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으)로 총 3,590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들어 일반 체세포처럼 정자와 난자에 46개의 염색체가 있으면 둘이 만나 생긴 수정란에는 총 92개의 염색체가 존재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 수정란이 어른으로 자라 자신의 생식세포를 만들고 수정을 이루면 그땐 수정란의 염색체가 무려 184개나 됩니다. 따라서 생식세포를 만드는 감수분열은 ...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BDI 검사-면담-심리검사 3단계 진료1월 11일 서울 회기동에 위치한 경희의료원을 찾았다. 총 검사 시간은 약 3시간. 간단한 질문지 작성과 전문의의 면담을 통한 면담과 심리검사가 뒤따랐다. 검사 과정이 생각보다 길고 복잡했다. 정신건강의학과 진료실로 들어가자 김나리 경희대 의대 ... ...
- Part 2. 스키 로봇 챌린지의 도전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대회에는 우리나라의 총 8개 팀이 참가해요. 첫 대회인 만큼 각 팀이 가진 독특한 아이디어가 돋보일 것으로 기대되지요. 스키 로봇 챌린지의 참가 선수들을 먼저 만나 볼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인공지능으로 씽씽! 스키 로봇 챌린지Part 1. 로봇들의 겨울 축제, 스키 로봇 ... ...
- [Issue] ‘지진의 나라’ 이탈리아는 지금, 인공위성으로 지진 모니터링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중부 이탈리아에서 발생해 아마트리체 지역을 파괴시킨 지진을 포함해 2016년 한 해 동안 총 1만725건의 지진이 발생했다. 한국은 지진이 발생할 위험이 낮다고는 하지만 최근 포항 지진을 겪으면서 위기감이 고조됐다. 필자는 이탈리아에서 이뤄진 지진 관련 연구 결과와 잘못된 지진 예측 때문에 ... ...
- 아끼면서 아름다운 한복, 수학이 만든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주름너비가 0.5cm인 주름을 만든다면 주름을 하나 만들 때마다 1cm가 줄어드니까 주름을 총 90개 만들어야 180cm인 옷감을 가슴둘레에 맞게 90cm로 만들 수 있지요. ‘살창 고쟁이’는 무더운 여름 여성들이 입던 속옷으로, 허리 부분에 바람이 통하는 구멍이 뚫려있어서 꼭 문에 창살이 쳐진 ... ...
- Part 5. 빙하를 직접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붙었답니다. 왕척 엔지니어는 2013년 10월에 처음으로 6m 높이의 인공 빙하를 만들었어요. 총 15만L의 물을 얼린 양이었지요. 이 인공 빙하는 그 다음 해 5월, 20°C의 온도에서도 녹지 않았어요. 현재 라다크 지역에서는 이 인공 빙하에서 얻은 물로 나무를 기르고 가뭄을 해소하고 있답니다 ... ...
- [Issue] 야식의 유혹, 도저히 뿌리치기 어렵다면 ‘착한 야식’을!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치킨 1~2조각, 피자 반 조각한가지 위안이 되는 건, 오후 7시~8시 30분 이후에 1일 총 섭취 열량의 25~50% 이상의 음식물을 섭취하는 행위가 야식이라는 사실입니다. 수치가 광범위한 이유는 사람마다 야식의 정의를 다르게 내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마저도 해외에서 정의한 야식의 개념이고, ... ...
- [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관절을 움직일 수 있게 만들었다. 양쪽 고관절과 발목, 그리고 발과 스키 사이에 두 개씩 총 여섯 개의 관절을 넣었다. 각 관절은 선수의 비행거리를 결정하는 변수를 조정하는 데 쓰인다. 고관절은 상체와 하체 사이의 각도를, 발목 관절은 스키가 V형으로 벌어지는 각도를, 발바닥과 스키 사이에 ... ...
- [Issue] 내 잉크가 너의 숨을 쉬게 하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 정도면 만년필 한 자루를 가득 채울 수 있다. 그래비키 랩스가 생산하는 에어잉크는 총 5종이다. 마커 형태로 개발해 쓰기 편리하다. 배기가스를 각각 130분간 포집해 만든 마커(굵기 약 15mm와 약 50mm), 50분간 모아 만든 마커(굵기 약 2mm), 40분간 모아 만든 마커(굵기 약 0.7mm), 그리고 830분간 모아 ... ...
- [인터뷰] “왜?”라고 질문하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잠재력 면접’이다. 면접관 2명이 학생 1명을 평가하며 면접에 소요되는 시간은 총 20여 분 이다. 사고력 면접 문제는 수학이나 과학적 지식을 묻지 않는다. 말 그대로 과학적 사고력을 평가한다. 예를 들면 어떤 실험에 대한 상황과 결과를 제시한 뒤 학생에게 왜 이런 실험을 한 것인지, 스스로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