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발육
발달
발전
진보
진화
증대
신장
d라이브러리
"
성장
"(으)로 총 3,530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외취재] 피터팬 VS 후크 선장, 수학 예술로 네버랜드를 바꿔라!
수학동아
l
2013년 10호
점점 크기가 커지면서 나선 모양으로 바깥으로 돌아 나오는 흰 물고기들은 탄생과
성장
을 의미한다. 그리고 바깥에서부터 점차 작아지면서 원 안으로 돌아들어가는 검은 물고기들은 점점 죽음을 향해 가는 인생을 표현한 것이다. 태어나고 되돌아가는 곳이 같다는 철학적인 깨달음을 수학적인 ... ...
[체험] 유신고등학교 수학동아리 MAX
수학동아
l
2013년 10호
도움을 주듯이, 재학생들도 선후배간에 서로 믿고 이끌어 준다면 더욱 알찬 동아리로
성장
하리라 믿습니다. 수학동아 독자 여러분도 동아리를 통해 자신만의 꿈을 조금씩 키워나가길 바랍니다!- 수원 유신고 수학교사 ... ...
학문의 즐거움을 설파한 히로나카 헤이스케
수학동아
l
2013년 10호
전쟁 와중에 일본에서 교육받은 세대지만, 미국으로 유학을 가서 대수학자로
성장
한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82세의 나이인 지금도 강의와 연구를 하며 정렬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에게 ‘학문’은 어떤 의미일까?전쟁의 와중에 수학에 사로잡힌 소년히로나카는 1931년에 일본 야마구치현에서 ... ...
Intro. 양자역학의 위대한 시작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향후 양자역학이 발달하는 데 커다란 반석이 됐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양자역학의
성장
과 함께 보어 모형은 과학사의 뒤안길로 사라져버렸다. 오늘날 어떤 물리학자도 더 이상 원자 모형을 찾지 않는다. 현대물리에서 온데간데없이 사라져버린 원자모형의 자취를 따라가 보자.▼관련기사를 계속 ... ...
20시간 만에 완성하는 극지 얼음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비슷하다. 극지 얼음은 표면에서 약 2cm까지는 작고 약한 얼음이 파도에 밀리며
성장
했기 때문에 결정 구조가 불규칙하다. 그 뒤에 아래로 자라면서 서로 이웃한 얼음 결정 사이에 바닷물이 농축돼 갇히기 때문에 가늘고 긴 기둥 모양이 만들어진다.얼음이 물에 잠기는 깊이를 결정하는 밀도도 똑같이 ... ...
하늘을 나는 사이언스 토이를 잡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챙기고 더 나아가 대회에도 참가해 보세요. 항공 조종사나 이공학도로서 꿈도 한 뼘 더
성장
시킬 수 있을 거예요.사이언스 토이를 잡아라!어과동TV가 이번에는 독자 선물을 잔뜩 싣고 나왔어요.RC 장난감을 비롯한 다양한 선물을 받고 싶은 친구들은 지금 어린이과학동아 블로그(ksdsuper.blog.me)로 놀러 ... ...
산호도 미세먼지가 싫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9호
반사해 일조량이 줄었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산호가 광합성을 제대로 하지 못해
성장
을 못하고 개체수도 줄어든 거지요. 산호는 다른 해양 생물의 서식지이자 먹이이기 때문에, 미세먼지 농도 조절은 바다 속 전체 생태계를 위해서도 매우 ... ...
아시아인 뿌리 밝힐 제3의 인류
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이용해 이 뼈에서 DNA를 추출해 연구하자 이야기가 달라졌습니다. 뼈의 주인공은
성장
판이 아직 닫히지 않은 6~7살 정도의 여자 어린이였습니다. 문제는 이 어린이의 DNA가 현생인류의 DNA와 조금 차이가 났다는 점입니다. 그렇다고 네안데르탈인과도 같지 않았습니다. 현생인류와 차이가 나는 만큼 ... ...
[동아리탐방] 우리는 수학을 사랑하는 N.O.M
수학동아
l
2013년 09호
하지만 아이들이 교구를 만들고 봉사활동을 하는 모습을 보면서 이런 활동이 아이들의
성장
에 더 큰 도움이 된다는 걸 알게 됐어요. 교구를 발명하면서 겪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봉사하면서 의젓한 모습을 보이는 아이들을 보면서 저도 큰 감명을 받았답니다.수학 동아리 활동의 장점은 수학의 ... ...
UNIST의 힘은 세계 최고의 교수진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전원 전공 없이 입학한 뒤 2학년으로 올라갈 때야 학부를 선택한다.글로벌 융합인재로
성장
하기 위해 졸업할 때까지는 의무적으로 2개 이상의 전공을 이수해야 한다. 같은 학부 안에서 2개를 이수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학부의 전공을 이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화학을 공부하는 학생이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