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40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무로 지은 아파트에서 사는 시대 올까?
2017.05.30
같은 무게일 경우 강철이나 콘크리트보다도 강도가 세다. 물론 같은 부피일 경우는
밀도
가 낮아 그렇지 못하다. 그럼에도 목재는 시간의 경과나 습도에 따라 휘어지고 갈라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통나무 그대로 쓴다면 문제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나온 게 바로 구조용집성판(cross laminated ... ...
휴대용 선풍기 내 충전기 안전성 '도마'…"10개 中 3개 미신고"
포커스뉴스
l
2017.05.29
충전지를 안전확인신고 대상으로 포함시켰다. 지난해까지는 에너지
밀도
400Wh/L 이상(고
밀도
)인 제품만을 안전확인신고 대상으로 한정했으나, 각종 발화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올해 1월1일부터 적용 범위를 확대시킨 바 있다 ... ...
[카드뉴스] 보글보글 거품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7.05.23
메탄 같은 기체가 갇혀 거품 방울로 팽창하면서 함께 돌(부석)이 됩니다. 물에 뜰 만큼
밀도
가 작답니다. 에어로젤은 모래와 유리로 만든 고체거품입니다. 빈 공간이 98%나 돼 연료나 전자를 담을 수 있고 소리와 열을 차단하는 효과가 커 우주 탐사에 쓰이기도 합니다. 파도거품은 폭풍이 지나간 뒤 ... ...
“사막에서 날아오는 황사가 대기오염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17.05.14
바람이 잠잠해졌을 때 그 피해는 생각보다 크다. 실제로 연구진이 고비사막 주변 인구
밀도
가 높은 12개 중국 도시의 겨울철 대기 질을 조사한 결과, 먼지바람이 불어온 뒤 2~3일 뒤 도시의 공기가 먼지바람이 불기 전보다 오히려 깨끗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먼지가 3분의 1가량 감소하면 인공물질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세먼지 줄이는데 식물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2017.05.02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캐나다 토론토의 시민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주거지의 나무
밀도
가 높을수록 심혈관계 및 대사질환 발병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들은 블록(도시 구획 단위) 당 나무 열 그루만 더 심어도 의료비를 1만 캐나다달러(약 840만 원)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역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바뀔 수 있다. 엑손 주변에 있는 SNP는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쳐 세포 포면의 수용체
밀도
, 즉 민감도의 차이로 이어질 수 있다. 오싫모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오이의 향을 싫어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냄새부터 거부감이 드니 먹을 마음이 생기지 않는 것이다. 오이 같은 담백한 음식에서 냄새라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농도가 올라가면 뉴런을 둔하게 만들어 잠을 유도한다. 그런데 뉴런 표면의 수용체
밀도
가 낮아지면 아데노신의 신호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피곤해도 잠이 잘 오지 않는다. 커피에 들어있는 카페인은 이 수용체에 달라붙어 아데노신의 작용을 방해하므로 안 그래도 수용체가 부족한 ... ...
서울 한복판까지 출몰하는 멧돼지, 대체 왜?
동아사이언스
l
2017.04.07
국립생물자원관이 발표한 ‘2015년 야생동물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국 평균 멧돼지
밀도
는 ㎢당 5마리다. 2011년 4마리, 2013년 4.2마리로 꾸준히 늘고 있다. 멧돼지와 사람이 공존하려면 개체 수 조절이 필수다 ... ...
미세먼지가 유방암 위험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7
여성들은 평균 3년 정도 해당 지역에 거주했다. 지금까지 도시 여성이 시골 여성보다 고
밀도
유방을 가질 확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는 있었지만, 대기오염이 정확한 원인으로 지목되진 않았다. 이산화질소(NO₂) 등 교통수단이 배출하는 대기 오염물질이 유방암 발병률과는 관련 없다는 연구 결과가 ... ...
한 번 충전으로 서울-부산 달리는 배터리 개발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이차전지는 현재 스마트폰, 전기자동차 등에 쓰이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보다 에너지
밀도
가 5~15배 높다. 같은 부피에 더 많은 에너지를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다. 전기자동차 등에 적합하지만, 충전 속도가 느리고 수명이 짧다는 점이 문제였다. 고려대 제공 연구진은 리튬-공기 배터리에 주로 ... ...
이전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다음
공지사항