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족
세대
친척
일가
집
살붙이
가설
뉴스
"
가정
"(으)로 총 2,420건 검색되었습니다.
전문가들 "제2,제3의 신종 감염병 출현 가능성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5
논의했다. 과거의 ‘메르스 경험’을 토대로 대응 체계화 이종구 서울대병원
가정
의학과 교수(전 질병관리본부장)는 5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개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처방안’ 주제의 긴급 공동원탁토론회에서 "메르스 사태 당시 병원마다 환자가 너무 많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서양 은’으로 둔갑한 알루미늄
2020.02.05
그런데 소비자들이 양은을 쓸 수밖에 없던 진짜 이유는 정작 따로 있었다. 도시의
가정
에 새로운 연료로 공급되기 시작한 연탄이 문제였다. 장작의 자리를 차지한 연탄의 약한 화력으로는 크고 무거운 무쇠 솥이나 번철을 충분히 달굴 수가 없었다. 가볍고, 열전도가 잘 되는 양은솥이 꼭 필요했다 ... ...
신종 코로나 '무증상 감염' '잠복기 감염' 어떻게 다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2.04
긴급전망과 정부 및 시민의 대응 방향' 포럼에서도 이종구 전 질병관리본부장(서울대
가정
의학과 교수)은 "전문가들이 예측했던 것과 달리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초기에 적은 양의 바이러스만으로도 전염이 일어날 수 있다고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부에선 여전히 '무증상 감염(inapparent ... ...
의사들도 헷갈리는 신종코로나의 5가지 궁금증
연합뉴스
l
2020.02.04
조장하는 얘기들이 많아서 시민들은 물론이고 의사들조차 헷갈린다고 하는데요.
가정
의학과와 안과, 피부과 등 14명의 전문의에게 의사들도 헷갈리는 코로나바이러스의 5가지 궁금증을 알아봤습니다. 첫 번째 궁금증은 밀접 접촉과 일상 접촉의 기준은 무엇인가 하는 점입니다. 메르스 사태 ... ...
"WHO, 신종 코로나 발생 초기 중국 현지 조사 안한 건 실수 "
동아사이언스
l
2020.02.04
이 조치가 생략돼 충분한 평가가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감염병 전문가인 이종구 서울대
가정
의학과 교수는 3일 오후 5시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긴급전망과 정부 및 시민의 대응 방향’ 포럼에서 “WHO의 실수라고 생각한다”며 “주권 침해와 ... ...
前 질병관리본부장 "신종 코로나, 무증상 감염 가능성 충분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3
발생하는 적은 바이러스 양으로도 전염이 일어날 수 있다고 판단합니다” 이종구 서울대
가정
의학과 교수는 3일 오후5시 서울 강남구 한국과학기술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긴급전망과 정부 및 시민의 대응 방향’ 포럼에서 “처음에 세계보건기구(WHO)도 그 가능성을 믿지 ... ...
'우주호텔'서 지구를 바라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3
크루드래건 개발의 가장 중요한 관문이었다. 팰컨9 로켓이 비행 중 폭발하는 상황을
가정
한 이 시험에서 크루드래건은 성공적으로 로켓에서 분리된 뒤 낙하산을 펼치고 바다에 안착했다. 머스크 CEO는 “임무는 완벽히 성공했고 올해 4~6월 사이 첫 유인 우주 비행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보잉도 ... ...
미, 신종코로나도 무섭지만..올 겨울 독감으로 8천200명 사망
연합뉴스
l
2020.02.01
전망했다. 독감은 미국인들이 달고 사는 일종의 '상수'가 됐다. 템플대 의대에서
가정
및 공동체 의학 수석을 맡고 있는 마곳 사보이 박사는 바로 이러한 친숙성 때문에 사람들이 독감을 과소평가하는 탓에 결과적으로 더 위험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겨울철에 우리는 모든 바이러스 질환을 ... ...
[프리미엄리포트]한반도 에너지 문제 해결 대안으로 떠오른 해상풍력발전
과학동아
l
2020.02.01
있다. 참고로 풍력발전기의 회전날개가 3개뿐인 이유는 바람이 초속 12m로 분다고
가정
할 때 이론적으로 이보다 회전날개의 수가 많아도 발전량에서는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발전량의 차이가 없는 상황에서 가장 안전한 구조를 보장하는 날개 수가 3개다. 해상풍력발전기는 바다 밑에 추가로 ... ...
美연구팀 "사용후핵연료 처리하는 '유리화' 기술 안전하지 않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8
유리와 스테인리스 스틸의 부식을 각각 평가했을 뿐 용기에 방폐물을 담았을 때를
가정
해 조사한 연구가 없었다. 연구팀은 유리나 세라믹이 스테인리스 스틸과 상호작용할 때 어떤 영향을 받는지 조사하기 위해 유리화 방폐물 부식 실험에 쓰이는 표준 재료인 ‘국제 기본 유리’를 후 스테인리스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