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설명했다.이렇게 극소량의 물질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장비발’도 중요하다. 극지연구소는 정밀한 빙하코어 분석을 위해 동위원소 비율 질량 분광분석기와 파장 스캔 공동광자감쇠분광(CRDS) 분석기를 구축해 산소 외에도 수소와 이산화탄소 그리고 미량의 중금속들을 분석하고 있다.극소량의 ... ...
- ‘알라딘’의 파란 피부 지니는 청색증 환자?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빙어는 대신 혈장으로 산소를 운반한다. 그래서 점무늬빙어의 혈액은 색이 없다. 극지연구소 연구진은 남극 바다에는 산소가 많이 녹아 있어 체내로 산소를 운반하는 헤모글로빈이 굳이 필요없어 사라지는 형태로 진화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생태와 진화’ 2월 26일자에 밝혔다. doi: 10.1038/s41 ... ...
- [출동!기자단] 퍼즐로 로봇, 공룡까지? 규즐 체험관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수 있답니다. “자, 지금부터 각자 큐즐로 작품을 만들어 보세요!” 한국디자인사이언스연구소 이효성 대리님은 우선 기자단 친구들이 큐즐의 규칙을 익힐 시간을 주셨어요. 친구들은 쌓여있는 큐즐 조각 주변으로 흩어져 각자 도안을 보면서 큐즐을 조립해 보기도 하고, 상상력을 발휘해 나만의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얼음까지 더하면 그 수는 더 늘어날 것이다. 마츠모토 마사카즈 일본 오카야마대 복합학연구소 교수팀은 2017년 국제학술지 ‘화학물리학저널’에 얼음이 300개 이상의 결정 구조를 가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doi: 10.1063/1.4994757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능한 얼음의 ... ...
- 2020년 전망, 어떤 과학 이슈가 주목 받을까?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바 있습니다. 2020년에는 중국 안후이성 허페이시에 약 37만m2 규모의 국립양자정보과학연구소도 완공될 예정입니다.2013년 ‘국가양자기술프로그램(UK National Quantum Technologies Programme)’을 시작한 영국 정부는 양자기술허브 4곳을 지정해 2024년까지 대규모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했으며,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로 간 심장외과 의사, 무카이 치아키(向井 千秋)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무엇인가”라고 기자가 묻자, 그는 이렇게 답했다. “우주 분야에서 일하면서 많은 연구소와 그곳에서 일하는 과학자들을 알게 됐습니다. 그들과 함께 새로운 연구 분야를 발굴하고, 그 연구 분야가 어느 정도 성장했을 때 다음 세대 연구자들에게 넘겨주고 싶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자신의 ... ...
-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암호, 다항식 기반 암호, 해쉬 기반 암호, 타원곡선 기반 암호 등이지. 미국 국립표준연구소(NIST)에서는 RSA 암호보다 더 강력한 암호를 찾아 상용화하는 것을 목표로 더 강력한 암호를 ‘공개수배’하고 있어. 세계 각국의 암호 연구자로부터 새로운 암호 체계를 지원받은 뒤 3라운드에 걸쳐 가장 ... ...
- 어디에 쓰이는지 알면 깜짝 놀랄걸! 수학재밌데이수학동아 l2019년 12호
- 교체하고 전기를 다시 생산할 수 있는지 알려달라고 요청한 겁니다.국가수리과학연구소 연구진은 원자로 문제를 듣고 ‘외판원 문제’를 떠올렸습니다. 방문해야 하는 여러 지점을 가장 효율적으로 들르는 순서를 짜는 외판원 문제와 본질적으로 같은 문제이기 때문이죠. 이 문제는 수학계에서 ... ...
- [통합과학교과서] 용궁이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나타나는 걸 발견한 거예요. 해수면의 높이와 온도를 포함한 인공위성 자료와 산호초연구소 다이버들이 20년 동안 작성한 보고서 등을 분석한 결과지요. 연구에 참여한 에릭 테릴 박사는 “바닷물의 온도에 따라 깊은 바다의 산호초 생태계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면서 “해양 생태계를 보호할 ... ...
- [과학뉴스] ‘나노 셔터’로 전자 움직임 포착하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것은 불가능했다. 그런데 최근 KAIST, 영국 국가표준기관인 국립물리연구소(NPL) 등 공동연구팀이 수 ps(피코초·1ps는 1조분의 1초) 주기로 움직이는 전자의 초고속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 ‘나노 셔터’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 11월 4일자 온라인판에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