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엔에이
유전자
뉴스
"
DNA
"(으)로 총 2,113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탐사 무한경쟁·사람세포 배양하는 쥐 탄생…네이처가 뽑은 2020년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국제 연구팀은 진핵생물이 어떻게 진화하고 돌연변이에 대처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DNA
를 합성해 효모의 유전체를 만드는 '합성 효소 2.0'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2017년에는 효모 유전체의 3분의 1이상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국제 연구팀은 내년에는 효모 전체의 유전체를 합성할 계획이다. 이 합성 ... ...
한국의 밥맛이 좋은 이유는?
동아사이언스
l
2019.12.23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18일 공개했다. RNA는 일종의
DNA
사본으로
DNA
중 쓸모없는 부분은 사라지고 유전자 발현과 연관된 부분만 남아 있는 유전물질이다. 비번역 RNA는 과거에는 단백질을 만들지 못해 쓸모없는 부분으로 생각됐지만 최근 비번역 RNA가 유전자 발현 조절과 후성유전에 ... ...
올 과학계 최대 사건은 '블랙홀 촬영'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알렉산더실버만생명과학연구소 교수팀은 지난 9월 발견된 손가락 뼈 조각과 어금니에서
DNA
를 채취해 해독하고 이를 바탕으로 데니소바인의 얼굴을 복원했다. 데니소바인은 네안데르탈인처럼 경사진 이마와 돌출된 아래턱뼈를 가졌다. 하지만 네안데르탈인보다 더 넓은 얼굴을 가진 게 특징이다. ... ...
여기에 담을
DNA
정보 고화질 영화 4000만 편 용량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한 데 모은 국가생명연구자원통합정보시스템(KOBIS)도 있다. 벼만 해도 과기정통부는
DNA
나 추출물 연구에 관심이 많다면, 농림부는 품종에, 환경부는 보존이나 생태 정보에 관심이 많다. 이런 정보를 통합적으로 한곳에서 관리할 수 있다. 오 센터장은 “장내미생물과 인체 면역의 관계를 밝히는 ... ...
RNA로 폐암 단백질 잡는 치료방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RNA 가닥을 차단하는 것이 이 부분과 상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간섭RNA다. 문제는 RNA가
DNA
에 비해 구조적으로 불안정해 체내에서 표적까지 도달하지도 못하고 도중에 분해될 수 있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RNA가 나노구조체 형태를 띠면 USE1 유전자 표적에 도달하기 까지 분해하지 않을 것으로 ... ...
64개국 아시아인 게놈 베일 벗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이들 염기의 배열순서에 따라 생명 활동에 필요한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유전체(게놈)는
DNA
에 포함된 30억개 염기의 배열순서(염기서열) 전체를 밝힌 것이다. 사람마다 유전체는 일부 차이가 있다. 과학자들은 특정 인종이나 국가, 민족을 대상으로 표준 유전체 지도를 구축하고 있다. 표준 유전체 ... ...
[인류와 질병] 유독 인간에게 찾아오는 질병 '암'
2019.12.07
숙명 엑손 유전자의 약 1%가 암과 관련된다. 대략 350개 정도다. 세포 분열이 일어나면
DNA
가 복제되는데 복제는 필연적인 오류를 부른다. 염기 하나가 잘못 복제될 가능성은 대략 1.8×10-8에서 2.5×10-8 수준이다. 높은 수준은 아니지만 누적되면 문제가 생긴다. 하지만 자연선택을 통해 오류를 찾아 ... ...
환자 수백명 데이터 분석해 치매 잡을 표적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5
http://koreabiobank.re.kr)를 통해 심의를 거쳐 연구자에게 제공될 예정이다. 우선
DNA
와 임상 정보, 역학 정보, 전장유전체정보(국립보건연구원에서 개발한 한국인 맞춤형 유전체 분석 칩의 데이터)에 대해 제공한다. 추후 단계적으로 혈액과 영상 정보, 라이프로그 데이터 등도 제공할 예정이다. 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
2019.12.03
황금쌀 개발 성공 1990년 스위스 연방공대의 식물유전학자 잉고 포트리쿠스 교수는
DNA
재조합 방법으로 쌀의 배젓에서 베타카로틴이 만들어지는 유전자변형 벼를 만든다는 구상을 하고 박사과정 학생인 페터 부르크하르트에게 학위논문 프로젝트로 맡겼다. 그러나 구체적인 아이디어는 없었고 ... ...
시민과 과학자가 함께 만든 서울의 화분매개자 서식지 지도 '시민과학의 위대한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9.11.30
“분석 결과 시민과학자들끼리 서로 잘못된 종 정보를 수정해주기 때문에 그 결과가
DNA
분석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서 “정확도가 떨어지는 건 한국 도롱뇽 4종 중 2016년 처음 동정된 제주도롱뇽 1종뿐이며 그건 시민과학자들이 새로 동정된 종 이름을 몰랐기 때문”이라며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