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시 생각함"(으)로 총 6,12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왜행성 ‘하우메아’서 고리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해왕성 너머에 있는 왜행성 ‘하우메아’에 고리가 있다는 사실이 처음 밝혀졌다. 스페인 국립과학연구위원회(CSIC) 산하 안달루시아천체물리연구소(IAA) 등 ... 이런 통념이 깨졌고, 이번에는 소행성대 밖에 있는 왜행성에서 고리가 발견되면서 다시 한번 확실해졌다. doi:10.1038/nature2405 ... ...
- [Issue] 양자컴퓨터 전쟁 시작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성질이 보호된다”며 “이 입자로 양자컴퓨터를 구현할 수만 있다면 가장 안정적인, 다시 말해 상업적으로 가장 가치가 있는 컴퓨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인위적으로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구현하려는 연구를 하고 있다. 2012년 레오 쿠벤호벤 네덜란드 델프트공대 ... ...
- [DJ CHO의 롤링수톤] 핑크 플로이드의 ‘달의 어두운 면’ 프리즘이 만든 무지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벽을 하나 더 쌓습니다. 그리고 성인이 된 뒤에는 또 다른 문제에 부딪히며 다시 마음의 벽을 쌓습니다. 물론 상황이 핑크를 힘들게 만든건 맞습니다. 그러나 ... 가시광선은 프리즘에 들어올 때 파장에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굴절하고, 다시 프리즘에서 공기로 나가며 한 번 더 꺾입니다. 굴절할 ... ...
- Part 1. [물리학상] 100년 만에 중력파 존재 확인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모양인 라이고는 중앙에서 발사한 레이저가 90도를 이루는 두 팔 끝까지 갔다가 반사돼 다시 돌아오도록 설계됐다. 이렇게 돌아온 두 개의 레이저 빔을 합성하면 간섭 현상이 생긴다. 이를 이용해 두 팔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어떻게 변했는지 측정함으로써 중력파를 검출한다. 라이고는 2005년 ... ...
- 스도쿠 잘하는 비법은 멍 때리기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있었어요. 그런데 너무 어려워서 끝까지 못 풀었어요. 그 뒤로 까맣게 잊고 살다가 2006년 다시 만났어요. 당시 군인이어서 남는 시간에 마땅히 할 게 없었어요. 스도쿠를 풀기 위해 끈질기게 물고 늘어졌지요. 그때 스도쿠에 매료됐어요.” 틈날 때마다 스도쿠를 생각한 덕분에 실력이 부쩍 늘었고, ...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때 섭섭하게도(?) 전력 공급이 정상화되면서 원고 쓰기를 멈췄지만, 2년 뒤 안식년을 맞아 다시 집필을 시작했다. 몇 년간 서랍 속에서 잠자던 원고 뭉치는 1976년에서야 비로소 세상에 나왔다. 바로 리처드 도킨스의 명저 ‘이기적 유전자’였다. 당시는 열등한 유전자를 박멸한다는 나치 우생학의 ...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이뤄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과학자들은 이 바다가 대기에 메탄을 공급하고, 이것이 다시 비로 내려 표면의 얼음이 되는 메탄 순환이 일어날 것이라고 추측했다(doi:10.1002/2014JA020394). 2006.09 ‘반지’를 완성하다가스형 행성인 토성과 목성을 놓고 볼 때, 토성이 목성을 유일하게 능가하는 ... ...
- [Career]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 미래 해양과학자를 외치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KIOST)이 올해 6월 서류와 면접을 통해 선발했다. 한국에서 괌으로, 괌에서 다시 웨노섬으로 16시간이나 걸린 고된 여정에도 바다를 앞에 둔 연구단의 눈빛은 반짝 거렸다 ... 있는 박사님들의 모습을 보니 나 또한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며 “먼 훗날 꼭 이곳을 다시 방문할 수 있도록 훌륭한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것. 그래서 저는 외롭지 않습니다.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이것은 ... 방법이야 수도 없이 많았고, 아시다시피 우리 모두가 같은 방식을 선택한 ... 가장 친한 친구들이 그런 방식으로 다시 태어났을 때, 저는 사실 아무런 ... 접어들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아시다시피 저는 지금까지 살아 있습니다. . ...
- 한글의 美, 기하학 만나 추상미술로 피어나다수학동아 l2017년 10호
- 외국인들은 한글을 추상미술의 멋진 소재라고 생각하더라고요. 이를 계기로 한글을 다시 보게 됐고, 모든 작업을 한글로 하기 시작했어요.” 강 작가는 미국 크랜브룩 아카데미 오브 아트를 다니면서 평면에서 펼치던 작품 세계를 공간으로 확장했다. 하고 싶은 작업을 마음대로 할 수 있게 돕는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