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미지
형상
그림
화상
심상
사진
회화
d라이브러리
"
영상
"(으)로 총 3,019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 자율적으로 배우는 SW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교사는 자체적으로 교재를 만들기로 했다.박 교사는 각종 인터넷 사이트와 관련 서적 및
영상
을 찾아 자료를 수집했다. 또한,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주최하는 소프트웨어 교육 연수에 참여해 전문가들을 만나 관련 정보를 얻기도 했다. 그리고 직접 자료집을 만들었다. 코딩을 낯설어 하는 학생들의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화성탐사를 할 때 지상의 탐사로버와 화성 주위를 돌고 있는 탐사선에서 보내오는
영상
을 토대로 임무를 결정한다. 하지만 탐사선은 너무 멀리 있어 사진의 해상도가 낮고, 탐사로버가 보내는 이미지는 볼 수 있는 범위가 제한돼 있다. NASA는 탐사의 효율을 위해서 오래 전부터 화성에 비행체를 띄울 ... ...
[Career] 뇌와 컴퓨터가 만나면 어떤 향기가 날까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낮춰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 장치 자체는 이미 개발된 기술을 활용했지만,
영상
과 온도 정보를 분석하고 DB 정보와 비교한 뒤 진단 후보 리스트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는 연구팀이 독자적으로 개발했다. 강 연구원은 “현재 의료기기 인증을 받기 위해 임상시험을 준비하고 있다”며 ... ...
[과학뉴스] 우주 속 은하는 1000억 개가 아닌 1조 개!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물리·천문학부 크리스토퍼 콘셀라이스 교수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심우주
영상
을 모아 3차원으로 변환했다. 사진에는 별들이 2차원 평면에 배열돼 있지만 사실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분포가 달라지는 3차원 공간에 있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3차원 이미지에서 은하의 개수를 셌다. 또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수 없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이
영상
을 보는 동안 실시간으로 심장박동수를 재고 자기공명
영상
(MRI)으로 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참가자들은 무서운 장면이 나타나기 약 10초 전에 전대상피질(ACC)이 활성화됐다. 이 부위는 무엇인가 집중하거나 충동적으로 내리는 결정을 ... ...
[수학뉴스] 우울할 땐 암산이 약이다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면담을 했습니다. 그 뒤 머릿속으로 간단한 뺄셈 문제를 풀게 하면서 fMRI(기능성자기공명
영상
)를 찍어 뇌의 활동을 관찰했습니다.그 결과 뇌에서 감정 조절을 담당하는 전전두엽 피질이 활성화 됐습니다. 전전두엽 피질이 반응하지 않으면 우울한 감정을 느낍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자기장으로 이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과정을 재현했다(DOI: 10.1038/NPHYS3632).우선 주름이 생기지 않은 태아의 뇌를 자기공명
영상
(MRI)으로 촬영한 다음, 3D 프린터로 모형을 만들었다. 이것을 바탕으로 주형을 만든 뒤 폴리다이메틸실록산(PDMS)이라는 실리콘 기반 탄성고분자 물질을 주형 안에 부어서 실제 뇌처럼 말랑말랑한 젤 형태의 뇌 ... ...
[과학뉴스] 알고 보면 더 신기한 ‘더블 이클립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가리며 지나가는 동안 달이 태양 앞을 통과하는 매우 드문 이벤트다. 촬영한 사진과
영상
은 NASA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됐다.NASA는 이번 관측을 통해 지구 그림자와 달 그림자에 확연한 차이를 발견했다. 지구의 그림자는 흐릿하게 찍힌 반면, 달의 그림자는 선명하게 찍힌 것이다. 연구팀은 “지구는 ... ...
PART 2. 로봇의 도전, 가장 사람다운 표정 만들기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똑같은 행동을 하는 화면을 보여줬다. 그리고 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기능성자기공명
영상
(fMRI)을 촬영해 관찰했다. 휴머노이드는 일본 오사카대 이시구로 히로시 교수가 만든 것으로 얼핏 보면 사람과 똑같이 생겼다.실험 결과 참가자들은 사람을 볼 때와 로봇을 볼때 뇌가 활성화하는 양상이 ... ...
[과학뉴스] 개도 ‘립서비스’ 구분한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연구팀은 개가 사람의 말을 들을 때 뇌의 어느 부위가 활성화되는지 기능성 자기공명
영상
(fMRI)으로 관찰했다. 연구팀은 개 13마리에게 각각 내용 또는 억양을 다르게 말하고, 그 때마다 뇌에 나타나는 차이를 비교했다.실험 결과, 뇌에서 활성화되는 부위가 사람이 단어나 억양을 인지할 때와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