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hysics
물리학학문
물리
화학물리학
화학
자연 과학
물리과
d라이브러리
"
물리학
"(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그 천체가 있는 우주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지난해 노벨
물리학
상을 받은 우주가속팽창 연구는 초신성을 표준촛불로 써서 얻어낸 결과다.한편 유포 프로젝트는 초기우주에서 우주배경복사 이후 수소원자가 만들어지며 우주가 냉각돼 가시광선이 사라졌던 암흑시대(dark age)와 ... ...
양자역학 토대 불확정성 원리 도전 받나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실험 결과를 ‘네이처 피직스’ 1월호에 발표했다.불확정성의 원리는 1927년 독일의
물리학
자 베르너 하이젠베르크가 발표한 이론이다. 움직이는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을 결정할 때 두 물리량을 동시에 정확하게 알 수 없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전자기파를 이용해 위치를 관측하는데, 전자기파가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나란히 실렸는데 둘의 입장차이가 너무 커서 어리둥절할 정도다. 스페인 안달루시아 천체
물리학
연구소 크리스티나 퇴네 박사가 주축이 된 국제 공동연구팀(서울대 임명신 교수팀도 포함됨)은 덜 파격적인 해석을 내놓았다.즉 중성자별이 거성 옆을 지나다 나선 궤도로 접근해 결국은 합쳐지면서 ... ...
토륨 원전 vs 우라늄 원전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적절한 설계 과정이 필요하다. 핵심은 다량의 중성자를 만드는 일이다. 홍승우 성균관대
물리학
과 교수는 “0.8~1GeV 대의 출력을 얻어야 20~30개 정도의 중성자가 만들어져 연쇄반응이 안정적으로 일어난다”고 말했다. 홍 교수는 “루비아 교수는 우라늄 원전 못지 않게 안정적인 토륨 원전이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완성된다. 오랜 세월 동안 수 많은 지성이 함께 다듬어 온 지식의 승리인 셈이다. 입자
물리학
용어만 들어도 어려워하는 일반인들에게는 과학자들이 우리가 사는 세상을 올바르게 설명하고 있다고 신뢰할 수 있는 증거가 된다.마지막 퍼즐을 찾아 표준모형을 완성해도 숙제는 남는다. 암흑물질이나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연구는 이런 이론들이 틀렸음을 보여준다. 연구에 참여한 에드워드 힌즈 교수는 “
물리학
자들은 반물질에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아직은 모른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몇 가지 그럴듯한 설명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세상에서 가장 둥근 물체를 만들어내는 싸움에서 인간은 자연에 ... ...
난, 이제 MIE로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바스켓으로 빨려들어가는 투사속력의 범위나 투사각의 범위가 넓으면 좋다. 미국의 천체
물리학
박사 피터 브란카지오는 자신의 저서 ‘스포츠과학: 물리법칙과 최적동작’에서 행한 계산에 따르면, 높은 투사각도의 슛이 직선으로 던진 슛보다 바스켓에 도달하는 속력의 범위가 넓다. 다시 말해 ... ...
사해, 12만 년 전 완전히 말랐었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밑바닥에서 지질학적 역사를 확인할 수 있는 퇴적층을 분석해 지난 12월 초 미국 지구
물리학
연맹(AGU) 연례회의에서 발표했다.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해 퇴적층이 과거에 수차례 수위가 바뀌었고 간빙기에는 호수가 줄어들기도 했다. 최후의 빙하기에는 수면이 현재보다는 높았다. 사해 밑바닥 ... ...
“남 배려하는 따뜻한 학생 뽑겠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중하위권 정도였어요. 집이나 학교에서 의대 가라는 압력이 전혀 없었죠. 물리가 좋아서
물리학
과도 생각했는데 수학 문제를 푸는 것보다는 뭔가 만들고 부수고 그런 걸 좋아했어요. 시계도 좀 부쉈고요. 중학교때 라디오도 만들어봤는데 좀 별로였어요. 전기나 전자공학은 눈에 보이지 않잖아요. 전 ... ...
과학지가 그리는 물리 통하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2호
시기에 우리가 닿을 수 없는 우주의 먼 곳으로 방출돼 버렸다고 추측하고 있어요. 하지만
물리학
자들은 그 흔적이 바닷속이나, 달의 암석, 우주 공간에 아직 남아있다고 생각해서 지금도 자기홀극을 추적하고 있답니다.정말 자기홀극이 존재한다면 어떤 방법으로 자기홀극을 확인할 수 있을까요?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