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지수로 보는 블랙핑크의 상승세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지수가 자연수일 때는 한층 더 계산을 편리하게 만드는 ‘지수법칙’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 문제를 풀어보자. 천문학적인 숫자도 간단하게 바꿔주는 지수를 쓰면 지구에서 별 A까지의 거리는 32×5×106km, 별 B까지의 거리는 33×52×108km가 된다. 이제 지구에서 별 B까지의 거리를 지구에서 별 A까지의 ... ...
-
- [과동 키즈] 과학과 소설 두 세계를 가로지르는 일 '김초엽 SF작가'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다음달 마감만 끝내고…”라고 입말을 내뱉는 상태가 돼 있었고, 또 반 년이 지나자 그 다음 마감일들이 내년까지 쌓여 있었다. 지금도 “일단 여기까지만…” 하면서 작가 생활을 하루하루 연장하고 있는 상태다. 언제까지 글만 쓰고 살 수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되는 데까지는 최선을 다 해 ... ...
-
- 지구의 기록, 바닷속에서 추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극지해양과학연구부 부장) Q다음 탐사는 어떤 것이 특별한가요?코로나19 영향으로 다음 북극 탐사는 특별히 한국인만 탑승할 계획이에요. 알래스카가 완전히 봉쇄돼 외부의 도움을 받기 어려운 탓이죠. 두 번의 코로나 검사와 자가격리 기간을 가진 뒤 본격 출발할 예정이에요. 연구원 인원도 2 ... ...
-
- 33살 GIF, 인싸와 궁합이 쿵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퍼뜨릴 핵심 수단이 된 거예요. 덕분에 기피는 전세계 검색량의 15~20%를 차지하며 구글 다음으로 인기 있는 검색엔진이 됐답니다. 움짤 충격 고백, “전 사실 동영상이 아니에요”GIF는 동영상처럼 움직이지만, 이미지처럼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자동으로 나타나고 ‘복사하기’와 ‘붙여넣기’가 ...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뇌를 속이는 착시 현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여러 개로 보이기도 하지요. 먼저 그림을 요리조리 보며 착시를 체험해 보세요. 그런 다음 그림 아래의 설명을 보면 왜 착시가 일어나는지 이해할 수 있어요.색 착시를 일으키는 ‘벤함의 팽이’도 있어요. 팽이의 원판에 흰색과 검정색 도형으로만 이뤄진 종이를 끼우고 손가락으로 힘껏 ... ...
-
-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KSTAR 연구 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장치에서 나는 소리입니다. 당장은 플라스마를 꺼뒀지만, 다음 실험을 곧 이어서 진행해야 해서 냉각수 장치는 꺼두지 않았죠.”김 부장은 KSTAR를 더 자세히 볼 수 있도록 장치실 벽면의 계단을 올라 2층에서 설명을 이어갔다. 높은 곳에서 바라본 KSTAR는 상상하던 것과는 ...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초강력 드라이아이스 펀치!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조회수 2503만회채널명 : GPhase (구독자 수 : 20만 명)식물을 키울 때 가장 신기한 순간은 ‘다음날’이에요. 자고 일어나면 어느새 식물의 키가 쑥쑥 자라 있다니까요? 이럴 때면 ‘지금 이 순간에도 식물은 조금씩 자라고 있겠구나’라는 생각이 들죠. 정말 그런지 궁금하다면, 씨앗에서 싹이 나오는 ... ...
-
- [수학뉴스] 숫자로 본 고갱과 르누아르 풍경화의 공통점수학동아 l2020년 12호
- 21세기까지 1476명의 예술가가 그린 풍경화 1만 4912점을 디지털 이미지로 바꿨습니다. 그런 다음 그림을 수직이나 수평으로 나누는 알고리듬으로 작품을 분석했습니다. 특히 그림을 나눌 때 각각의 길이를 a, b라 하고, a+b로 a를 나눈 값을 ‘화면 분할 비율’로 정의했습니다. 분석 결과 전체 작품의 ...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나만의 정원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씨앗 위의 흙은 아주 조금만 살짝 흩뿌리는 느낌 정도면 충분하다”고 설명했어요.그다음으로는 미리 준비한 물통에 물을 담아 골고루 뿌려주었어요. 단, 흙과 씨앗이 잠기지 않을 정도로 주는 게 중요해요. 그렇지 않으면 씨앗이 썩어버리거든요. 완성된 화분을 퍼즐 집 정원에 놓고 새싹이 ... ...
-
- [한페이지 뉴스] 새가 ‘박치’가 아닌 이유, 뇌에서 찾았다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뉴런과 비교적 늦게 도착하는 뉴런이 존재한다는 뜻이다. 본래 축삭돌기 말단에서 다음 뉴런으로 신호가 전달되는 시간은 150μs(마이크로초·1μs는 100만분의 1초) 이내로 짧다.연구팀은 포유류에서도 신호 전달 지연을 확인했다. 쥐가 수염을 움직이는 행동을 할 때 운동 정보 처리를 담당하는 신피질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