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실
실습실
연구소
시험소
시험실
시험장
실험장
d라이브러리
"
실험실
"(으)로 총 2,125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방이 '
실험실
'인 분자요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요리 과정, 즉 식재료의 변형을 일으키는 현상은 근본적으로 화학과 물리학 이상의 것이 아니다.- 에르베 티스, 『분자요리』중에서-1988년 프랑스 화학자 에르베 티스와 헝가리 물리학자 니콜라스 쿠르티는 요리의 물리·화학적 측면에 대한 국제 워크숍을 준비하던 중 이 분야에 적합한 이름을 짓 ... ...
특집02 세포창조 무한도전 성과 있을까?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몇 주안에 합성세포를 만들겠다고 주장했다. 이렇게 탄생할 새로운 종의 세포는 ‘
실험실
에서 만든 마이코플라스마’라는 뜻의 ‘마이코플라스마 라보라토리움’(Mycoplasma laboratorium)이라고 이름 붙여졌다. 합성세포 기술로 지구온난화 막을 터벤터 박사는 가디언과의 인터뷰에서 몇 주안에 ... ...
모래쥐도 나(me), 너(you) 구분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수 있었다. 그래서 선택한 동물이 ‘몽골리안 저빌’(Mongolian gerbil), 일명 모래쥐였다.
실험실
속 모래쥐의 눈앞에 두 개의 먹이통을 각각 왼쪽과 오른쪽에 놓아뒀다. 미리 녹음해둔 모음 소리를 1초 간격으로 반복해 들려주며 특정 모음의 소리를 들려줄 때는 어느 한쪽 통에 먹이가 있다는 사실을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식생활 서구화 등이 원인이다저항기의 하나 저항값을 임의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실험실
에서 사용하는 슬라이드 저항기가 이에 속한다 전극(電極)의 한쪽을 움직여 전기용량을 바꿀 수 있는 축전기 후대검정(後代檢定)을 응용하여 가축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의 하나 개체보다 그 가계 ... ...
특집03 뚝딱뚝딱 '프랑켄슈타인 세포' 만들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기술과 유전체를 세포에 이식하는 방법을 이미 개발했으니 어쩌면 내일 아침에라도 ‘
실험실
세포’의 출현을 알리는 뉴스를 보게 될지 모른다.하지만 일각에서는 벤터가 개발하려는 인공생명체는 유전체만 인공적으로 만들어 세포에 이식했을 뿐, 세포의 모든 구성요소를 합성하지는 않았기 ... ...
과학동아 1월호 특별선물 액정온도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필요 없이 정확한 온도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고, 필름처럼 얇아 활용폭도 매우 넓다.
실험실
비커의 온도를 잴 때 비커 바깥쪽에 액정온도계를 붙여 놓으면 실험할 때 온도 변화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냉장고나 방한복처럼 온도를 유지해야 하는 제품의 성능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 ...
예비 과학도를 위한 글쓰기 매뉴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안 잡혀 멀뚱히 화면만 바라보기 일쑤였다. 특히 이공계 학생이나 과학자에게 글쓰기는
실험실
에서 밤새 연구하는 일보다 더 고역일지 모른다.자신의 연구결과를 잘 표현하는 능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과학자들 사이에서 공감을 얻으며 이공계를 위한 글쓰기 책이 쏟아지고 있다. 그러나 인문학적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있거나 기능의 일부를 도움받고 있는 사람을 총체적으로 사이보그라고 부른다생물학
실험실
에서 수행하는 모든 과정을 동전만한 크기인 하나의 칩 위에서 구현하는 장치인체 및 육식동물 체내에서 단백질이 분해될 때 생겨서 소변 중에 방출된다 수용액은 약염기성이다 이산화탄소와 암모니아의 ... ...
특집01 전자회로 설계하듯 생명체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낸다.리블러 교수와 리아오 교수의 연구는 유전자의 발현 형태를 인위적으로 설계해
실험실
에서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로 사람들의 관심을 모았다. 생명공학자들은 이런 기능을 하는 유전자회로를 다른 유전자회로와 조합해 마치 부품처럼 사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생명회로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먼지 기준은 지름 0.5μm 이상인 먼지가 30㎤의 부피당 1000개보다 적어야 하는데, 연구단의
실험실
은 이 기준의 10분의 1 수준인 100개를 유지하고 있다.국내에 MEMS 기술을 뿌리내린 조 교수는 기계공학자다. 하지만 생물학자보다 더 생물에 관심이 많다. 건강한 세포가 몸속에서 어떻게 움직이고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