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뉴스
"
발표
"(으)로 총 19,558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암호 위성통신·우주 태양광…쎄트렉 신화 이어줄 미래 위성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19.10.31
김영진 기계공학과 교수가 초고속 광학기술의 차세대 인공위성 탑재 방안에 대해
발표
했다. 최원호 원자력및양자공학과 교수는 한국의 전기추력 연구개발 현황을 소개했다. 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한국의 우주개발 역량이 걸음마 수준이던 1989년 8월 설립됐다. 설립 직후 영국 서리대와 ... ...
스타크래프트2 배틀넷 상위 0.2% 등극한 AI ‘알파스타’
동아사이언스
l
2019.10.31
‘그랜드 마스터’ 레벨에 등극한 연구논문을 국제학술지 네이처 30일(현지시간)자에
발표
했다. 2016년 알파고는 머신러닝과 딥러닝, 강화학습으로 알려진 AI 알고리즘으로 탄생했다. 인간이 입력한 수많은 기보 데이터 학습과 훈련을 통해 승리 확률이 가장 높은 한 수를 찾아나가는 ... ...
[기고] 좋은 대학원을 만든 대학원생 노동자들의 노력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생물학연구정보센터(브릭)을 포함해 6개 전문연구정보센터가 30일
발표
한 ‘이공계 대학원생 처우 개선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 대학원생의 슬픈 자화상이 드러난다. 대학원생 중 62%가 하루 평균 근무시간이 10시간이 넘고 29%는 공식적인 휴가를 쓰지 못하고 있다. 대학원생 40%는 ... ...
"논문 부당 끼워넣기 지시" "하루 10시간 근무" 실험실의 우울한 일상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아쉬움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로서 필요한 기초적인 소양인 논문작성과
발표
방법을 배우는 경로는 지도교수(31%)보다 연구실 선배(38%)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6%는 인터넷 등을 통해 배운다고 답했다. 수업에 대해 만족한다는 응답도 37%에 그쳤다. 반면 연구시설이나 환경에 ... ...
'고분자 나노복합체' 만드는 과정서도 특성 바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김소연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및화학공학부 교수 연구팀은 고분자와 나노입자를 혼합하는 ‘용액혼합방식’에서 용매가 고분자 나노복합체의 최종 구조와 물성에 중요하게 ... 사실을 밝혔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피지컬리뷰레터스’ 17일자에
발표
됐다. ... ...
면역항암치료 효과 높이는 '핵산 복합물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저널오브컨트롤드릴리즈’ 19일자에
발표
됐다. 검은 쥐에 실험 종양 및 실제 종양 2종에 핵산 복합물질을 각각 투여해 종양의 성장 억제를 확인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 ...
"기후변화에 따른 해안가 피해 규모 과소평가됐다" 기존보다 3배 커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과소평가됐다는 새로운 분석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이달 29일
발표
했다. 클라이메이트 센트럴은 기후변화에 관해 연구하는 과학자들과 이를 보도하는 기자들이 모여 전 세계에 기후변화에 관한 사실과 시민에게 미치는 영향을 전달하는 비영리 기구다. 연구팀은 ... ...
[삼성전자 50년] 흑백TV로 출발해 글로벌 ICT산업 선두에
연합뉴스
l
2019.10.30
이병철 선대회장이 1983년 2월 일본 도쿄에서 반도체 산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고
발표
한 '도쿄 선언'을 계기로 반도체 부문은 빠른 발전을 이뤄냈다. 특히 세계 D램 시장이 최악의 불황기를 맞은 1986년 이병철 선대회장은 3번째 생산라인 착공을 서두르라고 지시했으며 3년 뒤 D램 시장의 ... ...
[이정아의 미래병원] 전기에서 디자인, AI까지 휠체어의 끝없는 변신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형태를 조사해 그 결과를 국제전기전자공학회지가 발행하는 학술지 'IEEE 익스플로'에
발표
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기존 휠체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 많이 개발되고 있는 것은 크고 작은 바퀴가 여러 개 달려 있거나 탱크처럼 기다란 보조 바퀴를 가진 형태다. 바퀴가 여럿 달린 경우 ... ...
빛-물질 성질 가진 입자, 상온서 조절하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조용훈 KAIST 물리학과 교수(왼쪽)와 송현규 연구원. KAIST 제공 빛과 물질의 성질을 동시에 지니는 입자를 상온에서 만들고 제어할 방법이 국내에서 개발됐다. 이런 입자는 지금까 ... 지속적으로 연구하겠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광학 분야 국제학술지 ‘옵티카’ 20일자에
발표
됐다. ... ...
이전
1161
1162
1163
1164
1165
1166
1167
1168
1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