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세
조류
진행
경향
유입
유통
형국
d라이브러리
"
흐름
"(으)로 총 2,209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는 만큼 받는다! 이공계 장학금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수행할 예정 이어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과학발전과 경제 성장은
흐름
을 같이 하는데, 우수한 인재가 의대나 법대에만 몰리는 현실이 안타깝다. 이런 상황에서 자신의 꿈과 비전을 향해 커다란 공을 쏘아 올리는 학생들에게 든든한 지원군이 돼줄 이공계 장학금에 대한 지원 ... ...
물위에 예술이 흐른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발상지가 모두 강을 끼고 형성된 것도 같은 이유다.특히 ‘아트카날 2006’에서는 물의 ‘
흐름
’(fluid)에 주목했다. 물은 흘러서 마을과 마을을 연결하고 다시 나라와 나라를 연결하며 결국에는 지구 전체를 순환한다. 이 과정에서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들이 교류하고 융합한다. 물은 대륙과 문화를 ... ...
탐사선'스마트1', 달에 충돌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기구로 이용하는 비교기 유출구와 그 곁에 놓인 물체 사이의 틈에서 나오는 압축공기의
흐름
이 측정할 물체의 크기의 변동에 따라 변하는 것을 이용한다 해저에서 공기의 기포(氣泡)를 뿜어 올려 파도를 없애는 장치 자체의 무게와 강도로 강력한 파도의 힘을 이겨내고, 물결이 항내(港內)로 ... ...
연구도 인생도 흐르는 강물처럼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대기에서 일어나는 물의 순환을 이해한 뒤 인간이 활동하는 공간에서 벌어지는 물의
흐름
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공학자인 선우 교수의 실험실은 거대한 자연이라고 하는 것이 마땅하지 않을까.공대 2학년 시절 산악회에 가입한 덕에 요즘도 산을 자주 오르는 선우 교수는 ... ...
그대에게 바치는 가을 보약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한국이 이웃나라와 비교해 유독 보약을 선호하는 경향은 조선 후기 이후의 이런
흐름
과 무관하지 않다.흔히 보약은 ‘먹어도 좋고 안 먹어도 그만’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한의학에서는 보약이 허증(虛證)을 치료하는 중요한 방법이다. 허증은 요즘 말로 하면 신체 기능이 떨어진 상태를 뜻한다. ... ...
시베리아 메탄가스, 온난화 가속시키나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이 지역에서 얼마나 많은 메탄가스가 배출되는지 정확히 알지 못했다. 일정한
흐름
으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지역에서 무작위로 메탄 거품이 배출되고 있기 때문이다.조사단이 추정한 시베리아 북부지역 영구동토층에서 방출되는 메탄가스의 양은 매년 380만톤으로 기존 추정량의 5배에 ... ...
인터넷 거래를 위한 일회용 비밀번호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운동방정식 점성률이 0인 완전유체를 비롯하여 경계층에서의 소용돌이의 발생이나
흐름
이 불안정하여 난류(亂流)가 생기는 데까지 광범위한 현상에 응용되고 있다하나의 정곡선(定曲線)이 나사선적 운동(定直線의 둘레에 일정한 角速度로 회전하면서 그 정직선의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 ...
기름땅에 꽃이 필까?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우기와 겨울철 건기를 거치면서 지하수위가 변함에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고, 지하수의
흐름
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오염이 확산된다. 일단 기름층이 발견된 땅에서는 지하수가 오염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빨리 제거해야 한다.기름층은 대롱처럼 생긴 둥근 우물인 ‘관정’(well)을 땅에 박아 ... ...
6층 보다 높은 곳에서 떨어져야 안전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아닌 물체가 공기 중에서 빠른 속도로 움직이면 물체의 뒷부분에 소용돌이 모양의 공기
흐름
이 생긴다. 이에 따라 물체에는 물체의 운동을 방해하는 방향으로‘끌림힘’(drag force)이 생긴다. 소나기와 높은 곳에서 떨어지는 고양이의 속도, 스키선수가 몸 을 움츠리는 이유는 끌림힘으로 설명할 수 ... ...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날개 위를 지나는 공기
흐름
이 아래를 지나는 공기의
흐름
보다 빨라서 기압차가 생겨야 위로 뜨는 힘, 즉 양력을 얻을 수 있다. 지금 관점에서는 한심한 결론이지만, 인류가 양력의 원리를 이해하고 비행기를 처음 발명한 것은 무려 400년 후의 일이다. 레오나르도의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