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비
활동사진
시네마
필름
영상
영화관
스크린
d라이브러리
"
영화
"(으)로 총 2,524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년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6
SF
영화
에 나오는 미래의 모습이 현실이 될까요?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는 과학기술 예측조사와 공모전으로 접수된 가상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2030년 미래의 모습을 발표했어요.시나리오는 2008년 식물인간이 된 사람이 2030년에 깨어나면서 겪는 미래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어요. ... ...
“째깍째깍~” 식물의 생체 시계 유전자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6
식물에서 생체주기를 조절하는 유전자를 발견하고‘피오나1’이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영화
‘슈렉’에서 밤낮에 따라 모습이 바뀌는 피오나 공주에서 따온 이름이지요.“식물은 온도와 낮의 길이를 재서 계절을 인식하고 꽃 피는 시기를 결정해요. 특히 낮의 길이는 계절을 알아 채는 데 아주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05
‘테루테루보우즈’라고 부르는 이 인형은 날씨를 맑게 해주는 요정인 셈이다.
영화
속 아이의 염원과는 달리 밤하늘에서 우주를 보려는 사람들은 테루테루보우즈를 바로 걸어두어야 한다. 일본 효고현의 니시하리마 천문대에, 반사거울의 지름이 2m나 되는, 일반에 공개되는 망원경으로는 ... ...
소설 쓰는 양자컴퓨터공학자 안도열
과학동아
l
200805
말할 만한 소설을 쓰고 싶었다. ‘스타트렉’처럼 나노머신으로 사람을 치료하는
영화
를 보고 소설 ‘코마’를 구상했다. 미래에는 나노머신이 항암제 같은 약물을 암세포에만 전달하는 치료법이 등장할 테지만, 잘못될 경우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런 부작용도 나타나지 않을까 ... ...
만능종이 전성시대
과학동아
l
200805
됐다.지난해 5월 LG디스플레이(옛 LG필립스LCD)가 A4 크기의 컬러 전자종이를 개발하면서
영화
속 시대에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갔다. 두께는 0.3mm 정도로 종이보다 두껍지만 다른 디스플레이보다는 훨씬 얇다. 유리 기판 대신 금속박과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해 자유자재로 구부릴 수 있고 잘 깨지지도 ... ...
디지털 캐릭터에 생명 불어넣는 CG 기술
과학동아
l
200805
손색없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올해 ‘월·E’ ‘트랜스포머 2’ 같은 쟁쟁한 로봇
영화
들이 개봉을 기다리고 있다. 노 교수는 앞으로 진짜 같은 로봇을 CG로 구현하는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한국산 CG 기술이 세계의 ‘러브콜’을 받을 날이 머지않았다 ... ...
민영 의료보험의 무서운 진실 식코 sicko
과학동아
l
200805
실패하면 수술비를 아예 지급하지 않거나 삭감한다. 마이클 무어가 모르는(?) 이야기
영화
에서 미국인 에릭 씨는 영국 여행 도중 어깨 골절상을 당한다. 그는 영국의 국영병원에 입원해 무료로 치료 받고 퇴원할 때 10달러(약 1만원)의 약값만 냈다. 영국은 1948년부터 국민건강보험을 시행하고 있기 ... ...
별을 그대 가슴에 안겨주는 천문학 에세이
과학동아
l
200804
표현인 혹성 대신 행성이란 단어를 쓰자고 열심히 캠페인을 벌었지만 ‘혹성탈출’이란
영화
가 유행하며 노력이 물거품이 됐다는 에피소드처럼 이 책에서는 한 천문학자의 생생한 목소리를 만날 수 있다. 별에 대한 상식을 전해주는 것은 물론 가까운 천문대로 달려가고 싶다는 욕망을 불끈 ... ...
part 4 암기에서 해방시켜주는 인공해마
과학동아
l
200804
장기기억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는 기관인데, 이곳이 망가지면 건망증에 걸리거나
영화
‘메멘토’의 주인공처럼 10분 전에 일어난 일을 기억하지 못한다. 치매 환자도 해마가 망가진 경우가 많다. 정 교수는 “컴퓨터에 USB를 꽂아 메모리 용량을 늘리듯 뇌의 해마에 칩을 심으면 기억력을 강화할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04
너무 재미있어 한 학기의 수업이 끝나자 다음 학기에 또 청강하기도 했다. “한 번 본
영화
를 두 번 본 적이 거의 없다”는 조 단장이지만 이 수업만큼은 두 번 들어도 질리는 줄 몰랐단다. 수업이 끝난 뒤 교수에게 자유롭게 질문하며 자신의 주장을 펼쳤는데, 조 단장은 그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