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자
구성원
알맹이
극소량
티끌
미립자
브이
d라이브러리
"
입자
"(으)로 총 2,810건 검색되었습니다.
흠집 스스로 고치는 탄소구조체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전혀 다른 일이 벌어졌다. 틈새에 끼어든
입자
가 사방에 압력을 가해 결정을 만드는
입자
간 거리가 재조정된 것이다. 그 결과 원래 있던 흠집이 ‘스스로’ 사라졌다.연구팀은 “각광받는 전도체인 그래핀에는 항상 결점이 있어 문제였는데, 이 기술로 순도 높은 고전도성의 그래핀을 만들 수 있게 ... ...
제9회 바이오현미경사진전 수상작 - 산호가 꽃 속에서 춤을 추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얇게 잘려 말려 올라갔다.암흑 속 영롱한 보석김학현 | 바이오과학상(일반부)감자의 전분
입자
에 빛을 강하게 주고 미분간섭현미경으로 촬영했다. 빛을 받아 영롱하게 반짝이는 보석들이 흩뿌려져 있다. 루비나 사파이어, 다이아몬드와도 전혀 다른 다채로운 빛을 뿜어내고 있는 아름다운 보석들은 ... ...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거의 100년 동안 물리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을 일으켜 왔다. 논란의 핵심은 양자적인
입자
가 모순되는 서로 다른 상태를 동시에 가질 수 있다는 ‘중첩 현상’이다. 중첩 현상은 동전 하나를 던져 앞면과 뒷면이 동시에 나오는 것으로 비유할 수 있다. 이런 기묘한 중첩현상은 때론 획기적인 ... ...
“물과 기름, 친해지고 싶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입자
의 모양을 결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분자 나노
입자
를 합성할 때도 계면활성제를 첨가해 에멀전 중합법으로 합성하는데, 계면활성제로 인해 균일한 고분자 물질 합성이 가능하다. 또한 염료 감응형 태양 전지를 만들기 위한 혼합액을 제작할 때도 ... ...
양날의 칼, 나노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사진을 보여주었다. 꽃잎 같기도 하고, 벽지 무늬 같기도 한 그림의 정체는 나노 크기의
입자
를 쌓아올린 모습을 촬영한 것이었다. “아직은 단층구조이지만 점차 좀 더 복잡한 복층 구조를 만드는 것이 연구단의 도전과제입니다. 나노 크기의 설계에서 시작해 마이크로 크기의 구조를 만들고, 눈에 ... ...
태양에서 물이 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달 표면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얼음 형태의 물
입자
가 태양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가 나와 주목받고 있다.양 리우 미국 테네시대 ... 매우 뜨거운 태양풍에서는 거의 발견되지 않는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달의 물
입자
를 이루는 수소이온은 태양풍에서 전달됐다는 결론을 내렸다 ... ...
오! 나의 과학선생님! Oh! my Science Teacher!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좋은 기회랍니다.첨단 과학 현장을 누비는 우리 선생님!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핵
입자
물리연구소(CERN) 과학자들이 한국 과학선생님을 만난다고?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중·고등학교 과학선생님들께 첨단 과학 연구의 현장을 견학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하고 있어요. NASA와 CERN 연구소 과학자들을 ...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성질이 변하는 물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재료들로 몇 겹의 보호막을 만들면
입자
빔이나 대포는 물론 레이저 광선도 막아낼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기술로는 불가능하지만 100년 내에는 실현되지 않을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30 미래무기열전Part 1. 미래 전장에 뛰어들다Part 2. 창 ... ...
대한민국의 공기를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물방울을 형성하는지 관측한다. CCD카메라로 초당 수십 프레임을 찍어 부피가 커진
입자
의 개수를 세는 방식이다. 박 교수는 “구름은 기후 변화에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에어로졸이 구름의 형성에 영향을 끼치는 메커니즘이 아직 불확실해 이에 대해 연구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북극 ... ...
태양~지구 거리 정해졌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au는 행성의 위치에 따라 1km 정도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최근에는 au를 ‘질량이 무한소인
입자
가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태양 주위를 하루에 0.01720209895 라디안이라는 각속도로 돌고 있을 때 그 궤도의 반지름’으로 정의하고 있다. 그러나 계속해서 질량이 변하는 태양을 기준으로 삼고 있기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