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지
신문
journal
져널
간행물
메거진
정기간행물
뉴스
"
저널
"(으)로 총 3,04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준혁 KAIST 교수·정성아 경북대 교수, IEEE 잭 뉴바우어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1.07.02
2일 밝혔다. 잭 뉴바우어 상은 이동체와 이동통신 분야 국제학술지 ‘IEEE 이동기술 분과
저널
’에 출판된 지난 5년간 논문 중 가장 우수한 논문에 주는 최우수 논문상이다. 강 교수는 2018년 당시 미국 하버드대 박사후연구원이던 정 교수와 오스왈도 시메오네 영국 킹스칼리지런던 교수와 공동 ... ...
코로나바이러스, 코 속 섬모세포에서 증식 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7.02
섬모상피세포에서 일어난다는 사실을 규명하고 2일 의학 분야 국제학술지 ‘임상연구
저널
’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의 인체 감염은 호흡계의 상부인 비강, 인두, 후두, 기관지 등 상기도 조직을 통해 감염된다고 알려졌지만 아직 정확한 부위는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 ... ...
말 많은 임팩트팩터 대신할 새로운 학술지 평가지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1
유용한 정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클래리베이트는 당분간 기존과 동일하게 매년
저널
의 임팩트팩터를 발표할 방침이다. JCI가 성숙한 단계에 이를 때까지 임팩트팩터와 병행해서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좀저 소장은 “JCI가 임팩트팩터를 바로 밀어 내지는 않을 것”이라며 “클래리베이트는 ... ...
달과 비슷한 크기에 태양 질량 1.35배 '극단적' 백색왜성 확인
연합뉴스
l
2021.07.01
지구에서 약 130광년 떨어진 곳에서 관측된 백색왜성 ZTF J1901+1458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Nature)에 발표했다. 이 백색왜성의 지름은 약 4천272㎞로 달(3천475㎞)보다 약간 더 큰 정도지만 질량은 태양의 1.35배에 달한다. 지금까지 가장 작은 백색왜성 기록은 지름 약 4천960㎞의 RE J0317-85 ... ...
중소기업 스마트공장에 동형암호 적용 안전진단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1.06.29
안전 진단에 활용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하고 제조 분야 국제학술지 ‘제조시스템
저널
(Journal of Manufacturing Systems)’ 19일자에 발표했다. 동형암호는 원래의 데이터를 수학 함수를 변형시켜 알아볼 수 없게 암호화한 뒤 이를 암호가 걸린 상태 그대로 분석해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 ...
금성 대기 중 수분 너무 적어 지구 호극성균조차 생존 못해
연합뉴스
l
2021.06.29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을 만큼 수분을 갖고있는지에 초점을 맞춘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황산 농도가 높은 금성 대기의 수분 가용성을 나타내는 '수분활성도'(water activity)가 0.004로 지구의 100분의 1에도 못 미쳐, "생명체 활동에 필요한 수준과는 ... ...
'5년내 치매 걸릴 확률 얼마일까' 온라인 치매 예측계산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6.28
이 계산기는 연구팀이 영국의학
저널
(BMJ)이 발간하는 의학학술지 ‘역학지역사회 보건
저널
’에 이달 24일(현지시간) 발표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개발됐다. 이 연구는 캐나다 온타리오주에 거주하는 주민 7만 5460명을 11년 간 추적 연구한 것으로 이 중 8448명이 치매에 걸렸다. 치매 걸린 사람과 그렇지 ... ...
'별의 탁아소' 둘러싼 가스 거품, 별 생겨날 때마다 팽창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5
용골자리 성단 ‘웨스터룬드 2’를 분석한 연구결과를 23일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
저널
’에 발표했다. 웨스터룬드 2는 주변에 두 개의 가스 거품이 존재해 별이 탄생하는 지점으로 추정돼 왔다. 별은 가스와 먼지구름 같은 성간물질이 서로 중력에 의해 끌어 당겨지고 뭉쳐지며 만들어진다. 별 ... ...
美 연구진 “2019년 12월 코로나 첫 발병 이전 중국 우한서 이미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1.06.24
실험 테스트를 설명하는 또다른 연구를 발견했다. 중국 연구진들은 3개월 후 이를 과학
저널
에 발표했다. 이 연구에서 중국 과학자들은 “유행 초기에 코로나19로 의심되는 외래 환자한테 채취한 45개의 샘플을 조사했다”고 쓴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학자들은 샘플에서 추출한 유전체 시퀀싱 ... ...
또 밝혀진 코로나 '비밀 무기', 뇌 밖에서 뇌 염증 일으킨다
연합뉴스
l
2021.06.23
독일 자를란트 대학 과학자들이 함께 수행했다. 관련 논문은 21일(현지 시각)
저널
'네이처(Nature)'에 실렸다. 신종 코로나의 스파이크 단백질은 뇌의 염증성 부산물 분비를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는 브레인 포그 등 인지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미국 워싱턴 의대 Alice Gray / 재판매 및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