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자"(으)로 총 5,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전기를 만들어낸 사람들수학동아 l2017년 01호
- 전력 시스템의 표준이 됩니다. 그런데 직류와 교류는 어떻게 다를까요? 직류는 전자가 항상 한 방향으로 흐르는 전기이고, 교류는 크기와 방향이 일정한 주기로 바뀌는 전류입니다. 교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인(sine)파를 그리며 움직입니다. 우리나라 가정에서 사용하는 220V 전기가 바로 ... ...
- Part 1. 허블 상수 논쟁 끝내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분석해 간접적으로 구한다. 샌디지와 프리드먼 박사, 그리고 애덤 리스 교수팀은 전자를 이용했다.은하의 후퇴 속도는 적색편이를 이용해 비교적 쉽게 알 수 있다. 거리는 더 복잡하다. 보통 세페이드 변광성이나 Ia형 초신성을 이용한다. 세페이드 변광성은 밝기가 변하는 주기를 측정하면 ... ...
- [Origin] 은둔의 물리학자가 발견한 비밀 입자, 마요라나 페르미온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초전도체에서 마요라나 페르미온을 담는 그릇인 위상 소용돌이는 굉장히 안정적이어서 전자의 스핀처럼 주변환경의 작은 변화에 따라 상태가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박 교수는 “현재 다른 방식으로 양자컴퓨터를 만들려는 시도가 앞서가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근본적인 불안정성 때문에 ...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이 분야의 선두주자인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 생체공학과 더스틴 타일러 교수는 전자의수가 연결된 신경 말단에 마이크로 전극을 부착한 다음, 다양한 형태의 전기 신호를 뇌에 흘려 보내 착용자가 어떤 감각을 느끼는지를 일일이 기록하며 연구하고 있다. 150년 전 에디슨이 전구를 발명할 때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필요하다국내에서도 3진법에 맞는 논리 회로를 설계하는 연구자가 있다. 강석형 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최근 더욱 효율적인 3진법 덧셈기와 곱셈기를 설계했다. 3진법 연산을 하려면 그에 맞는 덧셈기, 뺄셈기, 곱셈기 등 논리 연산 장치(ALU)가 필요하다. 강 교수는 “기존에 제안됐던 ... ...
- Part 6. 특이점 없애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원리(불확정성 원리. 운동량과 위치 정보가 비가환 대수의 관계에 놓임)가 발견되면서 전자가 원자핵으로 접근할 수 있는 한계 반경이 정해졌기 때문이다. 우리의 시공간을 구성하는 입자들이 특이점으로 소멸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게 된 것이다.이제 비가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발전기가 그 주인공이지요.연구팀은 실크 천과 플라스틱 막대를 서로 문질렀다 떼어내면 전자가 이동하며 전기가 흐른다는 사실에 주목했어요. 두 물질을 마찰시키면 플라스틱 막대가 (-)전하를 띠며 정전기가 발생하거든요. 이 원리를 이용해 실크 천과 플라스틱 막대로 정전기를 만들고, 이를 전기 ... ...
- [특별 인터뷰] 조재호·김문식 작가의 웹툰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작가님은 칠판에 예시 그림을 그리셨고, 학생들은 각자 컴퓨터에 연결된 패드와 전자드로잉 펜을 이용해 작가님의 그림을 따라 그리기 시작했어요. 그러자 그림이 화면 모니터에 그대로 나타났고, 학생들은 그림이 완성될 때마다 뿌듯해 했답니다.김문식 작가님은 기초가 중요하다고 강조하셨어요. ... ...
- Part 5. 작게 더 작게! 진짜 작은 마이크로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만드는 로봇으로, 너무너무 작아서 맨눈으로는 물론 광학현미경으로도 볼 수가 없어. 전자현미경으로만 볼 수 있는 로봇 친구들을 보여 줄게!DNA로 로봇을 만들다독일의 뮌헨공과대학교 연구팀이 DNA 가닥을 이어 붙여 약 100*nm의 로봇을 만들었어요.우리 몸의 설계도인 DNA는 이중나선 구조를 하고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국제천체투영관영화제에서 황홀한 오로라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2000℃ 정도로 올라가면 기체 분자가 쪼개져 원자 상태가 돼요. 약 3000℃에서는 원자에서 전자가 떨어져 나가 이온화가 되죠. 이런 상태의 기체를 플라스마라고 한답니다.캐나다, 아이슬란드, 노르웨이에 갔습니다. 오로라는 1년 365일 있습니다. 그러나 아이슬란드와 노르웨이는 구름이 많아서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