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복"(으)로 총 3,383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약간 낮거나 같으면 우주선은 타원 모양으로 ‘닫힌 궤도’를 따라 지구 주위를 반복해서 돈다. 반대로 초기 속력이 지구 탈출속도와 같으면 포물선, 그보다 더 빠르면 쌍곡선 모양으로 무한히 뻗어 나가는 ‘열린 궤도’를 그린다. 한편 행성은 태양을 중심으로 계속 돌기 때문에 닫힌 궤도 위에 ...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나오지 않는 영상 20초, 귀신이 등장하는 30초,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 영상 20초)을 6번 반복해서 보여주는 식으로 진행됐다. 전조 장면을 중성 자극(삽입된 전조 장면은 주인공이 한 곳을 응시하는 장면이었다)으로, 귀신 장면은 공포를 자극하는 장면으로 본 것이다. 측정 결과, 뇌파의 활성도는 두 ... ...
- 개미 10마리 중 4마리는 ‘베짱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나뉘었다. 한 집단은 전형적인 일개미 집단으로 교대 근무를 하며 휴식과 작업을 반복했다. 이들은 전체의 약 60%를 차지했다. 하지만 나머지 40%는 3일 동안 거의 움직임이 없었다. 특정 개미 종은 쉬면서도 체내에서 분비물을 만들어 집단을 돕는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번에 실험한 종은 그런 특성도 ...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과학동아 l2015년 08호
- 그것이 DNA에 기록될 수 있다. 후성유전적 기록을 남기는 게 그리 어려운 것은 아니다.이 : 반복된 자극이 유전될 확률을 높였을 것이다. 후성유전적 표식들은 일반적으로 자주 사용될수록 더 높은 확률로 유전된다.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학습을 한다고 해서 반드시 여기에 영향을 받은 자손이 ...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200개에서 길게는 3000개에 달하는 구간에서 CpG가 평범한 서열에 비해 50배 이상 자주 반복된다. 흥미로운 점은 전사를 촉진하는 서열인 프로모터에서 CpG 섬이 자주 발견된다는 것이다. 인간 유전자의 프로모터 중 약 70%가 CpG 섬을 포함하고 있다. 평상시 프로모터의 CpG 섬 메틸화 비율은 다른 CpG 서열 ...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수학동아 l2015년 07호
- 핏줄, 잎맥, 하천 같은 모양에 ‘프랙탈’이 있다고 한다. 부분의 모습이 끝없이 반복돼 결국 그 모습과 닮은 전체 모습을 띠는 걸 말한다. 이 밖에도 해안선이 구불구불 이어져 있는 모양이나, 눈꽃의 모양도 프랙탈로 볼 수 있다.마구잡이로 생겨난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번개의 프랙탈 모양에는 ... ...
- 함께 나누는 수학 놀이 청주 중앙여중 파이(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원주율을 뜻하는 파이란 이름은 특별히 $π$를 좋아하는 신현 학생의 아이디어다. 끝없이 반복되지 않고 이어지는 숫자에 매력을 느꼈다고 했다. 동아리 지원서에 ‘$π$의 소수점 이하 100자리를 써 보시오’, ‘3월 14일은 무슨 날일까(화이트 데이 제외)?’ 같은 문항을 만들기도 했다.3.1415926535897…. ... ...
- 캘리그래피에 담은 수학자의 명언 판곡중학교 김상미 선생님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매일 공부할 분량을 주고 문제를 풀면 바로 채점해 주는 시스템이다. 사이버 가정학습을 반복하면 자기가 틀린 부분을 바로 알 수 있고 꾸준히 공부하는 습관을 기를 수 있다. 김 선생님은 이 방법이 수학 성취도가 낮은 제자들에게 특히 효과가 있다는 점을 알게 됐다. 이 연구 결과는 2008년 ... ...
- 성곽 길 따라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어땠을까요? 5km가 넘는 화성의 성벽에는 ‘원총안, 근총안, 원총안, 타구’가 계속 반복되는 구조로 이뤄져 있어요. 밖에서는 안이 보이지 않아 몸을 숨길 수 있고, 안에서는 넓은 시야를 통해 적이 어느 위치에 있든 공격할 수 있도록 만든 것이지요.꿩의 생존전략을 빌려 만든‘치’잠시 멈췄던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효율이 월등히 높아졌다. 기존 중앙처리장치(CPU)가 하던 작업 중 일부(병렬화가 가능한 반복 작업)를 GPU가 나눠 작업한 것이다.딥러닝 알고리듬 자체의 발전도 한몫 했다. 딥러닝은 캐나다 토론토대 제프리 힌튼 교수가 2006년 학술지‘사이언스’에 RBM이라는 새로운 딥러닝 알고리듬을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