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하나로 종 분화되는 달팽이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서로 악수를 하려는 형국이다.그러나 돌연변이체들끼리 만나면 자손을 낳을 수 있다. 그
결과
새로운 종이 탄생한다. 실제로 유하드라라는 속에 속하는 20종의 달팽이 중 4종이 시계반대방향의 껍질을 갖고 있다. 연구자들은“이번 연구는 유전자가 하나만 바뀌어도 종이 분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 ...
왕따 당하면 두뇌는 육체적 고통 느낀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연구
결과
가 나와 있다.지난 10월 15일 언론에 소개된 미국 어린이범죄예방단체의 조사
결과
에 따르면 미국 청소년은 6명 가운데 1명꼴로 학교에서 왕따를 당하고 있었다. 왕따를 당하는 학생은 심각한 외로움과 우울증에 시달리다 극단적인 경우 삶을 포기하는 경우까지 있었다. 실제 우리나라에서도 ... ...
디지털 촉감시대 열린다 햅틱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오늘날 우리의 눈과 귀는 정보의 과잉에 시달리고 있다. 반면 관심밖으로 던져진 촉각. 그
결과
현대인들은 접촉 결핍증을 앓고있다. 21세기, 새롭게 무장한 디지털 기술이 촉감을 재현하기 위해 나섰다. 삶의 체험을 다채롭게 할 놀라운 인공촉감, 햅틱스의 세계로 들어가보자. ...
1 21세기, 촉각을 재발견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광범위한 연구를 수행한 영국 옥스퍼드대 실험심리학과 찰스 스펜스 박사는 최근 제출한
결과
보고서 ‘감각의 비밀’에서 감각의 결핍은 현대사회의 질병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스펜스 박사는 “우리는 몸을 쓰는 야외 생활에서 멀어져 하루의 90%를 실내에서 지내는데, 그 중 상당시간을 TV나 ... ...
몸속 1㎏ 미생물이 우리 몸 지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미생물의 돌연변이와 변신이 한결 빨리 이뤄진다. 사람들이 그동안 항생제를 남용한
결과
거의 모든 항생제에 죽지 않는 새로운 병원성 균인 ‘슈퍼 박테리아’가 등장하기도 했다. 인간과 미생물 사이의 공격과 방어, 타협은 앞으로도 계속 전개될 것이다. 그러나 그 균형이 급격히 무너져 미생물과 ... ...
전화와 e메일 바짝 따라잡은 메신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설정하는 시스템)을 설치하기도 한다.지난 4월 인터넷 순위 사이트 코리안클릭의 조사
결과
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전체 인터넷 사용자 2천4백73만명 중 약 42.6%가 메신저를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한다. 자료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우리나라 전체 인터넷 사용자 중 약 1천만명 이상은 메신저를 ... ...
인체의 온도 감지 비밀을 벗긴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것일까.지금까지 인체의 온도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해부학 방법으로 연구가 진행됐다. 그
결과
온도를 감지하는 신경조직이 무엇인지는 밝혀졌다. 인간이 속하는 척추동물의 경우 뇌의 시상하부가 온도감지와 체온조절의 중추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구체적인 온도 감지 메커니즘은 완전히 베일에 ... ...
3 2020년에는 사이버 섹스도 가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마치 융기가 있는 것처럼 느껴지게 할 수 있는 것이다.마지막 실험은 더욱 놀라운
결과
를 보여준다. 이번에는 융기가 아닌 함몰이 있는 표면상태에서 첫번째 실험의 융기가 있는 지점에서 인위적으로 두배의 수평력을 가했다. 참가자들은 실제 자신의 손가락이 중간에 함몰 곡선을 따라 내려감에도 ... ...
물리학이 경락의 실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생긴다는 기존 세포설의 수정이 필요하다는 의미다.이와 같은 김봉한 박사의 연구
결과
는 모든 신체기관으로 전환할 수 있어 현재 상당한주목을 받고 있는 줄기세포와의 관련성을 생각하게 한다. 줄기세포는 분화 이전의 세포라는 뜻으로 어느 형태의 세포로도 분화될 수 있는 세포다. 때문에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건강’이라는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었다. 인간이 자신만 살겠다고 ‘몸’을 해친
결과
가 바로 생태계 파괴라는 것이다. 국내의 굵직한 환경운동에서 장 교수의 이름이 등장하기 시작한 것도 이 무렵이다. 그리고 최근 녹색대학에 몸담으며 평생 자신이 쌓아온 핵심을 전수하려 하고 있다.그는 1990년 ... ...
이전
1156
1157
1158
1159
1160
1161
1162
1163
1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