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세계"(으)로 총 6,765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낭포성 섬유증’이라는 유전질환이 있습니다. 세포 내 염화이온(Cl-)의 농도를 조절하는 단백질에 문제가 생겼을 때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이 질병을 앓는 환자들은 ‘낭포성 섬유증 막 횡단 전도 조절(CFTR)’이라는 유전자에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유전자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면 ... ...
- Part 1. 하늘에서 내려온 보석, 눈결정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아주 작은 물체를 찍을 수 있는 렌즈를 장착한 카메라를 이용하면 눈결정을 촬영할 수 있다. 물론 쉬운 일은 아니다. 인내는 쓰고 열매는 달다고 했다. 꾸준히 노력한 사람만이 하늘에서 내려온 보석을 만날 수 있다. 겨울을 가장 잘 나타내는 이미지 중 하나는 새하얀 눈이다. 눈이 내리면 왠지 모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2017년 11월 15일 오후 2시 29분, 경북 포항에서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했다. 우리나라가 1978년 공식적으로 지진 관측을 시작한 이래 두 번째로 강력한 지진이었다. 규모 5.8로 역대 최고를 기록한 경주 지진이 발생한 지 불과 1년 만이었다. 그간 지진 발생이 잦지 않았던 국내에서는 사실상 지진 연구가 ... ...
- [Origin] 지구온난화 주범 vs. 청정에너지 진흙화산의 두 얼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2017년 8월 26일, 여전히 폭염의 기세가 남아 있는 서울과 달리 알래스카 최북단 항구도시 배로우(Barrow)의 기온은 5도로 꽤 쌀쌀했다. 약 4500명이 거주하는 배로우는 북극의 섬들을 제외하면 북반구 대륙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다. 그래서 이곳에는 ‘세상의 끝(Top of the world)’이라는 이름의 호텔도 ... ...
- 서로 연결돼 있는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인류의 역사는 환경에 대한 도전과 이를 극복하며 이용해 온 과정이라할 수 있다. 초기 자연에 대한 숭배의 단계에 머물던 인류는 농경을 시작하며 이용의 단계로, 과학기술이 발달한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마침내 자연을 정복하려는 단계에까지 도달하고 있다. 그러나 자연에 대한 승리를 획득했다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유전자 형질 분석“설명서를 읽어보고 채취봉으로 시료를 채취해 주세요.”2017년 11월 30일. 기자는 서울 마포구 서강대에 위치한 유전자 체질분석 전문 기업 에스엔피제네틱스를 방문했다. 정현섭 이사는 기자에게 시료 채취봉과 설명서, 유전자검사 동의서가 담긴 상자를 내밀었다. 에스엔피제 ... ...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추천의 기술 1 마트와 서점은 그룹별 최다 검색음악과 동영상에서부터 맛집, 이동 경로, 심지어 친구까지 추천받는 세상이다. 이는 내가 은연중에 남긴 ‘사이버 발자국’ 때문이다. 본인 동의를 얻은 개인정보(성별, 연령, 거주 지역 등)나 단어 검색, 구매 이력, 인터넷 서핑 경로 등 온라인에 ... ...
- [Issue] 중국을 선택한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현량자고(懸梁刺股). 머리카락을 대들보에 묶고, 허벅지를 송곳으로 찌르며 글을 읽었다는 중국의 성어다. 졸음을 쫓아가며 학업에 매진하는 열정을 뜻한다. 한국 토박이인 필자가 ‘제2의 인생’을 펼칠 장소로 중국을 선택한 것은 중국 젊은 과학자들의 현량자고 정신에 반했기 때문이다. 업무 ... ...
-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전염병주식회사의 배경음악 ‘Ring Around the Rosie’를 들으며 시작합시다. 흑사병으로 죽은 아이를 묻으며 불렀다는 이야기가 있는 유럽 민요입니다. 장미를 뜻하는 ‘Rosie’가 흑사병의 증상인 발진을 의미한다는 거죠. 흑사병은 14세기 유럽에서 수천만 명의 목숨을 앗아간 전염병입니다. 민속학자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찌릿~’.왼쪽 팔이 살짝 아려 온다. 또 아침이 온 모양이다. 이놈의 전자칩은 이식 10년이 되도록 도통 익숙해지지를 않는다. 특히 이렇게 추운 날 아침잠을 깨울 땐 몸속에 흐르는 전기자극이 여간 짜증나는 게 아니다. ‘찌릿찌릿~’ 따뜻한 이불 속에서 늑장 좀 부렸다고 종전보다 강한 자극이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