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산업 내일 여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잡았다.90년 8월 이번에는 글과 그림을 한꺼번에 편집하는 '쪽박사'를 내놓아 5천카피
이상
팔리는 보기드문 히트를 했다. 한컴퓨터연구소는 지난해말 본격적인 그래픽패키지 '사임당'을 발표해 패키지 전문업체로 자리를 굳혔다. 강태진씨는 지난해 한글날 한글워드프로세서를 개발한 공로로 ... ...
「운동선수의 발」 무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쉬우나, 실제로는 곰팡이가 피부에 붙어서 생기는 것만이 무좀이다. 손과 발의 피부에
이상
이 있으면 무좀으로 간주하고, 무좀약을 먹거나 바르는 경우가 흔히 있다. 그러나 불필요한 약을 먹거나 바르는 것은 경제적 손실 뿐 아니라 장기간 사용할 때 오는 부작용 등으로 다른 병을 얻을 수 있다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태평양쪽으로는 깊은 골짜기, 즉 해구가 나란히 배열돼 있다. 해구는 보통 수심 5천m
이상
이며 가장 깊은 마리아나해구는 1만1천6백m로 알려져 있다. 물론 해구와 호상열도 주변에서는 지진과 화산활동이 매우 활발하다.태평양 연안의 지진활동을 연구하던 학자들은 진원의 위치가 해구에서 ... ...
탄소원자핵의 12개 핵자가 기본단위?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알파입자의 존재가 문제해결의 실마리가 됐다. 원자핵은 우리가 이제까지 생각한던 것
이상
으로 복잡할 가능성이 있다. 핵자(核子)로 불리는 원자핵 속의 양성자와 중성자는 지금까지 껍질로 알려졌지만 오히려 클러스터(cluster) 중에 배열된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 된 것이다.영국 버밍검 요크 ... ...
한여름밤의 4중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것이다. 가스체의 표면 밝기는 남서면이 가장 밝고 중심과 북동면은 조금 어둡다. 30㎝
이상
의 망원경으로는 중심성을 볼 수 있는데, 광도가 13.8등급에 불과한 데다 주위 가스체가 밝기 때문에 주의깊게 관찰해야 식별할 수 있다. 성운 남서면 가장 자리에도 이같은 희미한 별이 두개 더 있다.소련 ... ...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해커에 이어 80년대에 등장한 제3세대는 컴퓨터에 쉽게 접할 수 있었다. 이들은 더
이상
컴퓨터를 사용하기 위해 연구실에 몰래 잠입하거나 자신의 손으로 자작 컴퓨터를 만들 필요도 없었다. 컴퓨터를 직접 구입하거나 친구의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었다. 물론 컴퓨터는 연구소에 있는 것만큼 ... ...
「퍼지-뉴런」칩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칩으로 읽어들일 수 있다. 인쇄체와 같은 정형문자는 100% 정확히 읽고 손을 쓴 문서는 90%
이상
정답을 낼 수 있다. 1초안에 읽어들일 수 있는 문자는 A4용지 1천장 분량. 기존의 칩과 비교하면 엄청난 양이다. 벨기에 학회에서 야마카와 교수는 이 칩을 사용한 간단한 '문자읽기 로봇'을 만들어 실제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물질이 분비된다고 한다. 이것은 방부제의 구실을 함으로써 위장 내에서 음식물이
이상
발효하거나 부패하는 것을 방지, 소화흡수를 돕고 건강을 증진시킨다고 자웻은 얘기한다.백인들은 자기만의 기술, 자신만의 비밀을 좋아한다. 어쩌면 이런 습관이 오늘날의 특허제도로 이어졌는지도 모른다. 잘 ... ...
2.지자기의 힘이 떨어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계산이 나온다.그러나 많은 지구물리학자들은 지구자장의 강도가 얼마가지 않아 더
이상
감소하지 않고 다시 회복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또 과거에 수없이 그랬듯이 지구자장의 세기가 거의 전부 없어져 죽어버리는 듯하다가 남북극의 위치가 완전히 뒤바뀌면서 되살아나는 지자장의 역전 ... ...
4.7종의 기체가 대기를 울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그야말로 온실효과가 극성을 부린다.해양은 인간활동에 의해 발생된 이산화탄소의 50%
이상
을 흡수한다. 일반적으로 대기가 더워지면 해면의 온도도 동반 상승, 결국 해수의 수직온도 구조가 더욱 안정상태로 변하게 돼 해양의 수직적 혼합(mixing)이 이뤄지지 않는다. 따라서 해양으로의 이산화탄소 ... ...
이전
1155
1156
1157
1158
1159
1160
1161
1162
1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