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컴퓨터"(으)로 총 6,897건 검색되었습니다.
- [롤링수톤] 머릿속 맴도는 수능금지곡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더 재밌을지도~!수험생 여러분께 유의사항 알려드립니다. 시간에 맞춰 입실해야 하며, 컴퓨터 사인펜을 반드시 준비해 주세요. 전자기기는 반입 금지이니 아날로그 시계만 착용 가능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절대 이 글에 나와 있는 곡을 듣지 마십시오. 2018년 11월 15일은 2019학년도 ... ...
- [통합과학 완벽 정리 10] 전기에너지와 발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일어난다면 어떻게 될까? 전기 덕분에 가능했던 모든 편리함이 한순간에 사라질 것이다. 컴퓨터, 휴대전화, 엘리베이터, 전철 등은 한순간에 쓸모없어지고, 교통이 마비되며, 가정으로 공급되던 식수와 가스가 끊겨 우리를 안락하게 보호해주던 집도 기능을 잃을 것이다. 이처럼 우리의 삶은 ... ...
- 튜링의 마지막 유산 수리생물학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컴퓨터과학의 아버지, 암호 해독으로 2차 세계대전 승리를 이끈 주역. 눈치 채신 분들도 많을 겁니다. 영국의 수학자 앨런 튜링을 수식하는 말이지요. 전산학, 암호학, 논리학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뛰어났던 튜링은 인공지능의 초석을 닦은 인물입니다. 여기까지는 모두 다 아는 내용이라고요 ... ...
- [과학뉴스] 짜잔! 2D 영상이 3D 모션 조각으로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파악하기 어려웠다.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컴퓨터과학인공지능연구소 연구팀은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해 이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프로그램에 영상을 입력하면 영상 속 피사체의 골반이나 무릎, 발목 등의 위치를 2차원 좌표로 변환한 뒤 이 점들을 이어 3D 골격을 만든다. 이어서 3D 골격이 ... ...
- 국제우주정거장(ISS) 아찔했던 사고 5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위. 발사 순간부터 손상 입은 스카이랩1973년 5월 14일 ISS는 우주 쓰레기와의 충돌 위험, 컴퓨터 오작동 등 작은 사고가 종종 일어난다. 하지만 기체가 크게 손상되거나 실제로 충돌할 만큼의 큰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우주정거장의 큰 사고는 ISS 이전에 운영되던 우주정거장에서 발생했다.1973년 ... ...
- 기본 단위 중 가장 ‘인간적인’ 광도의 단위, 칸델라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기술은 빛을 광자 단위로 측정할 수 있는 검출기의 효율을 측정하는 기술이다. 양자컴퓨터, 양자암호체계, 의료 분야 등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인만큼 국제적인 표준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2년 전부터 양자칸델라팀을 새롭게 꾸리고 연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 ... ...
- ‘찰리와 초콜릿 공장’으로 보는 P대 NP 문제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있습니다만, 수학적으로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이 문제가 풀리면 수학계뿐만 아니라 컴퓨터과학, 암호학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우리 실생활에도 덩달아 많은 변화가 일어나겠죠. 게다가 100만 달러(약 11억 3350만 원)의 현상금도 걸려있으니, 수학을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이 문제를 푸는 ... ...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문제 해결 능력을 배울 수 있도록 교과 과정이 구성돼 있다. 그래서 확률, 통계 등 수학과 컴퓨터를 다루는 수업들이 많다. 진로 지원 기업과 공동 연구 기회 제공 산업공학과는 수시모집에서 20명, 정시모집에서 12명을 선발해 한 학년 정원이 32명인 소수정예학과다. 소수정예학과인 만큼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기술을 합쳐 스마 트기기에 이식한 것에 불과하다. 스마트폰이라는 발상은 휴대전화와 컴퓨터를 섞은 것에 불과하지만, 그 자체로 현대 사회를 대표하는 기술이다. 즉 이 사회가 융합형 인재를 강조하는 것은 한 분야의 전문가가 이전만큼 파급력을 갖기 어려운 시대이기 때문이 다. 새로운 것을 ... ...
- [과학뉴스] 타이탄의 대기 아지랑이, 형성 실마리 풀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섞었다. 그 결과 새로운 PAHs인 ‘페난트렌’과 ‘안트라켄’이 생성됐다. 또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 과정에 고온의 에너지가 필요하지 않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 과정이 타이탄 대기를 만드는 방아쇠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향후 이렇게 만들어진 유기물 ... ...
이전1121131141151161171181191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