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쇼크
충동
자극
충돌
타격
추진력
흥분
d라이브러리
"
충격
"(으)로 총 2,252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술관에 간 화학자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그림에서는 전혀 볼 수 없었던 화려한 색채는 놀랍기만 하다. 당시 유럽인들에게는 그
충격
이 더 컸으리라. 그런데 사실 이렇게 화려한 색채는 불포화지방산 덕분이다.얀 반 에이크는 유화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그는 식물성 불포화지방산인 아마인유(linseed oil)를 사용해 이전에는 거의 ... ...
날아다니는 과학상자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마련한 엘리베이터 검사기준 개정안에 따르면 앞으로 제작되는 엘리베이터는 450J의
충격
을 견디도록 설계해야 한다. 운동에너지로 따져봤을 때 체중63.4kg인두 사람이 초속 2.65m의 속도로 달려와 부딪혀도 견딜 수 있는 수준이다.03로프여러 겹의 강철을 꼰 선을 또 다시 꼬아 섬유 소재의 심 주위로 ... ...
아찔아찔 스카이다이버 추락 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씨는 0.07초 동안 평소 몸무게의 90배의 무게를 느꼈을 겁니다. 더 깊이 파고들었다면
충격
은 더 줄어들었겠지요. 건강한 사람은 0.1초 동안 자기 몸무게의 100배 정도는 견딜 수 있다고 하니, 또뛰레 씨 경우는 덤불숲을 깊이 파고들어 살 수 있었던 거네요. 오우, 낙하지점 선택은 정말 탁월했어용 ... ...
떠다니는 탄소를 거래한다?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성분을 뽑아내는 장치 X선에서는 특성 X선을 뽑아내는 것이 보통인데 습도 · 기계적
충격
· X선 조사 등에 강한 결정(예컨대 LiF, 수정 등)을 이용하여 회절강도가 큰 반사를 택한다 공간에서 결정면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의 하나 면지수라고도 하며 보통 밀러 지수로 표시한다 결정면은 결정축을 ... ...
미리 입어보는 미래의 옷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달릴 때 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
을 4% 정도 줄여 주는 첨단 소재로 만들었다. 4%의
충격
감소는 4분의 기록 단축과 같은 효과가 있다. 또한 열을 빨리 배출하는 소재로 만들어 운동화의 내부 온도를 2℃ 이상 낮춰서 발이 덜 피로하게 했다. 육상 선수들이 입는 옷 역시 공기와의 마찰력을 최대한 줄이는 ... ...
현실과 똑같은 가상공간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평가한다. IBM의 샘 팔미사노 회장은 “세상에 인터넷이 처음 소개됐을 때의
충격
이 다시 올 것”이라며 세컨드 라이프를 차세대 3D 인터넷 서비스로 꼽았다.세컨드 라이프 안에 담겨 있는 철학과 시스템, 그리고 기술력은 웹 2.0의 화두를 넘어 인터넷이 미래로 진일보하는 하나의 과정이다. 그런 ... ...
1등 조명LED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때문에 크기가 작고
충격
에도 강하다. 소형 전자제품은 물론 지속적으로 진동하고
충격
을 받는 지하철이나 자동차 같은 차량의 조명으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형광등에 들어있는 유해물질인 수은이 없다는 점도 매력이다.절전형 형광등과 LED조명의 또 다른 차이는 깜빡임이다. 교류 회로를 ... ...
영재들과 한강 철새가 만났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6호
양자순간이동기를 이용하게 되었지. 물론 탐사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할 땐 짜릿~한 전기
충격
을 받아야 했고 말야. ㅋㅋ 그런데 백두산호랑이 가족은 어떻게 되었냐고? 다운이가족이 준 생닭을 먹고 기운을 차려 건강하게 잘 지내고 있단다. 아힝~, 보람차!충청남도천수만에서 본 가창오리떼의 ... ...
신데렐라는 왜 유리 구두를 신었을까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작용하면서 표면조직의 밀도가 더 조밀해진다.표면이 조밀해질수록 유리는 더 많은
충격
을 흡수하게 돼 잘 깨지지 않는다.얇은 유리는 화학적 방법으로 강도를 높인다. 유리를 질산칼륨(KNO3)용액에 넣고 온도를 높이면 유리 속의 나트륨 이온(Na+)과 질산염의 칼륨이온(K+)이 맞교환되면서 강도가 ... ...
인류 멸종한 지구도 평화롭더라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외모나 옷에 신경 쓰는 것은 에너지 낭비’라고 생각했던 나에게 이 말은 신선한
충격
으로 와닿았다. 시련을 당당하게 헤쳐나간 선배들이 있기에 더 힘이 솟아났다. 갑자기 하늘의 구름을 보며 “과학해서 행복한 사람 여기 한명 더 있어요!”라고 외치고 싶다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