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류
날짐승
새짐승
겨를
틈
짬
사이
스페셜
"
새
"(으)로 총 1,342건 검색되었습니다.
내성 결핵균 잡을
새
치료법 FDA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8.16
다제내성 결핵균을 연구해왔던 제라드 프리드랜드 미국 예일대 의대 명예교수는
새
치료제가 승인됐다는 소식에 "다제내성 결핵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니 굉장한 일"이며 "빠른 시일 내에 사용해 다제내성 결핵환자를 한 사람이라도 살려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걸음걸이 분석해 무릎관절염 심각도 진단하는 로봇시스템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수 있다”며 “울산 지역 공공산재병원을 비롯한 재활병원 등에서 정밀 로봇재활의
새
장을 여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전기전자공학회 신경시스템 및 재활공학’ 6월호에 발표됐다 ... ...
잠 못이루는 열대야의 원인 습도 잡는 신개념 제습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04
그대로 유지할 수 없다는 게 둘의 공통된 단점이다. 연구팀은 '데시컨트'를 활용한
새
로운 개념의 제습기를 개발했다. 습기를 머금은 공기가 데시컨트 로터를 통과하면서 제습되고, 데시컨트는 응축기에서 나온 열로 다시 재생된다. 휴마스터 홈페이지 캡처 연구팀은 김이나 과자 포장 속에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맨발 예찬
2019.07.19
시간이 지나면 적응할 줄 알았는데 여전히 신과 발이 겉도는 느낌이다. 아무래도
새
운동화를 사야겠다고 생각했지만 미적거리고 있었다. 그런데 지난 주말 발에 대한 논문을 읽고 마음이 급해졌다. 쿠션이 지나친 신은 발 건강에 좋지 않다는 사실을 알았기 때문이다. 굳은살 두꺼워도 ... ...
3km이상 떨어진 초소형드론, 찰나에 알아채는 국산 레이더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6
상태로 올해 하반기에 두 기술을 결합해 실제로 수십 분의 1초 이내에 탐지된 드론을
새
와 구별해 식별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여기에 자체적으로 영상처리 알고리즘도 추가로 연구해 1~2km 이내 근거리에서는 영상을 이용해 드론 식별을 돕는 시스템도 개발 중이다. 오 ... ...
美소형로켓회사 벡터런치, 블루오리진 출신
새
CFO로 영입
동아사이언스
l
2019.07.13
새
로운 최고재무책임자(CFO)로 영입된 스타피 코스터 전 블루오리진 이사의 모습이다. 벡터런치 제공 소형 발사체를 개발하는 미국의 벡터런치가 경쟁사인 블루오리진의 임원을 영입했다. 우주개발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인재 영입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벡터런치는 지난달 12일 최고재무책임자 ...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D-7] 우주개발의
새
로운 글로벌 리더들 한국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11
맡았습니다. 그는 “룩셈부르크는 왜 우주광물 회사에 투자했나”라는 강연을 통해
새
우주시대를 여는 민간기업의 역할과, 이 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법과 제도를 바꾸고 나선 룩셈부르크의 비전을 소개할 예정입니다. 에티엔 슈나이더 룩셈부르크 부총리 겸 경제부장관 룩셈부르크는 투자 ... ...
“북한 결핵문제는 무관심속에 천천히 진행되는 재앙”
동아사이언스
l
2019.07.10
전염병이다. 약이 떨어져 치료를 하지 못할 경우 환자만 증상이 심각해지는 것이 아니라
새
환자가 생겨날 수 있다. 결국 북한에서 결핵이 창궐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얘기다. 북한에는 현재 13만명가량의 결핵 환자가 있다. 이들에게 약을 지원하는 데 6개월가량 공백이 생기면 6만 명 이상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잉크 안 쓰는 컬러프린터를 만들다
2019.07.02
견고해 색이 바뀌지 않을 때 구조색이라고 부른다. 자연계에서는 곤충의 외골격과
새
의 깃털에서 구조색을 흔히 볼 수 있다. 가장 유명한 예는 몰포(morpho)나비 날개 비늘의 구조색이다. 중남미 열대림에 사는 몰포나비는 비현실적으로 아름다운 파란색 날개를 지니고 있어서 많은 사람들이 색소를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분의 2 이내의 상대불확도를 가져야 한다는 점이었다. 이처럼 엄격한 조건을 만족해야만
새
정의에 따른 혼란을 줄일 수 있고 일상생활에서도 기존의 질량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킬로그램 단위가 다시 정의되었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그렇다면 지금까지의 질량이 달라지는 건가, 내 몸무게도 ... ...
이전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