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유전공학"(으)로 총 1,396건 검색되었습니다.
- DNA만 알고 RNA는 모른다면, 아니 아니 아니되오~ 2016.06.19
-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는 복잡하게 얽혀 있는 유전체 사이의 RNA(리보핵산)를 나타낸 상징적인 그림으로 장식됐다. 곳곳에 RNA가 어디로 향할지를 나타내는 이정표가 눈에 띈다. RNA는 핵산의 일종으로 DNA에 새겨진 유전정보에 따라 필요한 단백질을 합성할 때 직접 작용하는 고분 ... ...
- 新 유전자 가위로 돌연변이 쥐 생산 첫 성공2016.06.07
- 유전자 가위는 특정 효소를 이용해 유전자를 임의로 교정하는 기술을 뜻한다. 이 기술은 유전공학 혁명을 일으키면서 최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동물실험을 넘어 의학, 농업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이다. 실례로 영국 로슬린 연구소 연구진은 유전자 가위 기술로 바이러스성 질환에 강한 ... ...
- 유전공학 인간 만드는 세상 올까… 유전자 ‘쓰기’ 연구 출범2016.06.03
- 사이언스 3일자에 실린 기고문 - 사이언스 제공 해외 과학자들이 인간의 유전체(게놈)를 인간에게서 분리하는 것이 아닌 화학적으로 새롭게 합성하는 ‘인간 게놈’을 만드는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을 공식 발표했다. 제프 뵈커 미국 뉴욕 랑곤 의료센터 교수를 주축으로 하는 과학자 25명은 ‘사이 ... ...
- 식탁 위의 GMO 안정성 논란, 20년 째 진행 중2016.06.03
- 미국의 아쿠아바운티사가 개발한 GM연어(뒤)와 일반 연어. 3년씩 걸리던 성장 기간을 16~18개월로 단축했다. - 아쿠아바운티 제공 가뭄에 강한 옥수수, 해충에 끄떡없는 콩, 빨리 자라는 연어까지…. 미국에서 유전자변형작물(GMO)이 처음 팔리기 시작한 지 꼭 20년이 흘렀다. 현재 GMO는 세계 식품 시 ... ...
- 냉장고 속 식품 먹어도 되나 “전자코가 알려준다”2016.06.03
- 코끼리는 후각 수용체가 1948개로 사람의 5배에 이른다. 이 때문에 전자코 연구진은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해 냄새 물질과 반응하는 수용체를 계속해서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전자코 시스템에 붙일 후각 수용체가 늘어날수록 사람처럼 다양한 냄새를 구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연구진은 ... ...
- 유전체 데이터도 ‘구글링’해서 설계한다2016.05.23
- Pixabay 제공 국내 연구진이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한 유전체 데이터 설계 기술을 개발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김민수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와 구재형 뇌·인지과학전공 교수 공동연구팀은 구글 검색에서 이용하는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해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빠르고 정확하게 설 ... ...
- 천연물 신약, 이렇게 하면 쉽고 정확하게 개발2016.05.10
- 주목나무에서 추출한 천연 항암제 ‘택솔’. - 동아일보DB 제공 국내 연구진이 천연물에서 추출한 화합물 가운데 신약 후보물질을 쉽고 정확하게 찾는 방법을 새롭게 개발했다. 권호정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팀은 천연물을 정제한 화합물을 만났을 때 생리 활동이 직접적으로 조절되는 생체 ... ...
- 빅데이터 이용해 암 유발 유전자 찾는다2016.05.10
- 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빅데이터 기술을 이용해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유전자 후보를 선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현주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사진)팀은 암세포에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적용해서 얻은 빅데이터로 암을 발생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유전자 영역을 ... ...
- ‘캡틴 아메리카: 시빌워’ 속 슈퍼영웅, 과학적으로 가능할까2016.05.08
- ※이 기사는 최근 개봉한 영화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에 대한 스포일러를 일부 포함하고 있습니다. 영화 ‘캡틴 아메리카: 시빌워’의 공식 포스터 -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모션 픽처스 제공 영화 ‘캡틴 아메리카’ 시리즈의 세 번째 개봉작인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이하 시빌워)’가 ... ...
- 검사가 수학을 공부하는 이유: 디지털 증거, 수학으로 찾는다!수학동아 l2016.05.05
- ※ 편집자주: 수학자도 수학 교사도 수학 전공자도 아니다. 그런데 수학을 공부하는 어른이 있다. 이들이 수학을 공부하는 이유를 소개한다. 매주 토요일마다 서울대 129동 강의실에서는 대학생이라고 하기에는 나이가 많이 보이는 어른이 수학 수업을 듣는다. 그것도 정수론, 대수학, 암호학 등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