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료소
의원
hospital
병원미생물
미생물
사설병원
사설
d라이브러리
"
병원
"(으)로 총 2,597건 검색되었습니다.
착한 과학, 행복을 퍼뜨리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아프리카는 144명으로 선진국의 30배 수준이다. 하지만 이들 나라에 시급한 것은 대형
병원
이나 고학력 의사, 비싼 의약품이 아니다. 의사가 지역 주민에게 의학 지식을 가르쳐서 지역 주민이 직접 치료를 하게 하는 일이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훨씬 크다. 1970년, 인도 뭄바이 근처에 있는 작은 도시 ... ...
퇴행성 관절염의 스위치를 찾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쓸 수 없다. 바이오마커로 쓸 수 있는 단백질은 세포 밖으로 분비되는 것이어야 한다.
병원
에서는 혈액이나 소변 시료를 이용해 단백질을 검출하기 때문이다. 이 단백질을 찾으면 연골이 망가지지 않은 상태에서 억제제를 쓸 수 있어 통증을 느낄 만큼 병이 심해지는 일을 막을 수 있다.전 교수는 ... ...
한국 우주 전파 관측망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고주파의 변형을 보정할 수 있다. KVN은 이 기술을 최초로 도입했다. 김 본부장은 “
병원
에서 엑스레이와 MRI를 따로따로 찍다가 한꺼번에 찍을 수 있게 된 것과 마찬가지”라며 “천체를 더욱 자세히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활동성 은하핵이 있는 M87 은하를 허블 망원경으로 관측한 모습. KVN은 이와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하는 세균도 있다. 많은 고세균은 극단적인 환경(고온, 고농도 염분)에서 발견된다.
병원
성 고세균은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진핵생물은 원생생물이나 진균류로 분류된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다. 원생생물 중 식물성 플랑크톤은 시아노박테리아와 함께 지구 산소의 75%를 만들어낸다. 이들은 또한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AI 바이러스가 사람을 감염시키는 경우는 드물다.그런데 2003년 사람도 감염시키는 고
병원
성 AI 바이러스가 등장했다. 이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은 H5형으로 원래 사람은 감염시키지 못하는 구조다. 그런데 182번째와 192번째의 아미노산이 바뀌는 변이가 일어나 사람의 시알산도 인식할 수 있게 됐다. ... ...
총격 당한 미국 연방하원의원, 뇌수술 받고 살아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미국 애리조나 주 총기사건으로 머리에 총상을 입은 가브리엘 기퍼즈 미국 민주당 연방하원의원이 뇌수술을 받고 목숨을 구했다. 애리조나 투산대
병원
의 의료진은 뇌가 부풀어 뇌압이 상승해 뇌가 손상될 것을 우려했다. 뇌압을 줄이기 위해 두개골의 절반을 일시적으로 떼어내는 수술을 했다. ...
홍역바이러스는 새로운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미국 텍사스대 의대 워너 브라운 교수팀과 메이요
병원
의 로베르트 카타니오 박사 팀은 홍역바이러스가 숙주 세포에 침투하는 방법을 ‘네이처 구조분자생물학’ 1월 13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바이러스 부착단백질의 어떤 부위가 세포의 수용체와 ... ...
통계로 세상을 구한 나이팅게일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따라서 어떤 정책을 실행해도 실제 효과가 있는지를 파악하지 못했다. 나이팅게일은
병원
기록 양식이 통일되면 쓸모 있는 통계 자료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했다.또 당시 영국의 식민지인 인도에 주둔했던 영국군의 위생을 개혁하기 위해 노력했다. 인도의 모든 영국군대에 설문지를 보낸 뒤, ... ...
공항에서 소시지를 빼앗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거친 축산물만 유통된다. 박경일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검역관은 “축산물 가공품에
병원
성 미생물이 발견되면 전량 파기하거나 본국으로 돌려 보낸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사람이다. 검역관들은 “가장 막기 어려운 것은 사람”이라고 말한다. 해외에서 신종인플루엔자에 감염된 환자가 증세가 ... ...
42년 만에 땅에 내려온 이순신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가깝지 않은 동상. 그것이 이순신 장군 동상이었다.그런 동상이 수리와 복원을 위해
병원
(주물공장)으로 옮긴다는 소식을 들었을 때 많은 사람들이 깜짝 놀랐다. 그동안 장군에게 무슨 지병라도 있었던 걸까. 얼마나 병환이 심했으면 자리를 옮겨 장기 입원을 할까. 온전한 모습으로 다시 돌아올 수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