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d라이브러리
"
실험실
"(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있거나 기능의 일부를 도움받고 있는 사람을 총체적으로 사이보그라고 부른다생물학
실험실
에서 수행하는 모든 과정을 동전만한 크기인 하나의 칩 위에서 구현하는 장치인체 및 육식동물 체내에서 단백질이 분해될 때 생겨서 소변 중에 방출된다 수용액은 약염기성이다 이산화탄소와 암모니아의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몇 주안에 합성세포를 만들겠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탄생할 새로운 종의 세포는 ‘
실험실
에서 만든 마이코플라스마’라는 뜻의 ‘마이코플라스마 라보라토리움’(Mycoplasma laboratorium)이라고 이름 붙여졌다. 합성세포 기술로 지구온난화 막을 터벤터 박사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몇 주안에 ... ...
과학동아 1월호 특별선물 액정온도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필요 없이 정확한 온도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필름처럼 얇아 활용폭도 매우 넓다.
실험실
비커의 온도를 잴 때 비커 바깥쪽에 액정온도계를 붙여 놓으면 실험할 때 온도 변화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냉장고나 방한복처럼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제품의 성능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 ...
주방이 '
실험실
'인 분자요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요리 과정, 즉 식재료의 변형을 일으키는 현상은 근본적으로 화학과 물리학 이상의 것이 아니다.- 에르베 티스, 『분자요리』중에서-1988년 프랑스 화학자 에르베 티스와 헝가리 물리학자 니콜라스 쿠르티는 요리의 물리·화학적 측면에 대한 국제 워크숍을 준비하던 중 이 분야에 적합한 이름을 짓 ... ...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거대한 연구프로젝트를 이끌었던 크레이그 벤터 박사는 이 방법으로 수주 이내에
실험실
에서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어 낼 거라고 주장했다. 그가 새로운 생명체를 만들었다는 소식이 아직 들려오진 않지만 전문가들은 벤터 박사의 지금까지 연구 성과를 볼 때 불가능한 일은 아니라고 말한다.이와 ... ...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안 잡혀 멀뚱히 화면만 바라보기 일쑤였다. 특히 이공계 학생이나 과학자에게 글쓰기는
실험실
에서 밤새 연구하는 일보다 더 고역일지 모른다.자신의 연구결과를 잘 표현하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과학자들 사이에서 공감을 얻으며 이공계를 위한 글쓰기 책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인문학적 ... ...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5년간 총 20억 달러를 들여 제작한 유럽우주국(ESA)의 과학
실험실
'콜럼버스'가 2008년 1월 중으로 국제우주정거장(ISS)을 향해 발사될 예정이다. 일단 콜럼버스가 성공적으로 발사돼 운영된다면 유럽의 첫 번째 영구 우주기지가 될 ISS의 연구 역량을 두 배로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선통신 ... ...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세포' 만들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기술과 유전체를 세포에 이식하는 방법을 이미 개발했으니 어쩌면 내일 아침에라도 ‘
실험실
세포’의 출현을 알리는 뉴스를 보게 될지 모른다.하지만 일각에서는 벤터가 개발하려는 인공생명체는 유전체만 인공적으로 만들어 세포에 이식했을 뿐, 세포의 모든 구성요소를 합성하지는 않았기 ... ...
과학자들의 친구 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쥐 게놈을 연구한 첫 번째 연구소라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잭슨연구소는 세계 각지의
실험실
에서 사용하는 쥐의 80% 이상을 공급할 정도로 규모가 커졌습니다. 축적된 연구결과와 실험쥐에 대한 신뢰성이 ‘실험 쥐=잭슨’의 명성을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잭슨연구소에서 만든 인브리드 ... ...
신물질을 디자인합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말했다. 나노튜브에서 초전도물질까지컴퓨터에서 만들어져 그 특성이 밝혀진 물질은
실험실
에서 합성된다. 특히 나노튜브처럼 매력적인 특성을 가진 물질이라면 더욱 그렇다. 1991년 일본전기회사(NEC)의 이지마 스미오 박사가 탄소나노튜브를 발견한 뒤 많은 물리학자들이 탄소가 아닌 다른 원소로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