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테스트
검사
실험
셤
고사
시도
진단
d라이브러리
"
시험
"(으)로 총 3,582건 검색되었습니다.
작년 수입된 GMO양, ‘역대 최대’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옥수수와 콩(대두) 물량이 줄었으며 소량을 차지하는 카놀라의 수입량만이 늘었다.
시험
·연구 목적 GMO는 총 1249건으로 2012년 234건보다 433% 급증했다.세계적으로는 지난해 유전자변형작물 재배 면적이 2012년보다 약 3% 늘었다. 한반도 전체 면적의 8배에 달하는 1억7530만ha(헥타르·1ha는 1만 m²)에 ... ...
공부의 적➊ 학습장애 공부 못 하는 천재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읽어야만 이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읽기보다는 대충 읽는 경향이 있다.• 평소 실력과
시험
실력에 차이가 있다.• 설명문의 이해력이나 논술 능력이 부족하다.• 철자법 실수가 평균보다 많다.출처 : 한국난독증본부증상을 보니 난독증인 것 같다고? 그렇다면 소아정신과로 가서 난독증 검사를 ... ...
국산 핵연료, 세계시장 석권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우라늄-몰리브덴(U-Mo) 합금 분말 핵연료를 최근 벨기에와 프랑스에 무상으로 제공해 성능
시험
에 들어갔다. 이번에 제공한 핵연료는 기존 고성능 연구로에서 사용하던 고농축 우라늄과 달리 핵무기를 만들 수 없는 저농축 우라늄이다. 저농축 우라늄은 그동안 고성능 연구로에 사용하기 어려워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않는 이유다.하이젠베르크는 뛰어난 이론물리학자였지만, 실험에는 젬병이었다. 졸업
시험
에서 실험에 대한 문제에 대답을 못해서 탈락할 뻔했다는 전설적인 이야기가 있다. 지도교수 조머펠트는 하이젠베르크가 “100년에 한 번 나오는 천재니까 특별히 봐주자”고 주장했다. 그랬더니 실험 ... ...
Bridge. 튤립은 어떻게 세상에 퍼졌나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먹어본 것이다. 설탕과 식초에 절여도 보고 끓이거나 삶거나 굽거나 해서 여러 가지로
시험
을 해보았을 것이다. 물론 먹을 수는 있었지만 별 맛이 없었다고 한다. 약성분도 발견하지 못했다. 다만 아름다울 뿐이었다. 그러나 사람들은 튤립을 내다버리지 않았다. 당시 유럽은 르네상스 시대가 시작돼 ... ...
신은 주사위를 던진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여러 장소에 동시에 존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호 글을 바탕으로 간단한 쪽지
시험
을 보자. 사진을 찍었더니 A라는 장소에서 전자가 발견되었다. 사진을 찍기 바로 직전에 전자는 어디에 있었을까? “그야 당연히 A 아닌가?”라고 답하시면 0점이다. 정답은 “아무도 모른다”이다.측정 직전까지 ... ...
새하얀 얼음 사막 위의 안식처에 가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신진호 대원은 세종기지에서 월동할 때는 전문의가 되지 못한 인턴이었다. 전문의
시험
을 미루면서까지 남극 월동을 택했다. 그리고 이제는 정형외과 전문의가 되어 장보고기지 월동대원으로 돌아왔다. 이미 월동을 다섯 차례 지내고 또다시 남극을 찾는 김홍귀 대원도 있다. 왜 그렇게 남극을 ... ...
서울대 가서 망했다?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것이다.저자는 미국 하버드대와 ‘평범한’ 30위권 이하 대학교를 비교한다. 미국 수능
시험
인 SAT 점수를 비교하면 하버드대 학생들의 입학 성적이 월등히 높다. 그런데 졸업생들의 성과를 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경제학과 박사 학생들이 저명한 학술지에 발표한 논문 수를 조사했는데 30위 이하 ... ...
공부 끝나면 커피 마셔!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시험
을 하루 앞두고 벼락치기를 할 때, 진한 커피 한 잔은 필수다. 새벽에 깜빡 잠들어버리는 낭패를 막기 위해서다. 그런데 이게 다가 아니다. 최근 공부를 한 뒤 블랙커피를 마시면 기억력이 더 좋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존스홉킨스대 정신 및 뇌과학과 마이클 야사 교수팀은 평소 커피 ... ...
면역세포로 암세포 ‘킬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지난해부터 이 단백질을 p53에서 떼어내 암세포가 자멸하게 만드는 유전자 치료제 임상
시험
을 진행 중이다.동물실험 결과 p53은 암 줄기세포 발생을 차단할 순 없지만 악성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데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밝혀졌다.유전자 치료법은 기존의 항암치료법에 비해 완치율이 크게 높진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