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덮개
커버
표시
책표지
뚜껑
간판
사인
뉴스
"
표지
"(으)로 총 2,168건 검색되었습니다.
[
표지
로 읽는 과학]반도체·배터리 혁신 가져올 나노다결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1.18
규칙적으로 배열해 성능을 향상시킨 다결정 소재를 만들어 연구 결과를 네이처 16일자에
표지
논문으로 실었다. 다결정 소재란 수많은 작은 결정 알갱이들이 서로 엉겨 붙어 만들어진 소재로, 가격이 저렴하고 쉽게 만들 수 있어 태양전지판이나 배터리 흑원 전극을 만들 때 쓰인다. 결정 ... ...
세포 움직임까지 느끼는 3D 촉각 인식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촉각 인식장치를 뾰족한 구두 굽으로 밟아 압력을 주었다. 촉각 인식장치 내 총 400개의 센서가 압력을 실시간으로 감지했다. 초록색이 압력이 감지된 영역이며, 색이 진할수록 ... 후속 연구로 개발중”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레터스’ 15일
표지
논문으로 게재됐다 ... ...
학생이 실험하다 떠올린 아이디어가 배터리·태양전지 혁신할 나노소재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16일 네이처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표지
의 그림은 일반적인 다결정 재료의 불규칙한 모습과 여러 이번 연구에서 합성된‘나노 다결정’입자의 구조를 형상화했다. IBS 제공 어린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초 과학실험을 하다 우연히 떠올린 아이디어가 ... ...
원자력의학원-美듀크대, 전립선암 표적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개발 손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5
실무자인 마이클 잘루스키 듀크대 의대 교수는 방사성동위원소인 아스타틴
표지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분야의 세계적인 권위자다. 듀크대 연구팀은 뇌종양과 유방암, 전립선암 등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방법을 연구 중이다. 김미숙 한국원자력의학원장은 “치료용 방사성의약품은 치료 효과가 ... ...
[
표지
로 읽는 과학] 우주에서 촬영한 지구 감마선과 자외선
동아사이언스
l
2020.01.12
밀집된 대기권인 ‘이온층’에 ‘엘브(ELVE)’라는 고리 형태의 자외선을 만든다.
표지
에서는 하얗고 빨간색을 가진 엘브가 동그란 원의 형태로 퍼지고 모습으로 보인다. 실제 엘브는 순간적으로 나타났다가 사라진다. 토스텐 노이버트 덴마크기술대 국립우주연구소 최고자문위원 연구팀은 ‘대기 ... ...
[
표지
로 읽는 과학] 교육 불평등과 아이 성장 수준 담은 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1
‘네이처’는 9일 수업 중 교사의 물음에 답하려 손을 번쩍 든 한 아이의 손을
표지
에 실었다. 한국에는 누구나 해볼 수 있는 경험이지만 세계 곳곳에서는 여전히 손을 들 기회조차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미국 보건계측 및 평가연구소의 지역질병부담 프로젝트팀은 지난달 26일과 이달 9일 ... ...
ESS 화재 위험 줄인 새 이차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1.08
김희탁 KAIST 생명화학공학과 교수(왼쪽)와 김상욱 신소재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에너지저장장치(ESS)에 쓰이는 새로운 개념의 물 기반 아연 브롬 전지를 개발했다. KAIST ... 공동 1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지난달 27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표지
논문으로 발표됐다 ... ...
"노벨상 받은 우주가속팽창 연구, 잘못된 가정에서 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정설이었다. 때문에 1a형 초신성은 우주를 관측하기 위해 곳곳에 세워둔 일종의 동일한
표지
판처럼 연구에 활용돼 왔다. 1990년대에 가속팽창을 발견한 연구팀은 이 초신성이 지구에서 멀어지는 과정에서 우주 팽창에 따른 공간 팽창으로 발생하는 빛 파장의 변화(적색편이)를 관찰해 과거를 재구성한 ... ...
[호주 대화재] "사실상 기후변화 소극적 대처가 낳은 인재"
동아사이언스
l
2020.01.07
타이가)을 태우는 대형 산불을 증가시킨 원인이 기후변화라고 주장하는 논문을
표지
논문으로 실었다. 올 여름 유럽을 강타한 열파(폭염)도 산불을 일으킨 주범으로 꼽힌다. 1979년부터 2015년까지 미국에서 발생한 산림 건조화의 55%가 인간이 유발한 기후변화 때문에 발생했으며, 이 때문에 1984년 ... ...
사실보다 더 사실같은 VR용 디스플레이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06
김상현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교수(윗줄 왼쪽에서 두번째) 연구팀은 반도체 공정 기술을 활용한 고해상도 LED 디스플레이 제작기술을 개발했다. KAIST ... 금대명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연구원이 참여한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스케일’
표지
논문에 지난달 28일 실렸다. KAIST 제공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