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예"(으)로 총 1,528건 검색되었습니다.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메모리를 시냅스로 사용해 뇌세포의 신호 전송 방식을 그대로 모방한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라며 "후속 연구가 완성되면 스마트폰과 같은 작은 디지털기기에서 알파고와 같은 AI 기능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력 소비와 발열은 낮추면서도 성능은 월등한 차세대 반도체를 제작하는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내 실패는 내 탓이 아니라고!2017.02.01
- 중요한 시험을 앞두고 자신의 팔을 부러트린 후 다쳤다고 이야기 하는 다소 극단적인 예나, 보다 일상적으로는 중요한 일을 앞두고 일부러 추운데 옷을 얇게 입고 다녀서 심한 감기에 걸린다던가(아파서 일을 잘 못 할 수 밖에 없다는 핑계 만들어 두기), 또는 약물이나 술을 사용해서 스스로의 ... ...
- [지뇽뇽의 色수다] (ep10) 학교에서도 성폭력이 일어난다2017.01.30
- 의하면 약 56.4%의 아이들이 자신의 성별에 일치하는 행동을 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예컨대 남성스럽지 않다거나 여성스럽지 않다는 이유로 놀림을 받고 차별을 당하는 일을 겪었다는 결과가 나타났다고 한다. 저자들은 이런 결과와 함께 학교에서의 (주로 여학생들을 향한) 성폭력 역시 성평등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2017.01.23
- 따라서 빨리 말해도 알아듣는데 지장이 없다. 반면 ‘사람이 개를 문다’라는 말은 예측하기 어려운 놀라운 일이기 때문에 고급정보다. 만일 지나가는 말처럼 빨리 말한다면 많은 사람들이 ‘내가 잘못 들었나...’ 할 것이다. 한편 ‘개가 인간을 문다’는 표현은 ‘개가 사람을 문다’와 같은 ... ...
- 수소 원자, 어디에 있는지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동아사이언스 l2017.01.15
- 방식이다. X선 회절 결정구조 분석법은 그동안 수많은 업적을 남겼는데, 대표적인 예가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밝혀낸 일이다. 다만 이 X선 회절 결정구조 분석법도 약점이 있다. 에너지가 강한 X선을 투과했을 때 분자와 분자를 이루는 원자들이 크게 흔들리지 않고 구조를 유지해야 하기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2017.01.10
- 분산시킨다. 따라서 요즘 고가제품에는 탄소나노튜브가 포함된 소재가 많이 쓰인다. 예를 들어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플라스틱으로 자동차 연료필터를 만들면 전기전도도가 커져 정전기로 인한 스파크가 일어날 염려가 없다. 탄소나노튜브를 함유한 가볍고 강한 소재를 쓴 자전거나 테니스 라켓, ... ...
- [사이언스 지식IN] 면역세포? 줄기세포? 첨단재생의료법은 뭐지?동아사이언스 l2017.01.07
- 분화 능력이 가장 낮긴 하지만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세포 몇 가지로 분화할 수 있다. 한 예로 골수에 있는 조혈줄기세포는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등 혈액과 관련된 세포들로 분화할 수 있다. 몸의 각 부위마다 서로 다른 성체줄기세포가 있다. 암이 생길 위험이 적어 치료제 개발이 가장 활발하다. ... ...
- IBS 5년간 땀과 노력, 한 권으로 집대성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있도록 전자책은 IBS 홈페이지에서 내려 받아 볼 수 있다. 내년 초에는 영문판도 출간할 예정이다. IBS Research Highlights & Analysis, 지식의 풍경 - 다운받기 01.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 | 광유전학, 신경세포 자라게 하고 뇌 기억력 높인다 02.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 시냅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2017.01.04
- 줄일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에 ‘파란빛 감소 모드’가 도입되는 것도 그런 예다.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가 더 진행될 경우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지금으로서는 생체시계 교란으로 인한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데 생활패턴을 자연의 일주리듬에 맞추는 것 외에는 뾰족한 해결책이 없다.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2016.12.29
- 받은 컬럼비아대 마틴 찰피 교수는 1994년 촉각수용체세포에서만 녹색 형광이 나오는 예쁜꼬마선충을 만들어 ‘사이언스’에 보고했다. 첸 역시 프레이서에게서 대장균을 받았고 화학자답게 먼저 형광 메커니즘을 연구해 1994년 이 과정에 산소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한편 해파리의 GFP는 ... ...
이전1111121131141151161171181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