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 열수구에서 미지의 생물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지구에서 가장 추운 남극의 깊은 바다에도 주변 온도가 383℃ 까지 올라가는 열수구가 있어요. 열수구는 바닷속에서 화산 물질이 분출되는 곳 ... 포식성 불가사리 무리와 흰 문어들이 살고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어요. 새로운 종을 발견해
연구
하면 생명의 신비를 하나씩 밝혀낼 수 있답니다 ... ...
행성 많아 외계인 발견 확률 높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못했어요. 하지만 우주 과학 기술이 발달하면서 수많은 행성을 발견하고 있어요.
연구
팀은 먼 항성에서 지구로 오는 빛이 중력 때문에 휘는 ‘미세중력렌즈’ 현상을 주로 사용해 행성의 존재를 밝혔어요. 행성을 많이 발견했다는 소식에 외계생명체 탐사 과학자들이 흥분하고 있어요. 행성이많으면 ... ...
평범한 개미도 ‘골리앗 개미’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설날에 떡국 먹고 다시 기운 차린 닥터 그랜마예요. 대보름에는 호두와 잣, 밤, 땅콩을 많이 먹을 거예요. 부럼을 먹으면 부스럼도 막고 이도 튼튼하게 할 수 있거든요. ... 골리앗 개미가 돼서 더 작아질 것 같은데요? 그래도 거인이 되고 싶다면 저보다는 캐나다
연구
팀에게 물어보세요~ ... ...
[교과연계수업] 오늘이 화이트데이? 운명의 짝을 만날 확률은?
수학동아
l
2012년 03호
관심을 이끈다. ▶ 기사를 토대로 운명의 짝을 만날 확률을 구할 수 있는 수학적 방법
연구
를 소개한다. ▶ 기사에서 나온 을 인터넷 검색을 통해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고, 학생들이 스스로 설명할 수 있도록 이끈다. ▶ 기사를 토대로 미팅에서 모두 커플이 될 수 있는 수학적 ... ...
Part5. 이사하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써줄까?”“원래는
연구
소에 다녔는데 일이 좀 생겨서 도망 다니는 중이에요.”“무슨
연구
소?”“타임머신 만들다가 문제가 생겨서요(과학동아 2011년 11월호 ‘타임머신 특집’).”“무슨 머신?”“그런 게 있어요.”청년은 몸을 숙여 내게 얼굴을 가까이 들이대었다.“제가 확인하는 법을 생각해 ... ...
Intro. 세상에서 가장 더러운
연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아낌없는 박수를 보내주시라.▼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더러운
연구
Part1. 이 걸 먹는다고?Part2. 세균을 찾아서Part3. 별 걸 다 맡아!Part4. 사체는 내 사랑Part5. 원초적인 더러움, 똥Part6. 엽기적이라 더러워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플라시보 효과로 추측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더러운
연구
Part1. 이 걸 먹는다고?Part2. 세균을 찾아서Part3. 별 걸 다 맡아!Part4. 사체는 내 사랑Part5. 원초적인 더러움, 똥Part6. 엽기적이라 더러워 ... ...
자폐증 위험 생후 6개월이면 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생후 6개월 된 자폐증을 앓는 아이의 뇌 영상은 정상인 아이들과 차이를 보였다.]제이슨 울프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교수팀은 생후 6개월이면 뇌 영상으로 자폐증인지 아닌 ... 울프 박사팀은 이번에 차이를 보인 뇌의 영역을 조사해 보다 근본적인 자폐증 치료 방법을
연구
할 예정이다 ... ...
초파리의 구충제는 ‘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미국 에모리대 생물학과의 토드 쉬렌키시 교수팀은 초파리 애벌레가 술을 마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효모나 다른 곰팡이가 발효시킨 과일에서 ... 고생할 것인가, 기생충 때문에 죽을 것인가’를 놓고 고민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2월 16일자에 실렸다 ... ...
[hot science] 그 위성은 왜 죽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먹은 흔적이다행성 고리에 대한 관측과
연구
는 계속됐다. 미국 콜로라도 사우스웨스트
연구
소(SWRI)의 로빈 카눕 박사는 토성 고리가 생겼을 당시의 상황을 구체적으로 추측해 ‘네이처’2010년 12월 10일자에 발표했다. 토성의 위성이 토성에 흡수될 때 위성 표면을 싸고 있던 얼음층이 떨어져 나와 ... ...
이전
1149
1150
1151
1152
1153
1154
1155
1156
1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