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원"(으)로 총 4,98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AI 이용해 덜 녹스는 금속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9호
- 강도와 무게, 수명 같은 특성을 예측하는 컴퓨터 알고리듬을 개발했다. 지금까지 어떤 원자 구조가 물질을 더 강하게 만들지, 혹은 더 유연하게 만들지 예측할 수 있는 시스템은 개발된 적이 없었다. 이번에 개발한 알고리듬은 애플의 인공지능 ‘시리’와 비슷하다. 시리는 사용자의 음성을 들으면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0kg이었으나 설계과정에서 약 100kg이 초과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최석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달탐사사업단장은 “궤도선을 지구 저궤도가 아닌 달까지 보내려면 연료와 탱크 무게가 상당히 증가한다”며 “현재 예비설계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달 궤도선은 지구 저궤도 위성으로 개발 ... ...
- [SW 기업 탐방] 흙 없이 잘 크는 기특한 반려식물 피스찰리수학동아 l2017년 09호
- 걸리고 가격도 최소 30만 원 정도로 비쌌다. 반면 3D프린터를 쓰면 단 몇 시간 안에, 약 3만 원으로 화분을 뽑을 수 있다. 두 대표는 시청이나 대학교에서 제공하는 3D프린터를 쓴 덕분에 마음에 드는 피렌체 화분 모형을 무료로 뽑아볼 수 있었다. 3D프린터로 뽑은 화분을 보고 화분의 모양과 크기, ... ...
- [과학뉴스] 베풀면 행복해지는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밝히기 위해 50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했다. 4주 동안 매주 25스위스프랑(3만 원)씩을 준다고 한 뒤, 그 돈을 어떻게 사용할지 계획하도록 했다. 절반에게는 자신을 위해서만 쓰도록 했고, 절반에게는 다른 사람을 위해서 쓸 계획을 세우게 했다.그런 뒤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장치로 뇌를 ... ...
- [SW 기업 탐방] 세상을 지배하는 미분방정식 온라인에서 쉽게 풀자!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문제를 풀 수 있도록 알고리즘 세트를 만들어야 하는데, 산업현장에서 어떤 문제를 풀기 원하는지도 알아야 하고 그걸 또 구현해야 해서 진입 장벽이 높다”고 설명했다. 매스프리온이 가능했던 건 서울대 연구실에서 25년 동안 개발한 노하우가 그대로 녹아 있어서다.미분방정식 계산부터 논문까지 ... ...
- 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연결해 쓸 수 있는 백신 냉장고를 개발했어요. 백신 냉장고에는 ‘펠티어 효과’라는 원리가 숨어 있어요. 펠티어 효과는 두 종류의 금속에 전류를 흘려 주면 온도 차이가 생기는 현상이에요. 제벡효과와 정반대지요.즉, 오토바이의 발전기를 백신 냉장고에 연결해 전류를 흘리면, 한쪽 면에서는 ... ...
- [수학뉴스] 수학의 변신은 무죄! 예술이 된 난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가면 1이 되는 과정을 볼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그래프의 숫자를 없애고 숫자가 쓰인 원만큼 선을 두껍게 만들어 예술작품으로 승화시켰어요.1만 개만 해도 이렇게 복잡한데 수학자가 증명해야 할 수는 무한대니 정말 어렵겠죠? 하루빨리 80년 난제가 풀렸으면 좋겠습니다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퍼즐, 수학이 되다!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개의 소모임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각 조의 개개인을 그림의 점에 배치해 같은 선분이나 원 위에 있는 세 사람을 같은 소모임이라고 가정한 겁니다. 연구팀은 전체 n명 중 어떤 3명을 보더라도 정확히 한 조에 그 3명이 소모임을 이루고 있도록 조와 소모임을 짤 수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 ...
- [수학공감] 수학, 놀이가 되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쉽게 접근할 수 있었지요. 모든 단원에서 교구를 쓸 수는 없지만, 활용 가능한 단원의 경우에는 적극적으로 활용하려 해요.”꼭꼭 숨은 풀이 찾기김 교사는 ‘Aurasma’라는 앱을 활용한 수업도 계획하고 있다. Aurasma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같은 스마트 기기로 찍은 사진에 다른 사진이나 그림을 ... ...
- Intro. 수학으로 그린 꿈의 도시수학동아 l2017년 08호
- 포함하는 가장 작은 원은 항상 블록보다 클 테니 식의 값은 1보다 작겠죠. 블록의 모양이 원에 가까울수록 Φ값이 1에 가깝고, 반대로 삼각형이나 길쭉한 직사각형이면 Φ값이 작습니다.여기에 블록의 크기를 나타내는 식까지 포함해 연구팀은 도시 하나를 표현하는 복잡한 공식을 만들었습니다. 이를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