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d라이브러리
"
천문
"(으)로 총 3,078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의 시작과 끝이 궁금하다면?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불허하는 상세한 설명으로 튀는 책이 새로 번역돼 나왔다. 크리스 임피 미국 애리조나대
천문
학과 교수의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다. 임피 교수는 우리나라에 번역돼 있는 몇 안 되는 우주생물학 입문서인 ‘우주생명오디세이’의 저자로, 우주와 생명에 대한 지식이 풍부한 대표적인 ... ...
노벨상 탈 논문 여기 있습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갈증을 느꼈다. 홀로 대학 캠퍼스 탐방에 나섰던 안재균 학생은 캠퍼스 안에서 물리
천문
학부 학생들이 벌이는 토론을 눈여겨봤다. “서로 관심사가 같은 친구들이 함께 이야기하고 토론하는 모습을 보니 부러웠어요. 그런 활동을 할 수 있는 동아리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죠.” 뜻이 같은 ... ...
[hot science] 외계인이 탐낸 물 우주에는 넘쳐난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별의 밝기 차이가 너무 커서 정밀한 기술이 필요하다.외계 행성을 연구하는 김승리 한국
천문
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현재 기술로는 표면 온도를 추정해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따져보거나 모델링을 통해 대기 현상을 추측하는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며 “직접적으로 물을 찾는 건 현재 ... ...
[체험] 소행성 접근, 수학으로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13년 02호
어려운 내용을 깔끔하게 잘 정리한 점이 뛰어났어요. 지원 양은 관심을 두지 않았던
천문
학이지만, 이번 취재를 통해 알게 된 사실과 그 느낌을 잘 표현했군요!다만 두 친구 모두 짧은 문장으로 나누어 쓰는 연습을 한다면, 더 좋은 글쓰기 훈련이 될 거예요 ... ...
외계행성은 의외로 가까운 곳에?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외계생명체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투오미 미코 영국 허트포드셔대
천문
학과 박사팀은 태양계에서 12광년 떨어진 타우 세티라는 별을 관측한 결과 모두 5개의 행성을 확인했다고 ‘사이언스’가 지난해 12월 18일 보도했다.타우 세티는 태양과 비슷한 주계열성의 밝은 별로, 가장 ... ...
우주지도분쟁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지역의 중심을 지나는 자오선을 기준으로 경도를 잰다. 올버스는 베스타를 처음 발견한
천문
학자의 이름이다.그런데 지난해 7월 베스타에 도착한 탐사선 던은 당시 허블우주망원경이 관측한 자전축이 실제보다 10° 정도 기울어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자전축을 수정한 ... ...
안드로메다와 아스트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19세기만 해도 안드로메다 은하가 우리 은하계 안에 있는 것으로 여겨졌지만 미국
천문
학자인 허블이 안드로메다 은하는 우리은하 밖의 천체라고 규명했죠. 특히 우리은하와 매우 유사한 은하계로도 유명하죠.신화 속 안드로메다가 현실에서는 존재하지 않을 정도로 예뻐서였을까요. 안드로메다 ... ...
PART 1. 누가 뉴턴을 죽였는가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종말이 찾아온 것이다.빛의 속도를 측정하려고 한 역사 속 최초의 인물은 이탈리아
천문
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다.자신이 만든 망원경으로 목성의 위성을 발견한 갈릴레이는 위성의 운동을 관측해 빛의 속도를 측정하려 했다.갈릴레이가 측정한 값은 오늘날 알려진 빛의 속도와 오차가 크지만, ... ...
[포토뉴스] 블랙홀의 비밀에 다가간 천재 수학자 라마누잔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도움을 줄 수 있을 거라고 설명했다.블랙홀은 아직까지 베일에 싸여 있는 미지의 천체로,
천문
학자들은 이 천체의 특징을 이론적으로 계산하거나 주변 천체들을 이용해 알아내 왔다. 그 특징 중에서 블랙홀의 엔트로피는 블랙홀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알려 주는 것으로, 몇몇 블랙홀은 엔트로피를 ... ...
PART 3. 뉴턴 다시 부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은하는 은하단보다 작은 규모(40여개의 은하)인 국부 은하군에 속해 있다).1933년 스위스의
천문
학자 프리츠 즈위키는 은하단에 속해 있는 은하의 이동속도에서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은하단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와 은하단의 추정질량을 통해 계산해 보았을 때 은하들이 예상보다 빠르게 움직이고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