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남극 극한 환경 무릅쓴 불굴의 도전과학동아 l2004년 01호
- 나빴더라면, 구조선마저도 조난을 당할 수 있었던 아주 끔찍한 순간이었다.이 사고의 결과 세종기지에 있던 우리들은 좋은 교훈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배에는 반드시 보조기관이 있어야 한다. 주기관이 멈춰도 보조기관을 움직여 비상구조신호와 필요한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각 ...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과학동아 l2004년 01호
- 다마지오 교수팀은 뇌속의 기억에 관여하는 영역에 손상을 입은 사람들을 조사한 결과 이들이 심한 경우 시간의 관념을 잃어버린 채 오직 현재속에서만 살아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연구자들은 기억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뇌 영역인 해마나, 해마가 대뇌피질과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게 중계역할을 ... ...
- 말라리아 퇴치, 미꾸라지가 나선다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없는 이유로 말라리아 매개모기와 일본뇌염 매개모기가 여름 내내 상당수 발생했다.실험결과 미꾸라지 한마리는 말라리아 매개모기인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을 하루에 6백마리 이상, 도시에서 가장 흔한 빨간집모기와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 유충은 1천1백마리까지 포식하는 것으로 ... ...
- 2 동백 고향을 떠나다과학동아 l2004년 01호
- 고산지대에서만 사는 식물인 구상나무가 지구온난화로 멸종위기에 처해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구상나무 외에도 흔히 에델바이스로 불리는 솜다리를 비롯해, 돌매화나무, 시로미, 들쭉나무 등 다른 고산식물들도 더워지는 날씨에 쫓겨 서식지가 계속 산의 정상부로 좁혀지고 있다고 ...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사람들을 대상으로 인간 게놈에서 진화의 지표가 되는 3백75곳의 변이를 조사했다. 그 결과 인류는 유전적 유사성에 따라 5개 그룹으로 나뉜다. 즉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인, 유럽인과 히말라야산맥 서쪽 아시아인, 동아시아인, 뉴기니인과 멜라네시아인, 아메리카 원주민이 그것이다. 이를 ... ...
- 01. [시간의 기원] 시간의 시작은 있나?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설명은 여기에서 더 나아간다. 시간이 흐르면서 보이지 않은 별들이 점점 흩어지는데, 그 결과 이들을 구성하는 물질이 점점 증발해 빛으로 방출되고, 이 빛은 다시 에너지를 잃는다. 결국 우주의 밀도는 0에 가까워지고 만다. 따라서 무한한 시간 동안 팽창한다면 우주는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는 ... ...
- 04. [시간의 측정] 왜 시계는 정확해져야 하나?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정확도를 갖는 것이다.영국인 목수였던 존 해리슨은 한 평생을 시계 제작에 몰두했다. 그 결과 바람과 파도가 심하고 소금기에 의해 부식이 쉽게 일어나는 바다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4대의 시계를 제작했다. 그의 나이 80세 되던 1773년 그는 자신의 4번째 시계인 H-4가 다섯달 동안에 54초(하루에 약 0. ... ...
- 인간과 기계 이어주는 신개념 인터페이스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참가자들이 양손과 양발을 움직이는 동안 센서가 감지하는 뇌파의 변화를 측정했다.그 결과 여러 종류의 뇌파 중 12-35Hz의 주파수를 갖는 베타파와 8-12Hz의 주파수를 갖는 뮤파에 변화가 있음을 확인했다. 동작을 계획할 때와 실행할 때 이들 뇌파가 발생하는 패턴은 같았다. 황 교수 연구실에서는 이 ... ...
- 갈림길에 선 낙동강 하구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주차장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세계적인 철새도래지 낙동강 둔치에서 진행될 생태개발의 결과는 의문스럽다. 지난 태풍 루사와 매미에서 겪었듯 자연의 흐름을 거스린 무모한 둔치정비는 인간과 자연에게 뼈아픈 대가를 치른다. 자연파괴는 결국 인간파괴로 이어진다.낙동강 하구의 심장은 ... ...
- 3 더위가 사람 잡는다과학동아 l2004년 01호
- 인해서도 오존농도가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실제 서울시의 대기오염자료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1일 최고기온의 상승이 오존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여름철 더위가 가장 극심했던 1994년 7월 22일-7월 29일의 서울시 오존 농도는 예년의 같은 기간에 비해 약 2배정도 높았다. 올여름 유난히 ... ...
이전115011511152115311541155115611571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