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2. 멋진 신세계 앞당긴 신기술 삼총사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대한 업체들의 관심, 개발노력 등에 견주면 사소하게 여겨진다. 인터넷비즈니스
전
문지인‘레드헤링’도 2001년에 각광받을 기술 흐름으로 블루투스를 꼽았다 ... ...
기억이 이식된 복제인간 6번째 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디지털 문명의 상징을 표현하려고 일부러 그렇게 보이도록 한게 아닐까요? 영화는
전
체적으로 다소 상투적인 액션물 같긴 했찌만 의외로 많은 메시지를 담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과학동아 독자라든지 복제에 관심있는 사람이라면 봐줄만한 영화였던 것 같아요. 과학적인 메시지 측면에서는 ... ...
초승달이 그믐달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2000년 11월 29일 서울대
전
파망원경이 처음으로 하늘을 향해 거대한 눈을 떴다. 최초로 천체의 빛을 받아들이기 시작한 것이다.
전
파안테나가 설치된지 1 ... 통해
전
체적인 시스템이 안정되면 2001년 가을부터 본격적인 관측에 들어갈 예정이다.
전
파로 보는 새로운 우주의 모습을 기대해보자 ... ...
3. 태양계에서 노다지 캐는 미래 우주벤처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우주로부터의 충돌에 의해 멸망한다거나, 아니면 무한한 우주와 공존하며 계속 발
전
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는 이제 인간 자신의 노력 여하에 달려있다 ... ...
분단 이후 북한의 과학문화유산 연구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현대 기술에 대한 연구성과들이 많이 출판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는 1980년대까지
전
근대 과학문화에 대한 연구를 충분히 축적했다고 판단한 결과인 듯하다 ... ...
3. 백두산에서 만나는 우리꽃 기행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너무도 아름다워 오히려 눈물나게 한다. 나무껍질이 뽀얀 만주자작은 잎을 다 떨구고
전
봇대 마냥 줄지어 서있다. 길을 오가는 소달구지와 농부들은 풍년의 가을걷이로 얼굴에 웃음이 가득하다. 다시 안도에 들러 나오는 길에 지나는 마을마다 옥수수며 볏가마니가 수북하다 ... ...
1. 차세대 컴퓨터 주역 쟁탈
전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네트워크로 연결돼, 누구든지 컴퓨터로
전
자레인지를 작동시키거나 외부에서
전
화로 밥을 준비할 수 있게 된다. 빨래와 건조도 세탁기가 자동으로 프로그램돼 있는 정보를 이용해서 처리하기 때문에 사람이 직접 할 일이 거의 없어지게 된다. 가사노동에 묶이는 시간이 줄어들고 창조적인 일을 할 ... ...
내일은 해가 어디에서 뜰까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전
에는, 즉 2월에는 정동 방향보다 남쪽에서 뜨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 (4)의 정답은 여
전
히 C다. 하지만 한달 후에는, 즉 4월에는 해는 정동 방향보다 북쪽에서 뜬다. 따라서 문제(5)의 정답은 B다 ... ...
소행성 발견 2백주년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꼭 2백년
전
인 1801년 1월1일에 새로운 천체가 발견됐다. 다름아닌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이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수많은 소행성들이 모습을 드러냈다. 이 가운데는 지구에 엄청난 재앙을 미칠 만한 것들도 있다. 하지만 이 우주의 핵폭탄이 잘 이용되면 소행성의 자원가치는 상상을 초월한다. 이제 ... ...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됐다. 더욱이 1848년 독일의 요한 갈레(1812-1910)가 해왕성을 발견하자 용도 폐기 직
전
까지 갔다. 해왕성까지의 거리가 티티우스-보데 법칙이 예측하는 수치와 큰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물론 1930년 미국의 클라이드 톰보(1906-1997)가 발견한 명왕성의 거리와는 엄청난 차이를 보였다. 티티우스-보데의 ... ...
이전
1157
1158
1159
1160
1161
1162
1163
1164
1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