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진
연구직원
연구자
연구소
뉴스
"
연구원
"(으)로 총 16,118건 검색되었습니다.
IPCC 송도 총회 '1.5도 보고서' 채택 여부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끊임없이 강조되고 있다. 일례로 앤마리 앨더링 미국 항공우주국(NASA) 제트추진연구소
연구원
은 2017년 10월 ‘궤도공전 탄소관찰(OCO-2)’ 위성의 자료를 분석해 아프리카와 북아메리카, 동남아시아지역에서 2011년 보다 2015년에 더 많은 이산화탄소가 배출됐음을 확인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 ...
배터리 필요없는 피부 부착 심전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보고된 플렉서블 유기 태양 전지 중 세계최고 효율인 10.5%로 나타났다. 박성준 선임
연구원
은 “전력소비를 걱정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생체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요소 기술을 실현한 것”이라며 “무선 전송 시스템과 통합함으로써 차세대 센서 시스템의 기반 기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 ...
명왕성, 태양계 9번째 행성으로 복귀할까
과학동아
l
2018.10.01
천문학계는 이번 연구에 큰 가치를 부여하지는 않고 있다. 최영준 한국천문
연구원
책임
연구원
은 “과거 연구들은 소행성이나 (태양계 끝자락에 위치한) 카이퍼벨트 천체들에 대한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진행된 만큼 현재 상황과는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doi:10.1016/j.icarus.2018.08.626 ... ...
[인사]한국철도기술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한국철도기술
연구원
△연구기획본부장 권태수 △하이퍼튜브연구팀장 이창영 △차량핵심연구팀장 권석진 ...
게임에 빠진 ‘초딩 스몸비’ 휴대전화 코 박고 차도로 불쑥
동아일보
l
2018.10.01
공동기획 :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경찰청 한국교통안전공단 손해보험협회 한국교통
연구원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tbs교통방송 교통문화 개선을 위한 독자 여러분의 제보와 의견을 e메일(lifedriving@donga.com)로 받습니다. - 영장발부 판사, 9월 임명된 檢출신 - 이사 가는 ‘도쿄의 부엌’… 그 많은 ... ...
뇌신경세포 모방해 더 똑똑한 AI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0.01
효율적으로 뇌신경모사칩 회로를 구성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김재욱 KIST 선임
연구원
은 “뇌과학 연구가 발전하면서 차세대 인공지능 개발도 점차 수월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 ...
[2018노벨상]올해 노벨문학상은 없다…성추문·미투 운동에 위상 '흔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미국 드류대 명예
연구원
, 오무라 사토시 일본 기타사토대 명예교수, 투유유 중국전통의학
연구원
주임교수. - 네이처 제공 ● “노벨상의 시대착오적 발상 개혁해야”…과학계도 노벨위원회 변화 촉구 과학계에서도 추락한 노벨위원회의 위상을 회복하려면 개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 ...
[2018노벨상]"한국 노벨상 콤플렉스는 자신감 부재 산물" 연구재단 보고서 지적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노벨상 목표를 삭제하기로 결정했다. 중국도 2015년 투유유 중국전통의학
연구원
교수가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하기 전까지 노벨상 수상 강박에 시달려야 했다. 중국 정부는 중국의 노벨과학상 수상에 대한 국민적 기대를 조성하고 서방과의 기술 격차 감소를 통한 통치 정당화 전략을 추진했다. ... ...
몸속 인슐린 농도 높을수록 암 빠르게 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30
GIB 간암환자 중 몸속 인슐린 농도가 높은 환자는 다른 환자보다 암세포 증식이 더 빠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인슐린은 혈중 포도당을 글리코겐 형태로 간이 ... 9월 18일자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에는 로키불 이슬람 방글라데시 조교수(전 한림대 박사후
연구원
)가 제1저자로 참여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풍선아트 같은 유전자 발현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8.09.29
전사인자가 붙어 DNA 염기가 해독되면서 단백질을 형성해야 한다. 알모츠니 책임
연구원
은 “다분화 능력이 있는 배아 세포가 특정 조직으로 성장하려면 정체성을 갖춰야 한다”며 “히스톤 단백질의 메틸화나 전사인자 등 다양한 변수를 연구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생체 내부를 ... ...
이전
1155
1156
1157
1158
1159
1160
1161
1162
1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