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높이
키
해발
표고
동일 수준
godot
d라이브러리
"
고도
"(으)로 총 1,80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평선 위의 태양이 찌그러지는 이유
과학동아
l
199406
높였다. 그 결과 중점의 평균
고도
는 30.2도 였다. (그림1)에서 만약 OZ=OH이면 중점의
고도
는 45°가 된다. 그러나 관측된 결과는 OH/OZ=2.33으로 우리 눈이 인식하는 하늘은 지평선이 천정보다 2배 먼 왜곡된 모양을 나타낸다. 따라서 어떤 관측자가 실제 45°각으로 하늘을 바라본다면 관측자는 천정에 ... ...
남·북한 전략무기 정밀분석
과학동아
l
199405
알려진다.적외선탐지장치, 레이저 거리측정장치 등을 갖추고 있어 레이더에 의지하지 않
고도
목표탐지 및 공격이 가능하며 야간전투능력도 우수하다.화력 면에서는 서방전투기보다 약간 처지는 것으로 평가되나 1천1백마일의 최대항속거리, F-16보다 빠른 비행속도가 MiG-29의 강점으로 꼽힌다. 지상 ... ...
미래를 여는 복잡성 과학
과학동아
l
199405
복잡적응계의 행동은 얼핏보아 무질서해 보인다. 왜냐하면 구성요소의 상호작용이
고도
로 비선형적인 행동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비선형계에서는 초기조건에서 발생하는 작은 변화가 출력에서는 엄청나게 큰 변화를 야기시킨다. 그러한 현상의 하나가 혼돈이다. 혼돈은 바다의 난류 또는 ... ...
화학 - 봉지로 열기구 띄운다
과학동아
l
199405
닥치게 될 가장 큰 위험은 무엇일까요?여러가지 위험이 도사리고 있겠지만 우선
고도
가 높을수록 산소가 희박해져 호흡곤란의 위험이 있겠지요. 우리가 산소통을 입에 대고 있다 하더라도 2만m 이상의 높이에서는 버틸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주변의 기압이 너무 낮아 우리 몸 안에 산소를 흡수시킬 ... ...
황사 유입량 및 이동 경로 종합측정 착수
과학동아
l
199405
이번 조사는 국내 처음으로 시도되는 종합 측정조사로, 시스템 공학연구소는 비행시간과
고도
, 비행경로와 황사 이동경로 예측 등의 시나리오 작성, 데이터 수집과 피해 상황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번 조사를 총괄 진행한다. 이와 함께 대한항공은 자체기술로 개발한 국산 항공기 창공 ... ...
남쪽 밤하늘 황도 12궁이 지배
과학동아
l
199405
시작하여 목동자리의 아크투루스, 처녀자리의 스피카로 이어지는 봄의 대곡선은 이제
고도
가 높아져 천정을 감싸는 모습이다. 북쪽의 밤하늘이달 정북방향에 위치하게 되는 북두칠성은 큰곰의 엉덩이와 꼬리에 불과하다. 큰곰자리를 구성하는 모든 별들을 찾아서 연결해보면 굉장히 큰영역에 ... ...
아크투루스가 주도하는 봄의 대곡선
과학동아
l
199404
것이다.4월의 북쪽 밤하늘동쪽으로 치우친 곳에 나타난 목동자리 알파별 아크투루스의
고도
가 높아지면서 봄철의 별자리들을 주도한다. 아크투루스는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별들 중 시리우스 다음으로 밝은 별이다. 마치 바로 밑에서 떠오르는 왕관자리의 길을 밝혀주며 높은 하늘로 인도해 가는 ... ...
1 생물의 모든 변화현상 매개하는 생명의 근본
과학동아
l
199404
효소를 공업적으로 이용하면 인류 생활의 개선에 획기적인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고도
의 전문적인 기술이 집약되어야 하는 효소 연구는 생명공학과 연계돼 세계적으로 볼 때 그 시장이 무한대이다. 우리가 다른 나라들보다 이 분야 연구에서 한발 앞서도록 국가적인 지원과 노력이 시급하다고 ... ...
그림 솜씨 보고 얼굴형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404
주로 해안가에서 조개를 캐거나 물고기를 잡아먹고 살아가는 생활방식이었을 것이므로
고도
한 시각적 분별력이나 섬세한 손기능은 그다지 필요하지 않았을 것이다.한국에서도 남방계형의 유전자형을 많이 지니고 있는 사람들이 살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경상도 지역에서 출토되는 유물들은 대개 ... ...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
과학동아
l
199404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그러나 여기에는 중대한 오류가 있다. 우리가 측정한 북극성의
고도
변화를 이용한 천문학적인 방법으로 위도 1˚에 해당하는 호의 길이는 중심각을 측정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위도에는 (그림6)과 같이 지심위도와 천문학적인 위도가 있다.지구가 완전한 구형이라면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