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잘못 알려진 코리올리 효과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빠진다. 이러한 과정이 필요한 이유는 코리올리 힘이 배수중인 물의 흐름을 변화시킬
정도
로 충분해져서 회전하는 흐름을 만들어내기까지 몇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회전이 곧 회오리바람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사들은 왜 배수구에서 물빠지는 현상이 지구 자전의 효과를 ... ...
서커스사이언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유지하기 위해 콜라겐을 필요한데 엘러스-단로스 증후군의 경우 이들 장기가 위험할
정도
로 근육이 느슨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다행히도 이런 문제는 매우 예외적인 경우다. 존스 홉킨스 정형외과 의사인 리 앤 컬은 "엘러스-단로스 증후를 갖고 있으면서도 전혀 기능에 이상이 없는 사람들이 많이 ... ...
Ⅱ. 부드러운 장기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지방과 단백질의 대사에도 깊이 관여한다. 이밖에도 일일이 설명하기 어려울
정도
로 간의 역할은 다양하다. 그래서 간질환이나 간암, 또는 간 절제 수술로 간이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면 생명에 큰 위협이 닥친다.초기에는 동물의 간과 사람의 혈액을 직접 연결시키는 원시적인 형태가 존재했다. ... ...
한반도공룡파노라마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의성군을 가로질러 안동을 잇는 28번 국도를 만난다. 이 길을 따라 의성방향으로 45km
정도
달리면 우보면 이화리에 도달한다. 이곳에서 군위읍쪽으로 빠지는 985번 도로를 따라 5km만 가면 오른쪽 나즈막한 비탈에 철조망으로 가려놓은 나호1동 공룡화석지가 나온다. ‘지질학 연구자료’라고 ... ...
속도의 매력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속도(혹은 속력)는 단위 시간당 얼마나 움직이는가를 나타내는 물리용어로 누구나 이해하고 있는 단순한 개념이다. 조금만 주변을 살펴보면 속도가 지닌 매력을 느낄 수 ... 매우 짧은 거리에서도 착륙할 수 있다. 그래서 2백50km/시로 착륙할 경우 정지거리는 90-1백35m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 ...
1. 아이콘에도 문법이 있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것 등이다.2단계는 인지심리학적인 평가단계이다. 도출된 여러 가지 심벌들을 의미 전달
정도
에 따라 순위를 매기고 비슷한 것들끼리 군집화해 대표안을 선정한다.그런데 심벌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잘 전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1차적으로는 눈에 잘 띄어야 한다. 다양한 시각조건하에서도 ... ...
참개구리 울음소리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달팽이 등을 기르는 양식장에서는 황소개구리의 습격을 견디다 못해 양식을 포기할
정도
로 피해가 심각하다.눈앞의 이익만을 위해 외국으로부터 생물을 들여다 놓은 실수가 ‘생태계의 참사’를 빚고 있다. 황소개구리와의 전쟁이 불가피하다 ... ...
세상에서 가장 오래된 학문 점성술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의해 구분한 것이다. 예를 들어 거북등이나 동물의 뼈를 불에 넣었다가 꺼내 균열
정도
를 해석하는 갑골점의 경우, 누구나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실체가 분명 존재하지만, 이를 해석하는 것은 '능력을 지난 자'의 판단력에 따른다는 점에서 '객관적이며 인위적인 것'으로 분류한다. 이 구분에서는 ... ...
흔들리는 고속전철 8대쟁점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시 밖에 속도를 내지 못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만약 새마을호보다 조금 빠른
정도
라면 천문학적인 비용을 들여 굳이 고속철도를 건설할 필요가 있는가 하는 의문을 갖게 한다.7 쟁점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건설비용노선설계 잘못과 부실공사, 그리고 쏟아지는 민원 때문에 고속철도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심장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된다. 외부장치라고는 허리춤에 착용한 배터리나 주변의 전원코드에 연결할 플러그
정도
에 그칠지 모른다. 인공심장을 몸 속에 넣은 채 ‘가볍게’ 움직일 수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아직 사람에게 적용된 사례는 없다. 전기식 완전이식형이 목표우리나라는 1984년 이후 서울대 의대 의공학교실에서 ... ...
이전
1160
1161
1162
1163
1164
1165
1166
1167
1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