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이돌 수학] 경배하라, 새로운 '수학돌'이 탄생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개혁적인 풀이를 보인 것’ 등을 좋아하는 이유로 밝혔다.수학 좋아하는 우리만 아는 줄 알았던 가우스의 이런 멋진 점을 아이돌의 입으로 들으니 갑자기 수십 배는 가까워진 느낌이 들지 않는가? 그렇다, 투바투는 우리의 든든한 아군이자 ‘수학돌’이었던 것이다!★투바투 만나려면 분수 ... ...
- 잘 찾쥐! 놀 줄 알 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슬픈 동물이라고 생각하면 마음 아파. 우리도 사람처럼 간지럼을 타고, 깔깔 웃으며 놀 줄 안다고! 귀여움도 겸비한 매력 부자 친구들을 소개할게! 간지럼 타는 쥐? 좋아서 깔깔대기도 해!쥐도 간지럼을 탄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2016년, 독일 베를린 훔볼트대학교 마이클 브레히트 교수와 이시야마 ... ...
- 위험한 달콤함, 초콜릿의 이중성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제품은 거의 없습니다). 그런데 이번 실험으로 플라보노이드가 뇌 인지기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초콜릿은 피부에도 좋습니다. 정진호 서울대병원 피부과 교수팀은 초콜릿의 원료인 카카오매스가 피부 탄력을 높인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해 알아냈습니다. 정 교수팀은 4 ... ...
- [ 과학동아 X Geekble] 미세먼지 캐리어 마스크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둘 다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건 아니지만 맑은 공기, 그리고 신선한 기분을 제공해줄 장치들입니다.UV램프는 살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서 공기청정기에 흔히 사용됩니다. 나모 님은 가늘고 긴 UV램프를 온라인으로 구매했는데, 생각보다 불빛이 약해서 그런지 아쉬운 표정입니다. 하지만 아쉬워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있었기에 쏘카와 함께 하기로 결정했다. 5년을 투자해 연구한 공간정보 기술을 잘 이해해줄 것이라는 믿음도 컸다. 폴라리언트가 자율주행과 공유경제 두 가지 키워드를 훌륭하게 수행하는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든든한 후원자를 만난 것이다. 사업으로 작은 성공을 거뒀지만 과학기술에 대한 ... ...
- [매스미디어]룰도, 심판도 없다...스토브리그수학동아 l2020년 02호
- 비리를 잡아내며 이세영을 비롯해 직원들의 신뢰를 얻기 시작한다. 전체 연봉의 30%를 줄이라는 구단주 대행의 지침이 떨어지자 자신의 연봉을 깎겠다고 말하며 휴머니스트의 모습도 보여준다.백승수가 단장으로서 자리를 잡아가는 동시에 점차 그의 과거가 드러난다. 백승수는 휠체어를 탄 동생 ... ...
- 실험꾼이 '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쥐들은 철저한 멸균조건에서 자라요.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되면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거든요. 또, 실험할 쥐의 유전 정보가 동일해야 순수하게 약물이나 변화 요인에 따라 어떻게 반응했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그래서 유전자의 다양성을 최소화한 근교계 쥐를 실험에 많이 이용해요. ... ...
- 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새로운 소고기 등급 판정 기준이 부여된 고기를 구매하게 된다. 마블링의 가중치가 줄어든 만큼 식탁에서 느끼는 1++, 1+등급 갈비찜 맛도 달라질 수 있다. 하지만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소비자들이 기존과 같은 품질의 소고기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당분간은 고기 등급과 ... ...
- 태양으로 살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구조를 찾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금은 태양전지판을 30도로 비스듬하게 기울여 여러 줄로 설치하는 게 일반적이다. 정진우 건기연 녹색건축연구센터 전임연구원은 “태양전지판을 ‘ㄴ’자 모양으로 만들어 계단형으로 설치하면 오전에는 세로축에서, 오후에는 가로축에서 태양전지판의 ...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있다. doi: 10.1038/s41586-019-1727-9암흑물질부터 반물질까지, 물리학의 다양한 미스터리를 풀어줄 열쇠인 액시온은 언제쯤 세상에 모습을 드러낼까. 힉스 입자의 존재 가능성이 1964년에 처음 제안되고, 약 반세기가 지나서야 발견됐다는 사실에 비춰보면, 1977년에 처음 알려진 액시온 입자도 머지않았다.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