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단
그룹
떼
모임
패거리
동아리
단체
d라이브러리
"
무리
"(으)로 총 2,12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반도 최초의 생명체 간직한 분바위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용어로는 ‘라피에’(lapies) 또는 ‘카렌’(karren)이라고 한다. 공동묘지의 비석처럼
무리
를 이루면서 솟아있는 경우도 있어 ‘묘석 지형’이라고도 한다.분바위의 대리석에서 석회질의 탄산칼슘은 물에 녹아나간 반면 불순물은 녹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어 표면이 거칠면서도 독특한 형태를 띠고 ... ...
디카, 과학으로 찍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못지 않은 성능을 자랑하는 카메라폰을 합치면 바야흐로 '1인1디카'시대라 해도 그리
무리
는 아니다. 과학이 풀어주는 '디카 잘 찍는 법'을 소개한다.‘얼짱’ 각도에도 이유 있다45도로 기울인 렌즈, 지긋이 치켜 뜬 눈, 비스듬히 기울인 얼굴…. 요즘 유행하는 ‘얼짱’ 촬영법이다. 얼굴이 넙적한 ... ...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상사는 “기후와 지형 조건상 몇가지 사소한 문제가 발생했지만 롭해즈 운영에 큰
무리
는 없었다”고 말한다. 하지만 롭해즈 개발을 이끈 KIST 강성철 박사는 이번 파병이 ‘성공반 아쉬움반’이라고 토로했다. 원래부터 계획됐던 폭발물 처리 훈련이 현지의 민감한 상황으로 취소된 것. 가장 중요한 ... ...
닥터 두리틀이 되고 싶나요?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코끼리도 입을 다문 채 ‘왕따’로 살 수는 없었던 모양이다. 소리 흉내는 이렇게
무리
속에서 정보를 주고받으며 살아남기 위한 적응의 방법이 된다. 같이 놀기 위해 소리를 따라하는 경우다.험프백 고래는 소리를 흉내 내는 목적이 조금 다르다. 노드 교수는 고래의 노래 따라하기를 “인도양에서 ... ...
1 사람 잡는 19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안타까워했다.전문가들은 인도가 수학과 IT에 강한 점을 19단에서 찾는 것은
무리
라고 말한다. 복잡한 생각하기를 즐기고 어려운 수학을 생활 속에서 일반화한 전통이 인도가 수학에 강한 진짜 이유다. 더구나 인도가 세계 수학을 이끌어 가는 것도 아니다. 김용운 교수는 “인도에서 IT산업이 강한 ... ...
독야청청한 우리 독도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푸른색 띠가 있어 암컷보다 아름답다.동도 선착장 주변 수심 10~14m에는 다섯줄얼게비늘이
무리
지어 있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몸에 검붉은 세로띠가 5개 있어서 이름이 다섯줄얼게비늘이다. 줄이 7개 있는 일곱줄얼게비늘도 있다.녹음 우거진 해초숲독도 바다는 사막이다? 1999년 처음으로 한반도 ... ...
밤하늘의 방랑자, 소행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어느 하늘에서나 소행성이
무리
를 지어 떠돌아다니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더라도 그리
무리
가 없다.지금부터 10년쯤 전, 소행성의 발견은 아마추어 관측가들에게 하나의 도전거리를 제공해 줬다. 우주 공간에 소행성이 워낙 많았던데다 천문학적으로도 그리 중요하지 않았으므로 소행성은 대형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이유는 가뭄으로 인해 건조지역에 계속해서 사막화가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이
무리
하게 개간하고 방목한 것도 큰 이유다. 한반도의 4배에 달하는 사막과 황토고원이 매년 2330km2씩 늘어나고 있다. 한 해에 제주도보다 넓은 땅이 사막화되는 셈이다. 몽골은 국토의 90% 이상이 사막화위기에 ... ...
BBC 과학과 자연 - 멀티미디어로 즐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바탕화면에 나오게 할 수도 있다.이때 위성 정보나 구름 사진 등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무리
가 가지 않도록 업데이트 주기를 효율적으로 설정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구름 사진은 세 시간마다 업데이트되므로 업데이트 주기를 세 시간 이상으로 설정해 구름 정보 제공처의 시스템 부하를 줄여야 정보를 ... ...
03 세계는 종자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980년대 중반 미국국립식물원의 베리 잉거 박사가 이끄는 한
무리
의 식물학자들이 조용히 한국을 찾았다. 추위에 강한 식물종자를 찾기 위해서였다. 그들은 흑산도, 홍도 등 주로 섬을 돌아다니며 동백나무, 단풍나무 등의 종자를 채취해갔는데, 그 중 홍도비비추로 불리는 옥잠화도 있었다. 이후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