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땅
토지
장소
지표
지상
육지
글월
d라이브러리
"
지면
"(으)로 총 2,611건 검색되었습니다.
통계로 세상을 구한 나이팅게일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달하던 환자의 사망률이 2%까지 떨어졌다. 당시 사람들은 질병의 원인이 무엇이며, 깨끗해
지면
왜 사망자가 줄어드는지 알지 못했다. 하지만 나이팅게일이 제시한 통계는 깨끗한 위생이 사람을 살린다는 증거가 돼 수많은 사람들을 설득했다.[승선을 기다리는 영국군 부상병들. 윌리엄 심슨이 ... ...
[훈데르트바서展] 곡선과 나선으로 건축을 치료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감상자는 작품을 더 이상 특별하게 보지 않는다. 만일 고유성으로 인한 특별함이 사라
지면
예술도 사라지는 걸까.벤야민은 생활 속에서 이뤄지는 ‘산만한 감상’이 현대 대중예술의 특징이라고 말했다. 건축은 이런 산만한 예술의 대표격이다. 실용적으로 쓰이는 예술이기 때문이다. 건물은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생물이다. 다시 생물 네트워크 이야기로 돌아가 보자. 일반적인 네트워크는 규모가 커
지면
링크 거리가 늘어난다. 예를 들어 인구가 5000만 명인 우리나라 사람들은 평균 5단계를 거치면 대부분 서로 연결된다. 하지만 60억 인구의 지구 전체로 규모를 바꾸면 연결 거리는 평균 6단계로 늘어난다. 현재 ... ...
전기 대신 ‘공기’ 저장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터빈을 돌려 다시 발전하는 방식이다. 풍력이나 태양열 발전은 바람이 불지 않거나 해가
지면
전력을 생산하지 못한다. 하지만 CAES를 사용하면 풍력과 태양열로 생산된 전기는 모두 공기를 압축해 지하의 저장고에 넣는 데 사용하고, 전기를 꺼내 쓸 때는 저장고에서 일정하게 공기를 꺼내 발전기를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2008년 영국 왕립학회에서 발간하는 ‘철학회보’에서 “구름의 양이 현재보다 2배 많아
지면
이산화탄소 농도가 2배가 되더라도 감당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특히 중요한 구름이 해안에 떠 있는 낮은 고도의 층운이다.이 구름은 입자의 밀도가 높고 반사율이 높아 효과적으로 햇빛을 ... ...
퇴행성 관절염의 스위치를 찾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관절염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염증을 일으키는 단백질의 활성이 활발해
지면
연골조직이 빠르게 없어진다는것도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결과들은 단편적인 현상일 뿐이었다. 왜 이 단백질들이 활성화되는지 그 원인을 규명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광주과학기술원 관절염제어 ... ...
바스켓을 흔드는 수학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농구선수가 던진 공은 포물선 모양을 그리며 날아간다. 이유는 무엇일까?물체를 위로 던
지면
물체는 수직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힘을 받는다. 중력 때문이다. 농구공도 예외가 아니다. 따라서 날아가는 농구공의 속도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하게 줄어든다. 이를 시간에 따른 농구공의 위치 그래프로 ... ...
Intro. 클락, 이러다 클나!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그에게 시간은 해가 뜬 뒤와 진 뒤 정도의 애매한 기준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해가
지면
급격히 쇠약해진다. 덩치가 크고 몸이 무거워 움직이는 것 자체를 싫어한다.얼마나 시간이 흘렀을까. 시계가 없으니 정확한 시간이고 뭐고 눈앞이 캄캄하다.1시간 뒤에 모이라고 한 것부터가 실수였다는 ... ...
한눈에 보는 원자폭탄의 탄생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과학동아 창간 25주년과 동아사이언스 창립 10주년을 기념해 열린 제1회 과학일러스트공모전 일반부 최우수상에 윤영원 서울대 시각디자인학과 연구원의 ‘원자폭탄 연대기’가 ... 열린다. 수상작은 이날부터 16일까지 5일간 같은 건물 1층에서 전시된다. 주요 작품을
지면
으로 소개한다 ... ...
김필립 교수는 정말 억울하게 노벨상을 놓쳤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달랐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핀 조직위는 “그래핀 분야 연구에 기여한 전체 양을 따
지면
두 팀 사이에 차이가 없다”면서도 “하지만 2004년 가임 교수팀의 사이언스 논문이 이후 연구의 기폭제가 된 점은 부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노벨상 위원회가 물리학 분야에서 기술적 응용보다는 최초의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