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부"(으)로 총 3,8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화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르게 된다. 헬은 이 현미경을 유도방출감쇄(STED) 현미경이라고 불렀다. 미토콘드리아 내부의 접힘 구조뿐만 아니라 핵공 단백질 하나하나까지 구별할 수 있는 초고해상도 현미경이었다. STED는 세포를 ‘산 채로’ 관찰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었다. 전자현미경은 시료를 고정시키고 얇게 만드는 ... ...
-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이석이 움직여 평형에 대한 감각을 느끼게 해주는 것) 그리고 근육이다. 그런데 우주선 내부에서는 시각에 의존해서 위아래를 구별하는 능력이 점차 떨어지기 때문에, 그냥 자신이 서 있는 방향을 기준으로 해서 위아래를 구별하는 습관이 든다. 이런 과정에서 시각과 전정기관에서 받은 정보가 서로 ...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공군기를 감상하는 게 다냐구요? 아니에요. 커다란 제트엔진이나 수줍게 드러낸 비행기 내부 구조를 보며 비행기를 만들 때 쓰이는 복잡하고도 정교한 기술을 한 눈에 알 수 있지요. 공군기 조종석에 앉아 여러 계기판을 직접 만져 보거나 게임 같이 신나는 시뮬레이터로 조종 체험도 할 수 있답니다 ...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성공했다. 연구자들은 짐이 달라붙을 수 있게 끝이 튀어나온 스테이플 가닥 12개가 박스 내부에 놓이게 DNA 오리가미를 설계했다. 그리고 여기에 나노 입자를 붙이는 데 성공했다. 연구자들은 이를 ‘나노로봇’이라고 부르고, 앞으로 세포의 행동을 조절하는 데 쓰일 것이라 전망했다. 생명체에 대한 ... ...
- [과학뉴스] 목성 위성 유로파도 ‘판구조론’ 따른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온도가 영하 약 170℃로 낮다. 따라서 표면이 얼음으로 뒤덮여 있는데, 이와 대조적으로 내부에는 따뜻한 액체 상태의 물이 차 있다. 지하 바다 위에 얼음 지각이 떠 있는 셈이다. 그런데 최근 미국 아이다호대 지구과학과 사이먼 캐튼호른 박사팀이 유로파의 영상을 재분석한 결과, 얼음 지각 일부가 ... ...
- [career] 나라 먹여 살릴 벤처 키운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혜택을 직접적으로 누릴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몇 년 전부터 포스텍(POSTECH) 내부에서는 그간 대표적인 기업을 탄생시키지 못했다는 자성의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포스텍은 1986년 개교 이래 우수한 연구 성과를 수없이 내놓았고 지금은 76개의 부설 연구소를 갖추고 있으며, 더타임스 ...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커서 환자가 수술을 망설이고 있다.모션캡처, 직접 체험하기!독자기자들은 운동연구실 내부에 설치돼 있는 모션캡처 오픈 스튜디오에서 직접 모션캡처를 체험해 보았다. 모션캡처를 위해서는 마커를 적절한 위치에 붙이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 고가의 특수 의상을 입어야 한다. 이 의상은 ... ...
- 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컴퓨터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무엇일까? 컴퓨터로 무얼 할 수 있는지 설명할 수는 있어도, 내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설명하기는 쉽지 않다. 컴퓨터는 말 그대로 ‘컴퓨트(compute) 하는 것’이다. 계산기란 말이다. 여기에 동의 못할 사람도 있을 거다. 컴퓨터로 동영상을 볼 수 있고, 음악도 들을 수 있고, 게임도 할 수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꺼진 상태를 0, 켜진 상태를 1로 대응하는 것처럼, 한 종류의 여러 개의 스위치가 컴퓨터 내부에 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각각의 스위치는 2진법의 각 자리를 나타내고, 이 같은 원리라면 스위치의 개수를 늘리기만 하면 아무리 큰 수라도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물론 열 종류의 스위치를 만들면, ...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수학동아 l2014년 09호
- 달 사진으로 선정됐다. 티코 센트럴 피크는 전체 지름이 82km에 달하는 티코 크레이터의 내부에 있는 봉으로, 지름이 약 15km이고 높이는 2km에 달한다.2위로 선정된 사진은 린네 크레이터의 지형을 아름답게 묘사한 사진이다. 린네 크레이터는 생성된지 얼마 되지 않아 매우 잘 보존된 충돌 분화구로, 이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