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국"(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착’ 달라붙는 인공 문어 빨판이 개발됐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있던 힘을 빼면 빨판 안으로 들어온 수분이 순간적으로 이동해 돌기 사이를 채우지요. 결국 물체와 빨판 사이는 빈 상태가 돼요. 즉, 진공상태가 되는 거지요. 그 결과, 빨판과 물체 사이에 강력한 흡인력이 생긴답니다.연구팀은 가로세로 3cm 길이의 고무판에 문어의 빨판과 똑같은 구조를 ... ...
- Part 1. [파도의 비밀] 노란선은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벽을 따라 옆으로 흐르게 돼요. 그럼 물은 꺾이던 방향으로 계속 꺾이려고 하고, 결국 벽을 따라 되돌아가면서 물의 흐름이 원을 그리게 되지요.이때 이 지점에 서 있으면 소용돌이치는 물의 흐름에 따라 휩쓸리다가 단단한 벽에 부딪힐 수도 있어서 매우 위험하답니다. 따라서 강한 파도가 밀려오는 ... ...
- Part 2. [물의 비밀] 오줌은 절대 안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여러 박테리아를 제거하지요. 박테리아 세포의 단백질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만들어 결국 박테리아가 죽게 되는 원리랍니다.◀ 염소는 옷의 얼룩을 지우는 표백제나 청소를 할 때 쓰는 제품에 사용된다.염소는 1900년대 초반에 식수를 살균하는 데 사용되었어요. 그리고 1920년 대에 수영장 물을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곧 증상이 심해지면 폐에 울혈이 발생하고 호흡 곤란, 청색증, 객혈, 쇼크 등을 일으킨다. 결국 고열과 호흡 곤란을 동반한 패혈성 쇼크로 24~36시간 이내에 사망한다. 항생제로 치료해도 치사율이 75%에 이르며, 치료하지 않으면 97%가 사망하는 무서운 감염병이다. 사람, 소, 양, 염소, 돼지 등 ... ...
- [Future] 인기 웹툰, 과학기자가 쓴다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아니지만, 중력과 지진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1999년에 사는 고백부부 주인공들은 결국 결혼을 하게 될까요? 이 내용까지는 차마 스포일러를 할 수가 없네요. 사실 과거의 부부가 결혼을 하느냐 하지 않느냐는 크게 중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평행우주론’ 가설에 따르면 주인공들이 결혼을 ...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개미들이 동면하러 바위 틈에 올라올 때 같이 올라오기도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결국 이 날 이 방법으로는 개미를 찾지 못했다. 일단 무의도 등산로에 큰 바위가 많지 않았다. 주말이면 등산객들로 북적인다고 하는데, 큰 바위 주변에 쓰레기가 많은 걸로 봐서 이미 사람 손을 많이 타서 개미가 ...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에너지를 계산하고 그 의미를 추론하기 위해서는 슈퍼컴퓨터가 필요했다. 장 교수는 결국 슈퍼컴퓨터를 직접 구축하고 이를 이용해 단백질을 시물레이션하는 연구까지 섭렵했다. 현재 DGIST에는 장 교수 주도로 구축된 슈퍼컴퓨터 ‘아이램(iREMB)’이 운영 중이다. 국내 민간 연구자들이 접근할 수 ...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8점 영역에서 정중앙에 가까운 싱글 영역을 향해 던져야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었어요. 결국 정확도가 낮은 사람이 높은 점수를 노리는 건 좋은 전략이 아니라는 사실! 여러분도 다트를 던져서 모양을 관찰한 뒤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는 영역을 노려보세요! 조광희 국가대표 프로 다트 ... ...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5개를 한 번에 완성해 버립니다. 처음엔 불리해 보였지만 상자 2개를 미끼로 5개를 얻어 결국 7-2로 레드가 이깁니다. 이런 전략을 ‘속임수 전략’이라고 해요. 상자 고리를 만들어라!속임수 전략을 쓰려면 ‘격자가 상자 고리로 채워져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필요해요. 앞서 레드의 성공적인 ...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성인이 된 뒤에도 새로운 사람을 계속 만나면서 뇌의 얼굴 인식 능력은 계속 발달한다. 결국 얼굴 인식 기능은 뇌의 다른 기능과 마찬가지로 학습을 거쳐 여러 신경세포들이 함께 작용해 일어나는 기억 활동의 일부라고 생각할 수 있다. 얼굴 인식은 우리가 삶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기능이다.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