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관
예상
경치
미래상
희망
비전
관망
d라이브러리
"
전망
"(으)로 총 2,7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암 발생 20년 전에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바이오마커를 탐색하는데 사용할 수 있어 2015년이면 환자에 따른 맞춤형 치료가 가능할
전망
이다. 암줄기세포로 암 잡기10~20년 뒤 미래에 암줄기세포를 찾아낼 수 있다면 암 치료 뒤 재발을 방지할 뿐 아니라 암이 발생하기 10~20년 전에 미리 진단해 예방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항암치료나 ... ...
바이오 에탄올 만드는 인공세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장기적으로 유가가 고공 행진을 한다면 바이오 에탄올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할
전망
이다.황 교수는 바이오 에탄올을 개발하기 위해 인공세포의 기능을 높일 계획이다. 그는 “지금은 바이오 에탄올을 만들 때 옥수수 알갱이만 쓰지만 앞으로는 옥수수대와 옥수수잎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PART3 암세포 잡는 삼총사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영양을 공급하는 새로운 혈관의 생성을 막는 ‘다표적치료제’가 화학요법의 중심에 설
전망
이다. 정상세포를 손상시키지 않고 암세포만 죽이는 표적치료제를 개발해 털모자를 쓴 암환자의 모습이 하루빨리 추억 속으로 사라지길 기대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15년 천방지축 암 ... ...
PART1 개인 맞춤형 암 관리시대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싱크탱크’인 국립암센터는 암 조기검진을 하는 의료기관을 평가하는 책임을 맡을
전망
이다.지난해 10월 말 개정된 암관리법에 따라 ‘암 예방의 날’이 3월 21일로 정해졌다. 유 원장은 “암을 예방하는데는 식습관이나 운동 같은 생활습관이 중요하다”며 “금연은 암 예방의 필수”라고 밝혔다. ... ...
3. 잠들어있는 마스터유전자를 깨워라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메커니즘이 비교적 단순한 경우는 줄기세포치료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
했다. 실제로 골수에서 추출한 성체줄기세포로 피부나 연골을 배양하는 기술은 임상시험이 시작됐다.그러나 주위의 세포들과 복잡하게 얽혀 끊임없이 소통해야하는 신경세포의 경우 좀 더 난해하다. 시험관에서 ... ...
2. 선폭 줄이면 매트릭스 세상이 온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이런 새로운 물질들이 등장해도 실리콘을 기초로 하는 소자가 단번에 사라지지는 않을
전망
이다.탄소나노튜브와 나노와이어는 크기나 밀도를 조절하기 굉장히 어려워 상용화까지는 뛰어넘어야할 기술적인 문제가 많다. 게다가 연구실이 아닌 공장에서 반도체를 대량 생산해 내기에는 아직 ... ...
아낌없이 주는 돼지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해결해야 할 문제가 수없이 많지만 이종간 장기 이식은 언젠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
했다.그러나 이종간 장기 이식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도 만만치 않다. 서울대 수의학과 우희종 교수는 “면역은 생물의 생존 시스템”이라며 “이종간 장기 이식은 생물의 개체성을 부인하는 것으로 거의 ... ...
인디언들은 초신성 폭발을 봤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안타레스와 목성, 화성은 2007년을 시작하는 1월 새벽하늘을 밝게 빛내는 주역이 될
전망
이다.안타레스와 화성의 색깔 싸움도 볼만하다. 이 무렵 화성의 밝기는 1.5등급으로 평소의 화성에 비해 다소 어둡지만, 0.9등급의 안타레스의 밝기와 비슷해서 둘은 좋은 경쟁자가 된다. 화성과 안타레스 중 어느 ... ...
침이 고통을 덜어준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통증완화 물질인 ‘오피오르핀’이 발견돼 부작용 없는 진통제 개발의 길이 열릴 것으로
전망
된다.프랑스 파스퇴르연구소의 카테린 루조 박사팀은 사람의 침에서 모르핀보다 6배나 강한 효과를 내는 천연 통증완화 물질을 발견해 오피오르핀으로 명명했다고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11월 13일자에 ... ...
2. 부모 얼굴, 골라 닮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90명의 DNA를 분석한 것으로 인종 간 비교분석 연구, 유전질환 연구 등에 널리 활용될
전망
이다.앞으로 더 많은 사람들의 SNP 정보를 모아서 뒤지면 ‘예쁜 눈 유전자’ ‘예쁜 입술 유전자’를 찾을 수 있지 않을까? KAIST 분자생리학실험실 박기연 연구원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다”고 말했다.먼저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