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8,234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
과학동아
l
201508
DNA로부터 탈출한 당신에게 후성유전학이 묻는다. 어떻게 살 것인가.▼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PART5. 어떻게 살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08
않고도 암을 정복할 수 있을 것이다. 쓰레기 RNA의 반란에 주목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PART5. 어떻게 살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08
후성유전적 강점이 후성유전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을지도 모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PART5. 어떻게 살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08
중이다. 지난 20년간 후성유전학의 발전을 다음 파트에서 직접 만나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PART5. 어떻게 살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08
공포영화의 히로인이 될 확률이 높다(다음 장에서 실험으로 확인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이야기를 들려주마PART1. 공포의 대상을 찾아라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PART3. 어떤 관객을 공략해야 ... ...
PART3. 어떤 관객을 공략해야 하는가
과학동아
l
201508
가려는 목적은 나름 분명한 것이다(하지만 반론도 가능하다, PLUS참고).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이야기를 들려주마PART1. 공포의 대상을 찾아라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PART3. 어떤 관객을 공략해야 ... ...
Epilogue. 쿡방 열풍, 어떻게 받아들일까
과학동아
l
201508
요리보다 질 좋은 고기나 해산물, 과일이나 채소를 먹어야 하는 이유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대한민국을 지지고 볶는 탐식 열풍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Part 2. 탐식에 빠진 TV : 쿡방, 왜 재밌을까 촬영공식3Epilogue. 쿡방 열풍, 어떻게 ... ...
공유경제 ‘프로포즈 공식’으로 거듭난다
과학동아
l
201508
등은 일부 사례에 불과했다. 2012년 박원순 서울 시장이 ‘공유도시 서울’을 표방한 이후
계속
공유경제 확산에 힘쓰고 있는데, 왜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 공유경제 + 사물인터넷현장에서는 “경제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카풀 서비스 ‘티클’을 운영하는 박성환 대표는 ... ...
세계1위 로봇 휴보에겐 ‘포도’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508
장애물에 걸려 발이 묶이는 상황이 됐다고 하자. 조종사의 명령에 따르려면 로봇이
계속
앞으로 움직여야 하지만, 실제로는 한 자리에 묶여있다. 그냥 놔두면 과전류가 흘러 모터나 회로가 망가진다. 소프트웨어는 이런 상황을 막기 위해 오류를 탐지한 다음 두꺼비집처럼 전류를 차단한다.로봇을 ... ...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
과학동아
l
201508
필요했기 때문이다.“처음에는 자연에 존재하는 실리콘 광석을 이용했어요. 하지만
계속
벽에 부딪혔죠. 공 속에 있는 실리콘 동위원소의 비율을 정확히 알아내야 하는데 이게 어려웠거든요. 적지 않은 시간이 지나 모든걸 포기하고 다시 결정을 내렸죠. 질량수 28인 실리콘 동위원소만 골라내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