분리하고 농법을 개발하고 있다.
천문
학과 기상학은 콩이나 옥수수, 수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물을 언제 심을지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브라힘은 “우리 민족은 수세기 동안 살아남았다”며 “자이가 잘 작동한다는 증거”라고 ... ...
외계서 온 '손님' 보리소프 태양계 일반 혜성과는 달라
연합뉴스
l
2020.04.21
지난해 8월 30일 처음 관측된 이후 초속 33㎞ 비행한 보리소프는 이때 태양에서 2AU(
천문
단위·약 3억㎞)가량 떨어진 곳에 있었으며, 연구팀은 태양계 밖에서 날아온 천체의 화학적 구성을 처음으로 직접 관측할 수 있었다. 보리소프에 앞서 지난 2017년 10월 최초의 성간 천체로 포착된 ... ...
달 뒷면에
천문
대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0
데 적합한 크레이터를 달 뒷면에서 찾을 계획이다. 김기태 한국
천문
연구원 전파
천문
본부장은 “지구상에서는 주파수 기가헤르츠(GHz)대역의 우주 전파를 연구하는 데 그치지만 NASA의 계획대로라면 MHz 대역의 전파를 활용한 우주 연구가 가능한데 어떤 과학적 발견이 이뤄질 수 있을지 예측할 수 ... ...
태양계 첫 성간 천체 '오우무아무아'는 별에 찢긴 천체 파편
연합뉴스
l
2020.04.14
더글러스 린 교수는 "오우무아무아는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면서 "베라 C. 루빈
천문
대(대형 시놉틱 관측 망원경)가 가동되면 비슷한 특징을 가진 성간 천체를 더 많이 발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이전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