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퀴"(으)로 총 1,529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각형 구멍 뚫는 삼각 드릴과학동아 l2002년 07호
- 될까. 평행선 사이의 거리가 로이렉스 삼각형의 폭과 같다면 이 도형은 평행선 사이를 바퀴처럼 굴러갈 것이다. 따라서 평행선 두쌍이 서로 수직으로 만나는 경우에는 정사각형 안에서 움직이게 될 것이다. 그리고 로이렉스 삼각형은 꼭지점 부분 약간을 제외한 정사각형의 모든 영역을 지나갈 수 ... ...
- 롤러코스터처럼 짜릿한 공학설계과학동아 l2002년 07호
- 내리막 궤도를 향해 떨어져 내린다. 급경사의 레일을 따라 흐르던 골프공은 연속 두바퀴를 회전하더니 마지막 트위스트 레일을 지나 도착점에 무사히 당도한다.대부분의 1학기 강의가 끝나 한적하기까지 한 6월 중순의 대학 캠퍼스. 수원에 위치한 성균관대 자연과학캠퍼스에는 초여름의 더운 ... ...
- 팔만대장경 기적의 보관 기술과학동아 l2002년 06호
- 하지만 더 놀라운 사실은 팔만대장경을 보관하는 선조들의 비법에 있다. 역사의 수레바퀴를 고려 고종 18년(1232)으로 되돌려보자. 몽골군 2차 침략으로 찬란한 문화유산들이 하나 둘 사라지는 역사의 뼈아픈 한 페이지가 시작되는 해다. 임금을 비롯한 온 국민의 피와 땀으로 만든, 2백년 불교 역사의 ... ...
- 명품의 명성, 과학이 만든다과학동아 l2002년 06호
- 둘러 바람 속에서도 켜지는 라이터를 선보였다. 마모가 잘 되지 않도록 철을 제련해 발화바퀴를 만들고, 오래 쓰는 심지를 만들기 위해 구리선을 집어넣는 노력도 있었다.지포라는 이름은 블레이스델이 당시 최고의 발명품이었던 지퍼(Zipper)의 이름에서 따와 만든 것이다. 이와 같은 품질에 대한 ... ...
- 목성의 새로운 가족 11개 위성 발견과학동아 l2002년 06호
- 무려 2천만km 떨어진 곳에서 돈다. 또한 대개 위성의 공전방향과 반대로 움직이고, 한바퀴 도는데 2년이 걸린다. 이런 점은 이 달들이 태양계 역사 초기에 형성됐을 가능성을 암시한다. 거대한 물체가 초기 목성에 다가와, 형성중인 다른 위성을 싸고 있던 가스로부터 조석력과 마찰력을 받았을 때 ... ...
- 1. 공중에 떠다니는 초고속열차 시대 개막과학동아 l2002년 05호
- 속도를 높일수록 마찰 등 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결국 저항이 한계점에 다다르면 바퀴가 공전하게 된다. 기존 열차로 낼 수 있는 안정적인 최고 속도는 시속 3백50km 정도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자기부상열차는 마찰력이 아닌, 전자기적 힘에 의해 추진한다. 자기부상열차의 바닥에는 초전도 코일이, ... ...
-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과학동아 l2002년 05호
- 빠르다. 진공에서 1초에 30만km를 이동한다. 지구 둘레가 4만km이므로 빛은 1초에 지구를 7바퀴 돈다. 그래서 옛 학자들은 빛의 속도가 무한하다고 생각했다.하지만 최근 2-3년의 연구에 따르면, 빛은 느림보다. 1초에 고작 8m를 이동할 정도로 말이다. 1백m 달리기로 따지면 12.5초에 해당한다. 1백m를 9.7 ... ...
- 반소음으로 차량 소음 잡는다과학동아 l2002년 03호
- 만나면 소음은 사라진다.박교수팀은 자동차의 앞좌석에서 느끼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앞바퀴의 현가장치 양쪽에 각각 2개씩 4개의 진동센서를, 그리고 운전석과 조수석 뒤 바닥에 2개의 스피커를 장치했다. 진동센서는 현가장치를 통해 발생되는 진동신호를 측정하고, 적응신호처리 시스템에서 ... ...
- 토성과 반달의 봄맞이 랑데부과학동아 l2002년 03호
- 시간을 의미한다.달은 밤하늘의 별을 기준으로 29.5일(약 4만2천4백80분) 동안 하늘을 한바퀴(360°)씩 돈다. 달의 겉보기 지름은 0.5°다. 따라서 달이 0.5° 움직이는데 걸리는 시간은 42480×0.5/360으로 약 60분이다.반면 별에 대한 토성의 위치는 이 시간 동안 거의 변하지 않는다. 토성이 달 뒤로 숨는 ...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과학동아 l2002년 03호
- 한다. 우주의 모양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지구의 모양을 알기 위해 배를 타고 지구를 한바퀴 돌던 옛사람들처럼 우주의 모양을 알기 위해 방대한 우주를 직접 가볼 수도 없는 노릇이다. 숲속에서 전체 숲을 알기 힘드니 장님이 코끼리를 더듬듯 더듬거릴 수밖에 없다. 다행히 우리에겐 우주에서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