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산학 협동으로 현장교육 중시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있다고 보여진다. 게다가 우리나라 디자인 기술의 전성기였던 신라의 근거지인 경주가
바로
이웃이라는 사실이 조형대학 설립의 계기가 되었음은 흥미롭다고 하겠다. 울산에서는 아직도 '울산대'라기 보다 '울산공대'라고 해야 쉽게 알아들을 만큼 울산대학교에서 공과대학의 비중은 크다. 이 ... ...
CAD/CAM의 세계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이를 압축한다면 설계 관리 생산으로 3대별 된다. 이를 자동화하는 방법 중의 하나가
바로
CAD/CAM(Computer Aided Design & Manufatuning)이다. 우리나라 말로는 '컴퓨터 지원 설계' '컴퓨터 지원생산' 등으로 불려진다. 이 CAD/CAM은 CIM(Computer Intergrated Manufaturing) 등 ...
1천여점의 유물도 찾아냈어요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비슷한 탐색작업을 최근에 성공적으로 해낸 경험도 있으니까요." -어떤 경우입니까. "
바로
금년 일인데요. 이탈리아의 '이타비아'(ITABIA)항공사 여객기가 7년전에 바다에서 실종된 일이 있었읍니다. 승객과 승무원 50여명을 태우고 말입니다. 저는 이 여객기가 KAL의 경우처럼 미사일을 맞고 ... ...
이상한 사고가 자주 일어난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사용하는 센티파(SHF), 밀리파(EHF)까지를 포함하는데, 전자 레인지가 음식을 덥히는 것은
바로
마이크로파의 열효과를 이용한 것이다. 이 문제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미국은 지난해 전파의 환경기준을 세워 놓고 있다. 즉 동물실험을 통해 체중 1kg당 4W의 전파를 쏘이면 체온이 1℃ ... ...
창원기능대학 산업현장의 고급 기능인력을 길러낸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최신장비도 더 도입하여 학생들이 이곳에서 배운 실력을 졸업하고 나간뒤 현장에서
바로
실무에 적용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또 한·독 협약에 의한 연수의 폭도 넓히고 미국 일본 등 기타 다른 나라와의 제휴도 추진하도록 했다. 올해 설립한 생산기술 연구소도 앞으로 이 대학의 발전과 함께 큰 ... ...
유권자 성향분석에서 득표전략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더욱 중요한 일은 본인 스스로가 컴퓨터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추는 것이다. 컴퓨터를
바로
유권자 내지는 득표수로 연결시키는 논리는 가장 비과학적 사고방식이다. 국회의원후보 내지는 대통령후보가 직접 컴퓨터를 사용해보며 스스로의 업무에 적용시켜나간다면 금상첨화. 이를 기반으로 ... ...
경이의 자연사박물관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등도 마찬가지다. 골동품 창고가 아닌 생생한 지식의 보고이며 그 활용장소가
바로
현대의 박물관인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영국의 자연사박물관이 어떤 일들을 하고 있는지 살펴보자. 본래 대영박물관(大英博物館)의 한 부문에 속했다가 1881년 자연사에 관한 파트가 분리, 독립된 자연사박물관은 ... ...
포항공과대학 단숨에 명문으로 떠오르다
과학동아
l
1987년 12호
장래가 주목되는 것이 사실이다. 이 문제와 관련해 최근 의미있는 작업이 이루어졌는데,
바로
재단의 독립이다. 즉, 지난 9월30일자로 학교법인 제철학원이 자립화계획을 실현함으로써 포항제철에 의존하지 않고 자체 수입금으로 산하의 학교(포항공대 등 12개의 각급학교)를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을 ... ...
하이테크 예술 홀로그래피, 어떻게 응용되나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최근에 열렸던 일본 '이시히 세츠꼬'(응용물리학 및 조소)씨의 홀로그래피전시회도
바로
이 특성을 활용한 것이다. 사진에서와 같이 평면 사진건판임에도 입체감이 풍부할 뿐 아니라 보는 각도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 및 색깔이 표현된다. 한 종류의 실물을 조명이나 각도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 ...
새로운 관심 김치와 김치산업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이상적으로 화합시키는데 성공한 희귀한 식품으로도 평가되고 있다. 이 켑사이신은
바로
비만뿐 아니라 심장질환 계통의 병에 적신호가 되는 지방질을 뛰어나게 분해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선조들은 돼지고기를 먹을 때 김치를 얹어 먹지 않았던가.발효식품을 연구해 온 한국과학기술원 ... ...
이전
1157
1158
1159
1160
1161
1162
1163
1164
1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